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수산 대기자 남달성의 회상

수산 대기자 남달성의 회상

남달성 (지은이)
(주)베토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2,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수산 대기자 남달성의 회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수산 대기자 남달성의 회상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6696672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4-02-22

책 소개

수산업 현장을 누비며 생생한 취재와 보도를 하던 팔순 고령의 수산 대기자(大記者)의 최신 원고가 출간됐다. ‘수산 대기자 남달성의 회상’은 저자 남달성의 2014년 은퇴 선언 이후 첫 단행본이다.

목차

발간사 2
프롤로그 4
1 사할린 연어 이야기 12
2 첫 해외 어장개척에 나서다 18
3 지상낙원 팔라우서 가다랑어를 잡다 26
4 남극해 크릴 조업에 나서다 35
5 폭풍대 앞에서 왜소해지는 남북호 44
6 촌지寸志와 기자 53
7 그들은 왜 전문지 기자를 거부했을까? 62
8 백발白髮 대기자를 보고 싶다 70
9 숨죽이며 조업하는 뱃사나이들 79
10 참치잡이 첫 출어 흔적 87
11, 12 최신어법 참치 선망어선을 타다 96

저자소개

남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생으로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 증식학과를 나와 1969년 서울신문 수습기자로 언론인의 길을 걸었다. 이어 동아일보 기자와 한국수산신문 주간 겸 상무, 한국수산경제신문 주간 겸 상무와 전무를 거쳐 한국수산신문 주간 겸 부사장을 역임하고 2014년 수산 전문 언론사를 떠났다. 저자는 1975년 수산과학원 소속 태백산호에 승선, 35일간 중서부 태평양 마이크로네시아 상어 시험조업 현장 취재, 1978~1979년 91일간 남북수산 소속 남북호에 승선해 국내 최초이자 세계 8번째 남방양 크릴 시험조업 취재, 1988년 30일간 고려원양 개척호에 승선해 북태평양 명태 조업 취재 등 수산 현장을 누볐고, 한국수산신문과 한국수산경제신문 등 수산전문지에서 사설과 칼럼을 쓰는 등 명실공히 자타가 인정하는 수산 분야 대기자이다. 그의 저서로는 <외진 바다, 외진 사람들>, <대양에 선 개척자들(현대해양사 刊)>, <파도가 빚어낸 초상>, <기자 45년, 수산사설 30년> 등이 있다.
펼치기
남달성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발간사

<현대해양>에서 연재한 ‘수산 대기자 남달성의 회상’ 1년 치 글을 모아 단행본으로 엮어내게 되었다.
남 대기자는 손꼽히는 일간지에서 시작해 45년을 기자로 지냈고 30년 이상 수산사설을 쓴 수산 전문기자로 일가를 이룬 분이다. 그는 1970~1980년대 원양어선에 직접 승선해 미크로네시아, 남빙양, 북태평양의 조업현장을 취재·보도하며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으며, 그간 겪었던 다양한 경험들을 담아 「대양에 선 개척자들(1996)」, 「파도가 빚어낸 초상(2005)」등 4편의 저서를 펴냈다.
2년 전 추운 겨울날, 오랫동안 병마와 싸워 핼쑥해진 그를 만났다. 그러나 또렷한 말씨와 기억력, 강력한 눈빛은 당찬 기자의 포스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수산계에 남기고 싶은 글을 정리해 보시라고 하였다.
그는 은퇴 후에도 2년간 하루 10시간씩 영어공부를 했다고 한다. 세계를 돌아다니며 노르웨이 유명 수산기업 마린 하베스트의 CEO, 미국 뉴욕 브롱크스 헌츠 수산시장 상인, 스페인 라스팔마스의 원양어선 선장, 북태평양 알류산 열도 끝자락 어민까지, 인생 마지막 취재를 떠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 계획은 건강이 나빠져 실행에 옮길 수는 없었다.
이상과 달리 전문지의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남 대기자 역시 회상 글에서 업계로부터 받은 수모와 설움을 기록으로 남기기도 했다. ‘수산 대기자 남달성의 회상’을 단행본으로 엮어내게 된 것을 감사히 생각한다.


◯ 미늘 없는 낚시로 가다랑어를 채낚는 어법도 쏠쏠한 재미를 더한다. 1975년 4월 중부태평양의 상어를 잡으러 갔을 때였다. 현지 샤모르인들은 ‘상어를 어획하러 왔다’고 하면 적이 놀라는 표정을 짓는다. 그곳 사람들은 상어를 먹지 않기 때문이다. 미늘 없는 낚시바늘로 가다랑어를 채 낚는 어법도 흥미와 스릴 만점이다. 대양에서 유유히 흐르는 원목 찾기가 쉽지 않지만 한번 걸렸다 하면 200톤은 느끈히 잡는다. 원목은 어부림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프롤로그 중에서


◯ 기자가 탄 남북호가 남극 수렴선을 넘어서자 바닷물이 변하고 수온도 2도 이상 낮고 서식생물도 다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세찬 바람과 파도가 겁났다.
1979년 1월29일 오후 5시 쯤, 파도가 20m쯤 높아지자 어로장 지시로 투망 중이던 그물을 끌어올렸다. 다음날 아침 바람의 세기 순간초속 42m, 파도 높이 17을 오르내렸다. ‘하느님! 제발 가족이 있는 우리 집으로 인도해 주십시오’ 라고 간곡히 기도했다.
세찬 바람이 가신 후 모두들 안도의 숨을 쉴 때 ‘난생 처음 겪는 바람과 파도’라고 30년 노수부는 그날의 위기를 말했다.
-프롤로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