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644252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9-01-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 노력했는데도 점수가 오르지 않는다면 : 올바른 공부법의 중요성
● 시험에 붙는 사람들은 공부법을 안다. 잘못된 공부법으로 공부하지 마라.
● 열심히 하지 마라 올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누구의 조언을 따를 것인가? 아무 이야기나 듣지 마라.
● 공부법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공부법이 진리라고 믿지는 마라.
2 . 시간 낭비를 줄이는 공부법 : 목표 설정 단계
● 올바른 목표의 설정 : 숫자에 집착하지 마라.
● 올바른 계획의 설정 : 공부에 대한 의지를 과신하지 마라.
● 올바른 학습량의 설정 : 너무 많이 하려고 하지 마라. - 21 ST 공부법
● 올바른 휴식 방법의 설정 : 쉬지 않고 공부하지 마라.
● 휴식의 주의사항 : 스마트폰과 수험생 커뮤니티는 하지 마라.
3.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강의 및 학습 보조 자료의 선택
● 강의의 필요성 : 독학하지 마라.
● 강의를 듣는 요령 : 필기는 하지 마라.
● 실제 강의와 인터넷 강의, 한 가지만이 옳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마라.
● 예습은 하지 마라.
● 누적 복습은 절대 하지 마라.
● 서브 노트와 암기 노트, 서브 노트를 만들지 마라.
4. 합격자의 진짜 공부법 ─ 객관식 시험공부 방법론
● 환기형 암기 :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완전히 암기하려고 하지 마라.
● 초학도의 복습 방법 : 차근차근 공부하지 마라.
● 공부의 순서와 이론 강좌 수강 : 기본서를 암기하려고 하지 마라.
● 기출문제집의 중요성 : 기본서가 기본서라는 생각은 더 이상 하지 마라.
● 기출문제 활용 방법 : 문답 분리형 기출문제집, 연도별 기출문제집은 보지 마라.
5. 시험 직전 관리법,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마라.
6. 효과적인 멘탈 관리 ─ 슬럼프에 빠지지 않는다고 자신하지 마라.
● 슬럼프의 원인
● 슬럼프 극복 방법 ─ 1 (지나치게 많은 공부량)
● 슬럼프 극복 방법 ─ 2 (공부 방법 자체에 대한 혼란)
● 슬럼프 극복 방법 ─ 3 (불가능한 시점을 합격 목표로 설정)
● 정말 공부에 집중되지 않는 하루 대처 요령, 그냥 공부하지 마라.
7. 수험 생활을 하는 오늘도 긴 인생 중 하루다.
● 공부와 연애, 일부러 하지 마라.
● 수험과 운동, 스트레스 받으면 운동은 하지 마라.
● 수험과 수면, 잠 안 자고 절대 공부하지 마라.
● 수험과 음주, 절제할 수 없다면 마시지 마라.
8. 직장인 수험생, 직장인이라고 포기하지 마라.
● 직장인 수험생의 목표 설정 방법
● 직장인 수험생의 효과적인 수험 생활 : 끝까지 직장인 수험생으로 남지 마라.
9.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공부 방법론을 논하기에 가장 적절한 사람은 바로 수험 생활을 거쳐 수험에 성공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적절한 공부 방법론에 대한 통찰과 연구가 선행된 수험 전문가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공무원 시장을 비롯한 성인 수험가에 행정, 사법, 외무 고시와 같은 고등고시와 전문 분야 시험에 합격한 강사들이 많다.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수험 생활 및 공부 방법론을 논하기에 자격을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다. 수험생들은 고된 방법으로 몸을 혹사하거나 의미 없는 중론에 휩쓸리기보다 본인에게 잘 맞는 강사들의 조언을 통해 현실적이고 확실한 방법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공부의 양을 정할 때 공부의 양은 단순히 하루 내지 이틀, 일주일 정도의 기간에 할 수 있느냐의 정도가 아니다. 본인이 수험 생활 전반에 걸쳐 ‘스스로가 무리하지 않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정도’가 적절한 공부의 양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그리고 할 수 있는 정도의 맥시멈보다는 약간 적은 정도로 계획하는 것이 실천하기 더 좋다. 예를 들어 본인이 현실적으로 일주일에 40시간 정도 공부를 할 수 있겠다 싶으면 35시간을 주간 공부 목표로 잡는다.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돌발적인 상황 변수에 대응하고, 그에 따른 죄책감이나 실패감을 줄일 수 있다.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해도 공부할 분량을 일찍 끝내 놓고 본인을 위한 시간의 여유를 가지는 것도 좋다. 이런 식으로 약간의 여유를 두는 것이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지쳐서 슬럼프에 빠지는 것보다 훨씬 합리적인 방법이다.
3-4-4 전략은 하루 11시간을 오전 시간 3시간, 오후 시간 4시간, 저녁 시간 4시간으로 각각 할당한 것이다. 이렇게 계획을 세우면 하루 11시간이라는 목표 공부 시간이 나온다. 아침 7시에 일어나 아침 식사를 한 뒤 도서관(독서실이나 학원 등)으로 이동하여 9시부터 오전 공부를 시작한다. 3시간 동안 공부를 한 뒤 점심 식사를 12시에 한다고 했을 때, 오후 공부는 13시부터 시작하게 된다. 13시부터 4시간, 17시부터 한 시간 동안 저녁 식사를 하면 18시부터 22시까지 저녁 공부 시간 4시간이 확보된다. 이렇게 나누어진 하루 3타임 동안은 한 과목을 공부해도 좋고, 세 과목을 공부해도 좋다. 또한 각각 할당된 타임에는 강의를 수강할 수도 있고 직전 강의를 복습할 수도 있다. 오전 타임에 강의를 들었다면 오후 타임에는 복습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복습 시간은 강의 수강 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