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024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서문: 시대적 요청으로서의 공공신학
1부 공공신학과 도시 공동체의 만남
1장 한국적 공공신학의 필요성
2장 공공신학의 주제들
3장 공공신학과 지역 교회
4장 공공신학과 지역 공동체
5장 공공신학과 도시 공동체
2부 공공신학과 문화 변혁
6장 공공신학과 문화 변혁
7장 다원적 공론장과 기독교의 미학적 공공성
8장 대중문화의 상상력과 기독교 문화의 공공성
3부 공공신학으로 읽는 한국 사회
9장 공공신학과 영화비평 그리고 기독교 공론장
10장 공공신학과 지역 공동체를 살리는 문화 복지
11장 윤리적 소비 운동과 교회의 지역 선교
12장 청소년 문제와 교회 교육의 공적 책임
13장 청년 문제와 한국교회의 공적 역할
14장 ‘청년 신학’을 위한 공공신학적 방법론
4부 공공신학과 종교개혁 유산
15장 칼뱅의 문화 목회와 제네바 도시 선교의 공공성
16장 루터의 ‘두 왕국(정부)론’에 대한 공공신학적 이해
17장 만인사제론의 공공신학적 실천과 선교적 교회
결론: 한국에서 공공신학자로 살아간다는 것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공신학은 세속화로 인해 위축된 기독교의 위상을 되찾기 위한 주도권 다툼이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개인/공공, 교회/사회를 이원화하는 근대적 주객 도식의 틀에서 벗어나 신학의 본질적 공공성을 공적 영역에서 구체화하는 작업이어야 한다. 이것은 세속화에 포섭된 종교사회학의 협소한 현상학적 이해를 교정할 뿐만 아니라 종교의 사회적 의미를 생산하고 재해석하는 작업이다. 결국 세속화 이론은 오류이며 기독교가 여전히 공공 영역에서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설득하려면, 기독교 외부의 이웃들과 어떻게 소통, 연대, 협력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
_ 1부 3장 공공신학과 지역 교회 중에서
신학적 관점에서 대중문화를 비평하는 것은 대중문화의 생산과 소비의 유통 과정 그리고 대중문화의 형식과 내용을 하나님 나라의 가치로 비판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이 교회 공동체를 다시 도덕적 판단을 집행하는 배타적 집단으로 고립시켜서는 안 된다. 예컨대 영화에 대한 기독교적 비평과 영화에 나타난 기독교에 대한 성찰을 통해 기독교는 다양한 해석 중 하나로 그 독특성과 고유성을 드러낼 수 있다. 예배에 영화를 활용하거나 영화를 통해 기독교의 진리를 전하려는 노력은 영화적 상상력에 참여함으로써 기독교의 가치를 보급하고 사회적 상상력을 기독교적으로 변혁하는 미학적 실천일 수 있다.
_2부 6장 공공신학과 문화 변혁 중에서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언제나 공동체 전체의 유익을 고려한다. 그리스도인의 신앙고백은 삶 속에서 구체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개혁교회의 영성인데,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의 삶의 양식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야 할 영역은 바로 소비에 대한 태도일 수 있다. 그리스도인에게 경제생활은 선이나 악이 아니라 기본적인 삶이지만,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경제생활의 원칙과 제도를 하나님이 원하시는 정의로운 모습으로 변혁해야 할 책임이 있다. 여기서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는 개인은 언제나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이다.
_3부 11장 윤리적 소비 운동과 교회의 지역 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