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8350933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6-02-01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선교적 교회들의 세계적 지형
북미의 선교적 교회의 동향 분석과 한국의 선교적 교회의 현재
영국 성공회의 새로운 교회 개척 전략과 한국적 적용
북미 교회 개척 동향에 대한 소고와 한국 교회 개척에 대한 제언
2부 한국의 선교적 교회 이야기들
기성 교회들의 신생 교회 지원 유형과 협력 사역
선교적 교회 개척 전략
선교적 교회의 보내심과 리더십
디아코니아와 선교적 교회
문화와 예술을 통한 새로운 도시 선교 미와십자가교회
공동체성과 공공성을 회복하는 선교적 교회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선교적 교회”는 프로그램이나 모델을 제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선교적 교회”를 지향하는 것은 성장이나 부흥 전략과는 거리가 멀다. “선교적 교회”란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을 선교에서 찾으려는 것이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하나님은 선교하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세상을 창조하신 후 끊임없이 선교적 행위를 지금도 하고 계신다. 세상의 구원을 위해서 아브라함을 통해 언약을 맺으셨고, 모세와 예언자들을 보내셨으며, 급기야 독생자를 보내셨다.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자신을 보내셨다고 여기셨으며, 아버지와 아들은 다시 보혜사 성령을 보내셨다. 주님은 아버지가 자신을 보내신 것처럼, 제자들을 세상에 보내셨다(요 17:18).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이 세상에 보내신 선교적 공동체이다.
물론 한국 사회의 역동적인 변화와 다양성은 영국 사회의 그것과 큰 차이가 있다. 여전히 작동하는 이념 갈등과 지역 갈등, 빈부 갈등, 계급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면서 교회는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도덕적 신뢰를 전혀 얻지 못하고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영국 성공회가 영국 사회에 대해 ‘설득력 구조(Plausible Structure)’를 갖는 일이 바로 선교형 교회라고 여기며, 성육신의 새로운 교회론으로 선언하였다는 점이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