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플라톤
· ISBN : 9791196015534
· 쪽수 : 357쪽
· 출판일 : 2018-03-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 1장 왜 플라톤인가?
1. 플라톤의 위대한 발견 - 이데아
1) 이데아 개념
2) 이데아의 영원성
3) 진리로서 이데아
4) 선의 이데아
5) 미의 이데아
6) 상기로서 이데아
2.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 - 마차의 비유
3. 플라톤의 삶
4. 『국가』
5. 올바름 - 정의
6. 소크라테스식 대화
7. 『국가』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제2장 정의 논쟁: 올바름의 이익
1. 케팔로스
[적용하여 이해하기] 짐멜 - 돈의 철학
[적용하여 이해하기] 정의로서 동해보복
2. 폴레마르코스
[적용하여 이해하기] 칼 슈미트 - 적과 동지의 구별
3. 트라시마코스
[세상 들여다보기] 강자의 도구로서 헌법개정
[세상 들여다보기] 헌법 ‘게리멘더링’을 피하려면?
[적용하여 이해하기] 홉스 - 리바이어던
4. 글라우콘
5. 기게스 반지
[세상 들여다보기] 하박국: 왜 악인이 잘 사는 것입니까?
[적용하여 이해하기] 칸트의 정언 명령
[세상 들여다보기] 쾌락주의와 폭력
제3장 국가: 사람과 제도
1. 큰 글씨와 작은 글씨의 비유
2. 국가
1) 최소 국가의 탄생
[적용하여 이해하기] 노직의 최소 국가
2) 돼지 나라에서 호사스런 나라로
[적용하여 이해하기] 사회계약과 국가 성립
[적용하여 이해하기] 헤겔 국가론
3. 수호자
[적용하여 이해하기] 파워엘리트
1) 수호자의 자격
2) 수호자의 교육과 훈련
3) 시가와 체육 교육
[세상 들여다보기] 영국의 신사(gentleman) 교육 - 존 로크
[세상 들여다보기] 세인트존스 대학 교양교육
[세상 들여다보기] 미메시스는 예술인가?
4) 교육과 검열
[적용하여 이해하기] J.S. 밀과 언론의 자유
[적용하여 이해하기] 존 밀턴 - 지식의 자유시장과 검열 비판
[세상 들여다보기] 한국 헌법과 블랙리스트
5) 교육의 목적
6) 교육방법
7) 교육과 금·은·동 신분
[세상 들여다보기] 독일의 교육제도 - 금·은·동 구별
[적용하여 이해하기] 인간 불평등 - 금수저와 흙수저
[적용하여 이해하기] 로크의 인간 불평등 기원
[적용하여 이해하기]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
8) 수호자의 선발과 여성
[세상 들여다보기] 페미니즘과 한국의 유리천장 지수
9) 수호자의 삶과 생활
(1) 단체 생활
(2) 사유 재산 금지
(3) 처자들의 공유
10) 병의 치료와 안락사
[적용하여 이해하기] 공리주의 - 원리와 한계
사례 1: 리처드 파커 사건
사례 2 : 트롤리 딜레마
사례 3 : 인공지능 판단
4. 국가의 4 덕
[적용하여 이해하기]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중용
[세상 들여다보기] 최순실 국정농단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세상 들여다보기] 통치술과 머슴 노릇
[적용하여 이해하기] 니체 - 낙타를 넘어서
[적용하여 이해하기] 악의 평범성 - 무사유성
[세상 들여다보기] 동독 국경 수비대 재판
5. 정의로운 아름다운 국가
1) 이상 국가의 실현 가능성
2) 철학과 정치
[적용하여 이해하기] 미네르바 부엉이
3) 배의 비유와 정치
[적용하여 이해하기] 마키아벨리 - 이상적 군주
[적용하여 이해하기] 롤즈의 이상사회 - 질서정연한 사회
[적용하여 이해하기] 조화로서 사회통합
6. 비유
1) 태양의 비유
2) 선분의 비유
[적용하여 이해하기] 타불라 라사 - 로크
3) 동굴의 비유
[세상 들여다보기] 패션외교
[세상 들여다보기] 테러방지법과 필리버스터
[세상 들여다보기] MBC 뉴스 사과 (2017.12.26.)
[세상 들여다보기] 괴벨스 공화국 - 홍준표
4) 철인의 임무
5) 동굴의 비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전제군주
[세상 들여다보기] 좌편향 헌법안 비판과 북한 헌법
[세상 들여다보기] 북한 - 동굴 안의 사회 체제
[적용하여 이해하기] 한나 아렌트 - 인간의 조건
[세상 들여다보기] 재미 동포 아줌마 북한에 가다
7. 정체와 국가의 타락
1) 최선자 정체
2) 명예 정체
3) 과두 정체
[세상 들여다보기] 과두정 - 이익의 사유화, 손실의 사회화
[세상 들여다보기] 한국의 부패인식지수
[세상 들여다보기] 왜 ‘이화여대 사태’에 절망하는가?
4) 민주 정체
[세상 들여다보기] 한국의 민주주의 수준
5) 참주 정체
8. 정의로운 삶과 불의한 삶
제4장 플라톤의 이상 국가 비판
1. ‘이상 국가’ - 비전인가 악몽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라톤 비판
1) 국가의 탄생
2) 공동체로서의 국가
3)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체 분류
4)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세상 들여다보기] 판사가 적폐 대상인가?
3. 니체의 플라톤 비판
1) 플라톤주의를 뒤집은 것
2) 사이비 - 실제로서 이데아
3) 대지와 행복
4. 칼 포퍼의 플라톤 비판
1) 닫힌사회와 열린사회
2) 국가 유기체론 비판
3) 국가의 세 계급 구분에 대한 비판
4) 포퍼의 플라톤 비판의 한계
5.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
6. 플라톤의 비전
제5장 플라톤의 유산: 서구문명의 선각자
1. 플라톤과 기독교
2. 통치- 지혜와 법
3. 신을 따르는 사람
4. 우리는 모두 포로이다 - 선과 진리 그리고 아름다움을 향하여
5. 사랑을 넘는 사랑
6. 영혼이 있는 삶
7. 나라를 나라답게 하는 정치 - 왕도적 직조공 작업
저자소개
책속에서
플라톤의 위대한 발견은 ‘이데아론’이다. 이데아는 몸의 눈이 아닌, 마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사유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데아의 미는 마음의 눈, 혼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그의 외모로 인하여 놀림과 연극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내면의 아름다움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 소크라테스의 혼의 아름다움은 플라톤을 변화시켰다.
이상적인 국가는 ‘지혜자는 지혜를 가지고 국가를 경영하며, 수호자는 용기를 가지고 나라를 지키며, 생산자는 절제를 가지며 자신의 생업에 종사하는 나라’이다. 이러한 상태가 다름 아닌 ‘올바름’(정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