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지/출판 > 출판/편집
· ISBN : 9791197051500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0-05-29
책 소개
목차
■ 제1부 출판학 원론
Ⅰ. 출판학의 본질론과 현상론
1. 서론 : 출판학 원론을 위한 새로운 관점
2. 출판본질론 : 근원적·특성적 성격
3. 출판현상론 : 미시적·거시적 관점
4. 출판학 연구에서 본질과 현상
5. 결론 : 출판학 연구에서 본질론과 현상론
Ⅱ. 출판학 연구의 영역과 대상
1. 서론 : 연구 영역과 연구 대상의 체계화
2. 출판학의 연구 영역
3. 출판학의 연구 대상
4. 결론 : 출판학 연구의 영역과 대상
Ⅲ. 출판학의 체계와 연구방법론
1. 서론 : 출판학의 체계와 연구 방법의 새로운 모색
2. 출판학의 체계론
3. 출판의 커뮤니케이션 순환론
4. 출판학의 연구 방법론
5. 결론 : 출판학의 체계와 연구 방법
■ 제2부 출판 현상론
Ⅰ. 출판정책 과정의 이론모형 개발 연구
1. 문제의 제기
2. 출판정책 과정의 이론적 배경
3. 출판정책 과정의 모형과 이론
4. 결론과 제언
Ⅱ. 출판독서를 통한 시니어 세대의 문화복지 연구
: 고령화 친화적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Ⅲ. 전환기 미디어로서의 출판의 공간 확장
: 본질적·산업적·교육적 관점에서 본 출판
1. 서론 : 전환기 미디어로서의 출판의 현재
2. 전환기 미디어로서의 출판의 공간 확장
3. 결론 : 전환기 미디어로서의 출판의 미래
Ⅳ. 출판콘텐츠의 다중 미디어 확산 전략 연구
: 스토리텔링 3방식을 중심으로
1. 서론 : 출판 환경의 급변과 새로운 접근법
2. 콘텐츠와 다중 미디어 확산의 이론적 배경
3. 출판콘텐츠의 다중 미디어 확산 전략
4. 결론 : 스마트 미디어 시대 출판의 활로 모색
Ⅴ.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서 출판 콘텐츠의 확장과 적용
1. 서론
2. 원천 콘텐츠로서 출판 콘텐츠의 확장성
3. 거점 콘텐츠로서 출판 콘텐츠의 적용성
4. 결론
Ⅵ. 북한출판 연구 : 출판 성격과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1. 북한출판 연구의 필요성과 현실성
2. 북한출판의 사상적 배경과 기본 성격
3. 북한의 출판구조와 출판사
4. 북한출판의 실태 분석
5. 북한도서의 특성 분석과 남북한의 도서출판 비교
6. 북한출판 연구 및 민족출판 형성의 과제와 방향
Ⅶ. 출판학 연구의 국제 동향과 방향 분석(Ⅱ)
: 국제출판학술회의(IFPS)를 중심으로
1. 서론 : 국제출판학술회의 연구 필요와 목적
2. 분석 기준
3. 분석 결과
4. 결론 : 출판학 연구의 국제 교류와 발전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