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7110689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1-10-19
목차
part 1 “유엔사령부”의 실체와 그 문제점 7
머리말 9
Ⅰ. “유엔사”는 유엔의 전문기구나 보조기구가 아니다 13
1. 1950년 6월 25일 안보리결의 82호의 문제점 14
2. 1950년 6월 27일 안보리결의 83호의 문제점 20
3. 1950년 7월 7일 안보리결의 84호의 문제점 23
Ⅱ. “유엔사”는 한국 주권을 침해했다 41
1. 미국 통제 하 한국군의 예속 41
2. 북한 침략과 점령 45
3. 남북 평화와 발전의 방해 52
‘Ⅲ. “유엔사”는 미국법을 위반하여 창설되었다 55
1. 유엔참여법 위반 55
2. 미국 헌법 위반 57
Ⅳ. “유엔사”는 일본 평화헌법을 위반했다 61
1. 헌법 9조 ‘전쟁능력’ 금지의 위반 61
2. 일본의 한국전쟁 참전 63
3. 허위 ‘유엔-일본정부 간 SOFA’ 설정과 “유엔사” 병참기지화 66
Ⅴ. “유엔사” 해체는 오래 지연되었다 69
1. 유엔은 이미 “유엔사” 해체를 요청했다 69
2. “유엔사”는 1978년부터 허울뿐인 집단이다 72
3. 퇴물이 된 “유엔사” 재활성화 시도 73
4. 한국전쟁의 지속을 위한 “유엔사” 명칭 사용 76
Ⅵ. 결론 79
부록A ― 가짜 “유엔사령부” 해체를 위한 선언서 84
부록B ― 실행위원회 86
부록C ― 지지단체와 개인들 87
part 2 Real Identity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and Its Problems 93
Foreword 95
Ⅰ. “UNC” is Not a Specialized Agency or Subsidiary Organ of the UN 99
1. Problems in the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2 of June 25, 1950 100
2. Problems in the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3 of June 27, 1950 106
3. Problems in the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4 of July 7, 1950 108
Ⅱ. “UNC” Has Violated Sovereignty of Korea 125
1. Subjugation of South Korean Military under U.S. Control 125
2. Invasion and Occupation of North Korea 129
3. Obstruction of South-North Cooperation Projects 136
Ⅲ. “UNC” Was Created in Violation of U.S. Laws 139
1. Violation of the “UN Participation Act” 139
2. Violation of the U.S. Constitution 141
Ⅳ. “UNC” Has Violated Japan’s Peace Constitution 145
1. Violation of Article 9’s Prohibition against “War Potential” 145
2. Japan’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147
3. Creation of Bogus “UN-GOJ SOFA” and “UNC” Logistic Bases 150
V. Dissolution of “UNC” Is Long Overdue 153
1. UN Already Called for Dissolution of “UNC” 153
2. “UNC” Has Been a Hollow Outfit from 1978 156
3. Trying to Revitalize the Obsolete “UNC” 157
4. Use of “UNC” to Continue the Korean War 160
VI. Conclusion 163
Appendix A―Declaration for Dissolution of the Fake “UN Command” 168
Appendix B―Steering Committee 171
Appendix C―Supporting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172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2020년 우리는 공식적으로 끝난 적이 없는 가장 긴 전쟁 중 하나인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기념했습니다. 이 역사적인 기념일과 동시에 1950년 7월에 소위 “유엔사령부”(UNC)가 창설된 지 7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지난 70년 동안 한국전쟁을 다룬 많은 책들이 출간되었습니다. 불행히도 이 책들 대부분은 “유엔사”의 실체와 역할에 대해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이것은 유엔 기구입니까, 아닙니까? 유엔기구가 아니라면 누가, 왜 만들었습니까? 이 수상한 기구의 임무는 무엇이며, 그것이 오늘날에도 한국에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 기구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 한국에 있는 겁니까, 아니면 남북화해와 교류를 막기 위해 있는 겁니까? 그 답은 이 기구가 2018년부터 남북 협력 사업을 막는 조치를 취했을 때 명확해졌습니다.
한국전쟁을 영구히 종식시키고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빨리 한국과 일본에서 미국의 “유엔사”를 해체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미국과 일본과 한국 민중의 노력이 절박하다고 믿습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유엔의 직접 통제 하에 있지 않은 이 이상하고 전능한 “유엔사”의 실제 역사와 정체성에 대해 스스로 교육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매우 안타까운 일이지만 오늘날 한국에 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유엔사”가 한국전쟁 초기에 유엔에 의해 설립된 유엔의 군사기구라고 믿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이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자에서 보여주고자 합니다.
이 책자에서 다루게 될 다른 문제로는 “유엔사” 설립 시기, 군사기구로서의 법적 근거, 그 임무와 역할의 변질과정, 그리고 한국, 일본, 미국, 유엔 등에 끼친 부정적인 영향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 질문에 대한 답변은 유엔, 미국, 한국, 일본의 역사적 문서와 다양한 서적, 기사 및 뉴스 보도를 기반으로 합니다.
사실 “유엔사”의 숨은 역사를 찾기가 쉽지는 않았지만 불가능한 것도 아니었습니다. 진실을 찾는 중에, 우리는 미국 관리들이 유엔의 이름 아래 유엔과 한국전쟁에 관해 어떻게 세계를 속이려고 했는가를 보여주는 충
격적인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유엔사” 신화는 1950년 한국전쟁 발발부터 시작된 미국의 선전전에서 확실히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유엔사”는 “합법적 유엔기구”도 아니고 오랜 역사를 가진 유엔 헌장 제7장 “집
단 안보 조치”도 아닙니다. 과거에 “유엔사”가 한국에서 한 일은 유엔의 “경찰조치”도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유엔사”의 외국군대는 UN헌장 제43조의 “유엔군”이 아니었습니다. 사실 그들은 미국 주도의 다국적군에
불과했습니다.
“유엔사”에 대한 모든 오해를 파헤치고 최종적으로 폐기해야 할 때입니다. 그것이 오래된 신화와 거짓말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는 한국과 일본 국민이 “유엔사”의 족쇄로부터 국가주권을 되찾고자 할
때 중요합니다. 특히 “유엔사”의 활동이 남한에서 계속 허용되는 한 한국정부가 미군으로부터 전시작전통제권을 되찾으려는 노력은 헛수고가 될 것입니다. 결국 “유엔사”는 단지 미군과 워싱턴 관리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또 다른 미국의 군사도구일 뿐입니다.
세계인들이 이 진실을 정확히 이해할 때, 국제사회는 미국정부에 “유엔사”를 부활시키는 대신 해체하라고 강력히 요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책자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유엔사”의 실체와 어두운 역사를 이해
하고 가짜 “유엔사”의 즉각적 해체를 위한 국제적 요구에 동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유엔사” 해체는 지난 70년 동안의 유엔헌장 정신의 유린을 종식시킴으로써 한국, 일본, 미국 국민의 이익뿐만 아니라 유엔의 목표와 원칙 회복에도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이장희 교수 가짜 “유엔사” 해체를 위한 국제캠페인 실행위원장
2021년 9월 8일, 서울
“유엔사”는 유엔의 전문기구나 보조기구가 아니다
미국 정부는 일반적으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82호(1950년 6월 25일), 결의 83호(1950년 6월 27일) 및 결의 84호(1950년 7월 7일)에 따라 미국 주도의 “유엔사령부”가 설립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더하여 또한 미국 정부는 1950년 평화와 안전의 회복을 위한 유엔의 “경찰조치”를 위해 “유엔군”의 일원으로 한국에 군대를 파견했다고 주장해왔습니다. 이러한 선전은 국제사회뿐만 아니라 많은 미국인과 한국인들이 소위 “유엔사령부”가 유엔의 전문기구 또는 보조기구로 설립되었다고 믿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매우 심각한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유엔사” 웹사이트에는 “북한의 남침에 따라 1950년 7월 24일 유엔사(UNC)가 창설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알고 있는 유엔사령부는 통합사령부”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가 “유엔사”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습니다. 진실은 무엇입니까? “유엔사”의 실체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1950년 6월 25일(한국 시간) 한반도에서 무력충돌이 발발한 직후 유엔안보리
결의 82, 83, 84호가 어떻게 채택되었는지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유엔헌장에 따라 채택되었는지, 결의안이 언급한 내용은 정당한지, 결의가 충실히 이행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말입니다.
1. 1950년 6월 25일 안보리결의 82호의 문제점
유엔헌장 제24조에 따르면, 안전보장이사회는 “국제평화와 안보 유지에 대한 일차적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헌장 제7장은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의 파괴, 침략행위”가 존재하는 상황에 대처할 때 안전보장이사회의 구체적인 절차와 권한을 제시합니다.
헌장 제39조는 특히 안전보장이사회가 1) 위에서 언급한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의 파괴, 침략행위의 “존재를 결정”한 다음, 2) “국제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거나 회복하기 위하여 권고를 하거나 아니면 헌장 제41조와 제42조에 따라 취해야 할 조치를 결정하도록” 요구합니다.
1950년 6월 25일(미국 동부시간) 안보리는 미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한국에서 발생한 무력충돌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유엔사무총장에게 보내는 메시지에서 유엔주재 미대표부 부대표는 주한 미대사의 전신에 따라 “북한군이 6월 25일 이른 아침(한국 시간) 여러 지점에서 대한민국 영토를 침공했다”고 단순히 주장했습니다. 그리고는 미국 대표가 북한이 “평화의 파괴와 침략행위”를 저질렀다고 비난했습니다. 안보리는 비슷한 주장을 하는 서울의 유엔한국위원회 전신도 참고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6월 25일 오전 4시경 북한군이 38선을 따라 강력한 공격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 전신에는 북한에서 방송된 다른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평양라디오의 13시 35분 주장 : 남한이 밤에 선을 넘어 침공한 것에 대해…인민군이 단호한 반격으로 침략군을 격퇴하도록 지시했다…”
따라서 6월 25일 발생한 무력충돌의 기원에 대한 분쟁이 있었던 것은 분명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안보리는 양국 정부대표를 안보리회의에 초청하여 분쟁에 대한 공정한 청문회를 개최할 책임이 있습니다. 유엔헌장 제32조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유엔회원국이 아닌 국가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고려중인 분쟁의 당사자인 경우 분쟁과 관련된 토론에 투표권 없이 참여하도록 초대되어야 한다.”비록 미 유엔대사는 6월 25일 안보리회의에 주미 한국대사 장면(John M. Chang)을 초청하고 장면 대사는 한국정부의 주장을 다시 반복하며 유엔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지만, 안보리는 북한정부 대표의 회의 참석을 위한 초청은 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상대국의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해 당시 안보리회원국이었던 유고슬라비아대표(Mr. Bebler)는 “북한정부가 안보리에 참석해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도록” 초청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습니다.4 그러나 이 결의안은 3개 안보
리 회원국(이집트, 인도, 노르웨이)이 기권하고 소련과 중공(대만 장개석 대표가 여전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부재한 상태에서, 미국과 미국 동맹 5개국의 반대로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만약 유고슬라비아의 결의안이 채택되었다면 북한군이 남한 진격을 중지했을 지 누가 알겠습니까? 성급히 판단하느라 안보리는 남한 관리들의 주장만 따라 북한이 ‘평화의 파괴’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결정하는 미국의 일방적 결의안5을 채택하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안보리는 유엔헌장에 따른 조치의 공정성과 합법성에 대해 많은 의구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