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 방법

과학 방법

김명석 (지은이)
생각생각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 방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 방법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657847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1-04-04

책 소개

과학은 무엇이며,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은 어떻게 다른가? 자연 사물의 본모습은 무엇이고 이것은 무슨 방법으로 드러나는가? 마음과 사회의 본모습은 무엇이고 이것은 무슨 방법으로 드러나는가? 이 책은 이 물음에 답을 한다.

목차

01. 명제
0101. 과학은 앎들의 짜임이다.
0102. 과학은 명제 꾸러미다
0103. “참” 개념은 “명제” 개념을 앞선다
0104. 하느님, 마음, 헤아림
0105. 과학의 바탕 명제는 무엇인가?
0106. 과학은 믿음들의 짜임이다
0107. 나 혼자서는 알 수 없다

02. 추론
0201. 반드시 추론
0202. 말길
0203. 추론규칙
0204. 제1차 논리
0205. 튼튼한 추론
0206. 갈래짓기
0207. 아마도 추론
0208. 가설
0209. 믿음직함

03. 측정
0301. 물리량
0302. 자연
0303. 비율
0304. 한결
0305. 한결의 원리
0306. 코스모스

04. 해석
0401. 인문사회과학
0402. 행위이론과 사회이론
0403. 해석과 심성
0404. 마음의 힘
0405. 행위자의 합리성
0406. 사랑과 코뮌

05. 온갖 알길
0501. 추론은 자연과학의 고유방법인가?
0502. 인문사회과학은 자연과학 방법을 써서는 안 되는가?
0503. 자연과학은 추론과 측정의 방법만을 쓰는가?
0504. 실험은 곧 자연과학 방법인가?
0505. “휴먼 사이언스”라 불리는 인간과학은 인문사회과학인가?
0506. 행위자의 합리성을 가정하는 일은 인문학을 망치는가?
0507. “사피엔스”, “사람”, “행위자”는 똑같은 말인가?
0508. 빼어난 과학철학자들은 세 과학 방법을 어떻게 생각할까?
0509. 여러 가지 대안 방법들

저자소개

김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물리학과 수학과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철학박사를 받은 다음 경북대 기초과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대통령 직속 중앙인사위원회 PSAT 전문관, 국민대학교 교수로 연구하고 일하고 가르쳤습니다. 현재 학아재 학장이며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입니다. 「심적 차이는 역사적 차이」, 「인식론에서 타자의 중요성」, 「존재에서 사유까지: 타자, 광장, 신체, 역사」, “Ontological Interpretation with Contextualism of Accidentals”, 「자연의 원리: 측정과 자연현상」, 「나, 지금, 여기의 믿음직함」 등 40여 편의 학술 논문을 썼습니다. 쓴 책으로는 『두뇌보완계획 100』, 『두뇌보완계획200』, 『과학 방법』, 『엔트로피』, 『확률: 믿음과 우연』, 『플라톤의 소피스트』, 『스피노자의 에티카: 세계』, 『예수 텍스트』 따위가 있습니다. 후기분석철학의 인식론과 언어철학, 언어와 사고의 기원, 의미의 형이상학, 뜻 믿음 바람 행위의 종합이론, 학문의 우리말 토착화, 양자역학의 존재론해석, 측정과 물리현상, 해석과 마음 현상, 믿음의 철학 따위를 주로 공부합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문장의 뜻은 우리가 참이라 여기는 문장들의 그물 안에 스며 있다. 흐릿하고 헷갈리는 믿음들의 배경에서 명제들이 흐릿하고 헷갈리게 떠오른다. 우리는 흐릿함과 헷갈림을 줄이려고 우리의 생각, 믿음, 판단, 발화, 기재를 다듬겠지만 우리는 완전히 또렷한 명제들의 전체 짜임을 결코 얻지 못한다. 과학은 영원히 끝나지 않는 헤아림의 과정이며 마음의 성장이며 정신의 여정이다. 이 과정, 성장, 여정에서 우리는 다른 이와 뜻을 나누어야 한다. 왜냐하면 뜻을 나누는 이 과정에서 우리 믿음, 우리 바람, 우리 뜻이 덜 흐릿하고 덜 헷갈리기 때문이다. 이 의사소통이 없었다면 과학 자체가 아예 생겨나지도 않았을 것이다. 코스모스 없이는 과학도 없겠지만 코뮌 없이도 과학은 없다.” 제1장 명제


“추론은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모두에서 공통으로 쓸 수 있는 과학 방법이다. 자연과학에 속하는 수학과 통계학은 추론으로 가득 차 있다. 이 과학들은 추론의 과학이라 할 만큼 추론의 도구들을 많이 다룬다. 인문사회과학에서도 때때로 수학이나 통계학의 이론을 쓴다. 인문사회과학이 그 이론을 쓰는 까닭은 그 이론이 단지 추론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믿음직함을 매기는 일은 자연과학 활동이 아니라 추론 활동이다. 명제에 수를 매긴다는 까닭에서 믿음직함을 자연과학의 주제라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 믿음직함은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에서도 쓸 수 있다. 믿음과 믿음직함을 연구하는 학문은 인식 주체가 갖는 믿음을 다룬다는 점에서 자연과학보다는 오히려 인문과학에 더 가깝다.” 제2장 추론


“자연은 세계의 한 측면이다. 세계를 물리 사물과 사건으로 쪼개는 것은 세계를 쪼개는 여러 가능한 방식들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전체로서 우리 세계는 물리 재료들의 단순한 총합이 아니다. ‘전체 세계’가 그 자체로 물리 세계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한결의 원리를 바탕으로 세계를 측정하여 세계를 쪼개는 것이 유일한 방식이라고 볼 까닭이 없다. 세계를 쪼개고 갈래짓고 추리는 다른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나는 현상들의 변화를 추적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고 믿는다. 나는 그것을 ‘해석’이라 부른다. 해석은 측정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고 세계를 쪼갠다. 측정과 자연과학은 세계를 측정할 수 있는 물리 현상들이 출몰하는 곳으로, 물리계로, 자연으로, 코스모스로 꾸민다. 반면 해석과 인문사회과학은 세계를 해석할 수 있는 지향 현상들이 출몰하는 곳으로, 지향계로, 의미의 세계로, 코뮌으로 가꾼다.” 제3장 측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