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독서/작문 교육
· ISBN : 9791196316860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다시, 공부머리 독서법》 사용법
1부. 영유아
책 읽어주기, 이렇게 하면 되나요?
1. 영유아 독서 지도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2. 책 읽어주기 말고 다른 교육은 안 해도 될까요?
3. 책 읽어주기를 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4. 책을 얼마나 읽어주어야 하나요?
5. 어떤 책을 읽어줘야 하나요?
6. 아이가 책 고르기를 어려워해요
7. 어떻게 읽어줘야 하나요?
8. 아이가 답해주기 어려운 질문을 해요
9. 그림부터 보려는 아이 때문에 책 읽어주기가 힘들어요
10. 아이가 책장을 너무 빨리 넘겨요
11. 책 읽어줄 때 아이가 자꾸 딴짓을 해요
12. 책을 읽어줬는데 아이가 내용을 기억 못해요
13. 같은 책만 계속 읽어달라고 해요
14. 한 분야의 책만 읽으려고 해요
15. 전집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16. 책 읽어준대도 싫다고 해요
17. 영유아 스마트폰 지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8. 오디오북을 들려주는 것은 괜찮은가요?
19. 영상으로 동화를 보여줘도 되나요?
20. 책 읽어줄 시간이 없는 워킹맘, 워킹대디는 어쩌죠?
21. 다둥이 가정은 어떻게 읽어줘야 하나요?
22. 한글 교육은 언제 시키는 게 좋을까요?
23. 스스로 읽기는 언제부터 시켜야 하나요?
24. 아이를 독서가로 키우려면 부모도 꼭 책을 읽어야 하나요?
25. 아이가 슬픈 책, 감동적인 책을 싫어해요
2부. 초등 저학년
읽기 독립은 어떻게 시켜야 할까요?
1. 초등 저학년 독서 지도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2. 초등학생이 됐는데도 자꾸만 읽어달라고 해요
3. 초등 1학년도 영유아 때처럼 읽어주면 되나요?
4. 읽기 독립은 어떻게 하나요?
5. 아이가 책 고르기를 힘들어해요
6. 이야기책만 읽으려고 해요
7. 지식도서만 읽으려고 해요
8. 만화책 같기도 하고 그림책 같기도 한 책, 읽게 놔둬도 될까요?
9. 귀신 이야기, 요괴 대백과 같은 자극적인 책을 사달라고 해요
10. 책 읽으라고 하면 학습만화만 봐요
11. 글책을 잘 읽으면 학습만화를 허용해도 괜찮지 않을까요?
12. 학습만화도 잘 읽고, 글책도 잘 읽는 아이는 없나요?
13. 자기 연령대보다 수준 높은 책을 읽으려고 해요
14. 필독서, 권장 도서를 싫어해요
15. 읽는 책의 수준은 어떻게 높이나요?
16. 책을 너무 빨리 읽어요
17. 주인공 이름, 책 제목, 고유명사를 기억 못해요
18. 음독과 묵독 중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가요?
19. 문장 끝을 대충 읽어요
20. 책을 읽을 때 글자를 빼먹어요
21. 책을 읽다 말고 자꾸 다른 책을 읽겠다고 해요
22. 책을 잘 읽었는지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3. 잠자리에서만 책을 보려고 해요
24. 책 읽는 자세가 나빠요
25. 다둥이 가정, 독서 지도가 어려워요
26. 어휘력 관련 도서가 도움이 될까요?
27. 한자 교육을 따로 해야 할까요?
28. 독서 논술 학원은 언제 보내는 게 좋을까요?
29. 어떤 독후 활동이 가장 효과적인가요?
30. 독서록, 독후감 쓰기를 어려워해요
31. 일기에 쓸 내용이 없다고 해요
32. 초등 저학년도 반복독서와 필사가 효과적일까요?
33. 초등 저학년은 왜 슬로리딩을 하면 안 되나요?
34. 스마트 기기로 책을 읽어도 되나요?
35. 영어책 읽기도 문해력을 끌어올려 주나요?
36. ‘리터니’의 독서 지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37. 아이에게 독서 재능이 없는 것 같아 속상해요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유아기는 독서에 대한 아이의 첫인상과 부모의 독서 지도 방향이 결정되는 시기입니다. ‘좋은 책’, ‘도움이 되는 책’을 찾으면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독서는 공부가 되고 맙니다. 그렇게 되면 독서를 지속할 수 없습니다.
“다 필요 없고, 독서를 즐거운 놀이로 만들어주마.”
이 한 가지만 생각해 주세요. 쾌락이 되지 못한 독서는 지속될 수 없습니다.
이상적인 독서량은 양의 문제이기에 앞서 질의 문제입니다. 많이 읽어줘도 부모와 아이가 함께 적극적으로 즐기지 못했다면 이상적인 독서량을 채웠다고 할 수 없습니다. 반면 하루에 삼십 분을 읽어줘도 집중해서 독서를 온전히 즐겼다면 충분한 독서를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부모 모두가 집중해서 즐겁게 책 읽어주기를 할 수 있는 시간, 딱 그만큼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