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91195977727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8-03-15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_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사회성
프롤로그_세상과 어울리지 못해 상처받는 아이가 줄어들기 바라며
Part 1 | 사회성이 아이의 행복과 성장을 결정한다
사회성은 인간 발달의 종합선물세트다
사회성은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이다
사회성은 남을 이해하는 마음의 힘이다
사회성은 배우고 연습한 만큼 성장한다
Part 2 | 단계별로 자라나는 아이의 사회성
0~만 2세, 나와 남을 구분하기 시작하는 영아기
영아기에 사회성의 기반이 다져진다 | 뿌리가 튼튼해야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 사회성 자질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만 3~6세, 사회성 발달의 황금기인 유아기
사회성이 급격하게 발달하는 시기 | 친사회적 행동이 나타난다 | 사회성의 기둥을 만들기 위하여 | 사회성 발달을 위한 바람직한 아빠의 역할
[counseling] “아빠와 아이의 관계가 별로 좋지 않아요.”
만 6세 이상, 사회성이 본격적으로 발휘되는 아동기
아동기에 사회성이 꽃을 피운다 | 친구들의 평가가 중요해진다 | 사회성 가지치기와 다듬기를 위하여 | 지나친 심리적 통제는 후폭풍을 몰고 온다
Part 3 | 사회성을 둘러싼 6가지 키워드
Keyword 1 성격 발달의 기초, 기질
기질은 사회성의 예언자다 | 기질과 양육태도의 조화가 중요하다 | 기질에 맞는 양육이 아이의 사회성을 결정한다 | 기질에 따른 사회성 발달 맞춤 전략
[counseling] “우리 아이 기질이 도저히 이해가 안 돼요.”
Keyword 2 정서적 유대감의 기본, 애착
애착이 있어야 안심하고 세상과 교류할 수 있다 | 안정적 애착이 즐거운 어울림을 이끈다 |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비밀지도 | 세상을 향해 돌진하게 하는 든든한 배경 | 안정된 애착관계로 사회성을 키우기 위하여 | 아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놀이
[counseling] “애착에 뭔가 문제가 있는 것 같아요.”
Keyword 3 이해와 공감의 기둥, 정서지능
인생의 성공을 예언해주는 정서지능 | 영유아기의 정서 경험은 뇌에 새겨진다 | 정서조절 능력은 안정된 관계 속에서 싹튼다 | 생각과 마음 사이의 균형 잡기 |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힘 | 자기표현을 잘해야 사회성이 자란다 | 정서지능 발달을 위하여
[counseling] “감정표현을 적절한 방식으로 못해요.”
Keyword 4 너와 나의 행복 울타리, 자기조절 능력
다가설 때와 물러설 때를 알려주는 기준 | 갈등을 조화롭게 해결할 수 있는 힘 | 나와 타인의 욕구 사이에 교집합 만들기 | 책임감을 갖고 행동을 조절하게 하는 힘 | 자기조절 능력 발달을 위하여
[counseling] “뭐든 제멋대로만 하려고 해요.”
Keyword 5 나를 나답게 해주는 힘, 자존감
자존감을 지탱하는 세 기둥 |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사랑하는 힘 | 자존감은 세상을 보는 안경이다 | 자존감이 있어야 다른 사람을 이끌 수 있다 | 자존감 발달을 위하여 | 자존감을 키워주는 놀이 원칙
[counseling] “고집이 세거나 주눅 들어 있어요.”
Keyword 6 행동을 조절하는 내적 기준, 도덕성
도덕성 없이는 사회성도 없다 | 도덕성은 나이에 따라 발달한다 | 도덕적 잣대보다 이유가 중요하다 | 아이는 행동을 보고 배운다 | 도덕성 발달을 위하여
[counseling] “자꾸 못되고 미운 짓을 해요.”
Part 4 | 우리 아이 사회성 키우기 프로젝트
부모의 양육태도를 점검하라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여줘라
바깥세상을 경험시켜라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활용하라
형제관계를 최대한 활용하라
[counseling] “형제끼리 너무 싸워요.”
내 아이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라
놀이를 활용해 단계별로 접근하라
친구 사귀는 법을 가르쳐라
관계를 유지하는 법을 가르쳐라
집단따돌림에 대처하기
[Tip]
사회성이 높은 아이 vs. 낮은 아이 | 0세~만 2세, 사회성 발달과정 | 사회적 놀이 발달단계 | 엄마와 아빠, 역할의 차이점 | 아빠와의 놀이 방법 | 또래관계 발달과정 | 순한 아이 vs. 까다로운 아이 | 기질이 까다로운 아이 훈육법 | 까다로운 아이를 대하는 9가지 훈육지침 | 안정 애착관계 vs. 불안정 애착관계 | 애착 발달과정 나이에 따른 정서 발달단계 | 정서지능이 높은 아이 vs. 낮은 아이 | 아이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감정 단어 | 자존감이 높은 아이 vs. 낮은 아이 | 자존감과 자존심의 차이 | 내 아이의 자존감 점검해보기 | 자존감을 높이는 칭찬의 원칙 | 도덕성의 7가지 덕목 | 아이의 사회성을 키우는 5가지 방법 | 울음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아이 지도하기 | 사회성 교육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방법 | 아이들이 좋아하는 행동 vs. 싫어하는 행동 | 놀림받을 때 유용한 말대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회성이란, 마음이 건강할 때 잘 발휘되는 능력입니다. 사회성은 아이의 건강함을 증명하는 바로미터이기 때문에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집단따돌림을 당하다가 자살 등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는 아이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더 이상 공부만이 성공을 보장하는 절대조건이 아니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사회성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사회성이 무엇이고, 나이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며, 어떤 방법으로 사회성을 키워줘야 하는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사회성은 또래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성격 형성과 학습능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책을 통해 부모님들이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역할을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하면 좋겠습니다. 또한 사회성 부족으로 상처받는 아이가 한 명이라도 줄어들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_ 프롤로그 중에서
동민이 엄마와 수정이 엄마의 질문은 똑같았습니다. “저는 아이를 위해 최선을 다했어요. 그런데 아이가 왜 이럴까요?” 그러나 아이를 키우면서 최선을 다하지 않는 엄마는 없습니다. 모두 자기 나름대로 열심히 아이를 키운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교육방식이 아이에게 맞는지 점검해보는 엄마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고 싶다면 부모의 경험과 생각만이 정답이라고 여겨서는 안 됩니다. 사회성은 교육과 수많은 경험을 통해 습득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회성을 가르칠 때 엄마의 관점에서 계속 혼을 내거나 나쁜 아이 취급을 하면, 아이는 자신감을 잃고 사람들과의 관계가 자신을 괴롭고 힘들게 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싫어하고 억울함과 분노만 쌓아두게 됩니다. _ Part 1 <사회성이 아이의 행복과 성장을 결정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