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일신론

백일신론

(법과 도덕에 관하여)

니시 아마네 (지은이), 허지향 (옮긴이)
빈서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백일신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일신론 (법과 도덕에 관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97129612
· 쪽수 : 253쪽
· 출판일 : 2020-09-29

책 소개

현대 일본 시스템은 메이지 초기 유학파 공무원이 만들었다. 여전히 한문으로 글쓰는게 편했던 그들은 어떤 삶을 살았는가. 공자, 유학의 언어와 칸트, 유럽 법철학의 언어가 충돌한다.

목차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제 1 장 『백일신론』상권 . . . . . . . . . . . . . . . . . . 11
1.1 서문 . . . . . . . . . . (남마 츠나노리) . . . 11
1.2 백교일치 . . . . . . . . . . . . . . . . . . . . 13
1.3 가르침이란 무엇인가 . . . . . . . . . . . . . 15
1.4 정과 교의 분리 . . . . . . . . . . . . . . . . . 18
1.5 공자와 육예 . . . . . . . . . . . . . . . . . . 22
1.6 공자의 가르침은 실리적이다 . . . . . . . . . 26
1.7 맹자의 시대 . . . . . . . . . . . . . . . . . . 29
1.8 예가 법이 되다 . . . . . . . . . . . . . . . . . 32
1.9 예와 법의 구분 . . . . . . . . . . . . . . . . . 35
1.10 소박하고 관후했던 삼대 시대 . . . . . . . . . 40
1.11 정형으로 다스렸던 춘추 시대 . . . . . . . . . 43
1.12 법과 법가에 대하여 . . . . . . . . . . . . . . 49

제 2 장 하권 . . . . . . . . . . . . . . . . . . . . . . . . . 53
2.1 법과 교 . . . . . . . . . . . . . . . . . . . . . 53
2.2 법은 올바르고 교는 선하다 . . . . . . . . . . 56
2.3 법과 교의 차이 . . . . . . . . . . . . . . . . . 59
2.4 교와 법의 경계선 . . . . . . . . . . . . . . . . 61
2.5 법으로 애벌빨래하고 교로써 다듬기 . . . . . 63
2.6 권權과 의義 . . . . . . . . . . . . . . . . . . . 65
2.7 권의와 자애 자립의 마음 . . . . . . . . . . . 66
2.8 교와 법은 구분해야 한다 . . . . . . . . . . . 67
2.9 두 개의 도리 . . . . . . . . . . . . . . . . . . 70
2.10 물리의 리 . . . . . . . . . . . . . . . . . . . . 72
2.11 심리의 리 . . . . . . . . . . . . . . . . . . . . 75
2.12 심리도 천리를 따른다 . . . . . . . . . . . . . 78
2.13 인간사에서 물리와 심리의 구별 . . . . . . . . 81
2.14 조화사라는 학문과 철학 . . . . . . . . . . . . 82

제 3 장 「백학연환」총론 . . . . . . . . . . . . . . . . . . 85
3.1 제1 총론 . . . . . . . . . . . . . . . . . . . . 85
3.2 제2 학술기예學術技藝 : 학 / 술 . . . . . . . . . 88
3.3 제2 학술기예 : 기계 / 시설 . . . . . . . . . . 98
3.4 제2 학술기예 : 치지 . . . . . . . . . . . . . . 103
3.5 제2 학술기예 : 진리 . . . . . . . . . . . . . . 109
3.6 제2 학술기예 : 단계 . . . . . . . . . . . . . . 115
3.7 제2 학술기예 : 방법 . . . . . . . . . . . . . . 119
3.8 제2 학술기예 : 연환 . . . . . . . . . . . . . . 122

제 4 장 병가덕행 . . . . . . . . . . . . . . . . . . . . . . . 125
4.1 1강 . . . . . . . . . . . . . . . . . . . . . . . 125
4.2 2강 . . . . . . . . . . . . . . . . . . . . . . . 131
4.3 3강 . . . . . . . . . . . . . . . . . . . . . . . 135
4.4 4강 . . . . . . . . . . . . . . . . . . . . . . . 139

제 5 장 니시 아마네의 생애와 저작 . . . . (허지향) . . . 143
5.1 출생과 성장 . . . . . . . . . . . . . . . . . . 143
5.2 첫 에도 : 난학과 양학, 막부 출사와 결혼 . . . 148
5.3 네덜란드 유학 . . . . . . . . . . . . . . . . . 153
5.4 도쿠가와 요시노부와의 동행 . . . . . . . . . 159
5.5 대정봉환이 정해지고 시즈오카로 . . . . . . . 164
5.6 오랜만에 귀향, 고향에서 쓴 글들 . . . . . . . 167
5.7 신정부 출사 . . . . . . . . . . . . . . . . . . 169
5.8 육군성과 야마가타 아리토모 . . . . . . . . . 172
5.9 동경학사회원 . . . . . . . . . . . . . . . . . . 177

제 6 장 『백일신론』외 해제 . . . . . . . . (허지향) . . . 181
6.1 『백일신론』의 시대적 의미 . . . . . . . . . . 181
6.2 「백학연환」의 전거典據 . . . . . . . . . . . . . 198
6.3 「병가덕행」의 낯선 말들 . . . . . . . . . . . . 218

제 7 장 연보와 저술목록 . . . . . . . . . . . . . . . . . . 233
7.1 연보 . . . . . . . . . . . . . . . . . . . . . . 233
7.2 니시 아마네 저술 목록 . . . . . . . . . . . . . 236
7.3 니시 아마네 연구 목록 . . . . . . . . . . . . . 239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5

찾아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9

저자소개

니시 아마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츠와노번 번의藩医 집안 출생. 번교 요로칸에서 한학을 배웠고 20대 중반부터 에도를 거점으로 양학을 학습했다. 1862년, 막부 세 번째의 외국 사절단의 일원으로 네덜란드에서 유학했다. 가이세이쇼 교수,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오쿠즈메?詰 등을 거쳐, 신정부에서는 육군성 및 학제취조국에서 일했다. 메이지 초기에 수립해야 했던 수많은 시스템들 중에서도 특히 군제에 필요한 규칙과 조례의 초안을 작성했고 직접 네덜란드에서 배운 최신의 법정치학, 유행했던 실증 철학을 일본에 번역하고 소개했다. 메이로쿠샤 및 동경학사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연설하고 글들을 발표했으며, 독일학협회학교의 초대교장, 동경사범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직접 간행한 단행본은 몇 되지 않는다. 니시의 강연문을 토대로 야마모토가 출판한『백일신론』을 제외하면 모두 번역 및 편역이며, 주요 글로는「서양 글자로 국어를 쓰자」,「교문론」,「지설」,「병가덕행」등이 있다.
펼치기
허지향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20년 현재 리츠메이칸 대학 전문연구원으로 출강하면서 교토에서 공부하고 있다. 리츠메이칸 대학에서 2016년 일본사로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philosophyから「哲+學」へ』(文理閣, 2019)를 출간했다. 니시 아마네와 막말-메이지 시기의 사상가들이 일본 내에서 논의되는 방식에 위화감을 갖고 일본 내의 근대화 스토리를 넘어선 사상사 서술을 모색하고 있다. 역서로『한자권의 성립』(사이토 마레시 저, 글항아리, 2018)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주장이라고 할 만한 것도 아닙니다. 여러 가지 종합해서 생각해보니 백교(세상 여러 가르침)라는 것도 결국은 일치한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그 어떤 야만夷狄蠻貊의 나라라 할지라도 누가 나를 때리거나 내 물건을 뺏어가줘서 고맙고 기쁘다고 말할 사람은 한 명도 없습니다. 이것이 그대로 법의 근원이 되는 것입니다. (사람의 마음에도 공통 요소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며)


이렇게 해서 심리를 밝히고 천도와 인도人道를 규명하여 교의 방법을 세우는 것을 히로소히(ヒロソヒ─, philosophy), 번역해서 철학이라고 하여 서양에서도 예부터 논해져 왔습니다. (철학이라는 번역어가 처음 사용되는 순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