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논리와 비판적 사고
· ISBN : 9791196389598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4-07-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두뇌보완위원회 | 독자 사용설명서 | 교사·교수 사용설명서 | 참고문헌
001 추론, 전제, 결론 | 002 참값 | 003 참이다 | 004 거짓이다 | 005 이고, 이거나, 이면 | 006 “이고”의 뜻 | 007 거짓이다 없애기 | 008 이고 넣기 | 009 이고 없애기 | 010 차근차근 이끌기 | 011 왜냐하면 | 012이거나 넣기 | 013 이거나 없애기1 | 014 이거나 없애기2 | 015 이면 없애기1 | 016 이면 없애기2 | 017 이면 없애기3 | 018 말길 잇기 | 019 모순문장 | 020 거짓이다 넣기 | 021 이면 넣기1 | 022 이면 넣기2 | 023 이면 뒷말 없애기 | 024 이면 잇기 | 025 이러나저러나1 | 026 이러나저러나2 | 027 문장논리 | 028 “이거나”의 뜻 | 029 이고 나눔과 이거나 나눔 | 030 모아 거짓이다 | 031 따라 나온다 | 032 서로 따라 나온다 | 033 달리 쓰기 규칙과 차근차근 이끌기 | 034 반드시와 어쩌다 | 035 이면 앞뒤 바꿈 | 036 “이면”의 뜻 | 037 일 때 오직 그 때만 | 038 그냥 이면과 반드시 이면 | 039 이렇거나 저렇다면 | 040 이어야 | 041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 042 반사실 조건문 | 043 일관되다 | 044 못마땅하다 | 045 형식 오류 | 046 참됨과 마땅함 | 047 튼튼하다 | 048 홑문장과 두루문장 | 049 모든 | 050 몇몇
| 051 벤 그림 | 052 모든 몇몇 달리 쓰기 | 053 벤 그림 추론1 | 054 벤 그림 추론2 | 055 양화논리1 | 056 양화논리2 | 057 참말 놀이 | 058 거짓말 놀이 | 059 보물상자 | 060 줄세우기 | 061 짝짓기 | 062 갈래짓기 | 063 과학 추론1 | 064 과학 추론2 | 065 아마도 추론 | 066 어림잡아 | 067 비슷하니까 | 068 탓하기 | 069 추론 그림 | 070 논증 그림 | 071 강화와 반론 | 072 결론 빌리기 | 073 하소연 | 074 딴소리 | 075 인신공격 | 076 치우친 근거 | 077 잘못된 탓 | 078 못미더운 가정 | 079 헷갈리는 말 | 080 믿음직함 | 081 베이즈 공리 | 082 거짓 긍정 | 083 심슨 재판 | 084 마음먹음 | 085 미리 사놓기 | 086 담배 끊기 | 087 파스칼의 내기 | 088 핵무장 | 089 꾀 | 090 우월전략 균형 | 091 죄수의 딜레마 | 092 내쉬 균형 | 093 위험 감수와 회피 | 094 셸링 초점 | 095 공공재 | 096 패러독스 | 097 모래더미 | 098 두 딸아이 | 099 벨 정리 | 100 하느님
정답 | 논리 기초 | 말꼴 모음 | 배움낱말 모음 | 논리학자 모음 | 감사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논리는 우리 삶에서 공기와 비슷합니다. 생명체로서 우리는 숨을 내쉬듯 해석 주체로서 우리는 논리를 내쉬어야 합니다. 우리는 숨 쉬는 일만으로 과학, 종교, 예술, 기술에서 탁월성을 발휘할 수 없습니다. 과학은 숨 쉬는 일 이상이고 예술도 숨 쉬는 일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과학, 종교, 예술, 기술 등은 논리 그 이상입니다. 하지만 논리를 무시한 채 과학을 할 수도 예술을 할 수도 없습니다. 논리는 우리의 이념이며 인류의 공감 기반입니다.”
“튼튼한 추론의 결론은 우리 세계에서 실제로 참이다. 하지만 결론이 실제로 참임은 그 추론을 튼튼하게 만들지 못한다. 나아가 전제들과 결론이 모두 실제로 참이더라도 그 추론은 튼튼하지 못할 수 있다.”
“에드워드 데이머는 2012년에 나온 『그릇된 생각 까기: 오류 없는 논증 실용 안내서』 제7판에서 좋은 논증의 다섯 조건을 내걸었다. 첫째, 논증의 기본 골격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전제들은 결론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 셋째, 전제들이 결론을 잘 뒷받침해주어야 한다. 넷째, 전제들이 받아들일 만해야 한다. 다섯째, 예상되는 반론에 잘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들 다섯 조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갖추지 못할 때 그다지 좋은 논증이 못된다. 이런 논증을 나쁘게 말해 ‘오류’라 하고 좋게 말해 ‘레토릭’ 또는 ‘수사’라 한다. 여기서 오류는 그릇된 믿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릇된 추론 또는 논증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