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96189037
· 쪽수 : 295쪽
· 출판일 : 2018-03-20
책 소개
목차
서론: 한국교회의 새로운 비전, 지역과 함께 하는 ‘선교적 교회’ / 16
제1부 새로운 교회,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
| 제1장 | ‘생존의 교회론’과 ‘선교적 교회론’ / 26
| 제2장 |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 42
| 제3장 | ‘공적 진리’인 복음과 ‘하나님의 나라’ / 51
| 제4장 | ‘선교적 교회’의 개척과 자비량 사역 / 67
| 제5장 | 기성교회의 선교적 변화 / 81
| 제6장 | ‘선교적 교회’의 새로운 리더십, ‘공동목회(Team Ministry)’ / 88
| 제7장 | ‘선교적 교회’의 해석학: ‘경청’과 ‘이웃되기’ / 99
| 제8장 |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 111
| 제9장 | 한국적 ‘선교적 교회’의 가능성 / 119
제2부 지역공동체와 함께 하는 교회
| 제1장 | ‘성육신 신학’과 지역공동체 선교 / 134
| 제2장 | ‘선교적 교회’와 도시선교 /143
| 제3장 | 지역공동체를 섬기는 미국의 ‘세이비어 교회’ / 152
| 제4장 | 도시공동체를 세우는 영국의 도시선교 / 162
| 제5장 | ‘후기세속도시(post-secular city)’와 새로운 선교의 비전 / 174
| 제6장 | ‘마을목회’의 비전에 담긴 선교적 의미 / 185
| 제7장 | ‘선교적 교회’의 목회적 실천, ‘문화목회’ / 194
| 제8장 | 지역공동체의 ‘문화복지’와 ‘선교적 교회’ / 201
| 제9장 | 지역공동체를 섬기는 ‘선교적 교회’의 공공성 / 210
제3부 21세기의 문화적 도전과 새로운 교회
| 제1장 | ‘문화’ 속으로 파송된 교회 / 222
| 제2장 |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선교적 교회’ / 229
| 제3장 | ‘네트워크 사회(Network Society)’의 도래와 교회의 미래 / 237
| 제4장 | 한국사회의 탈종교화와 선교적 대응 / 245
| 제5장 | 선교적 과제로서의 ‘청년문제’ / 253
| 제6장 | ‘후기세속사회(post-secular society)’와 ‘선교적 교회’의 공공성 / 261
| 제7장 | ‘더 나은 사회’, ‘선교형 교회’, 그리고 ‘공동의 선’까지 :
영국의 기독교축제 / 275
결론: 한국교회의 새로운 변화를 기대하며 /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