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메이로쿠 잡지

메이로쿠 잡지

(문명개화의 공론장)

후쿠자와 유키치, 가토 히로유키, 미츠쿠리 린쇼, 스기 코지, 미츠쿠리 슈헤이, 나카무라 마사나오, 니시 아마네, 쓰다 마미치, 모리 아리노리, 니시무라 시게키, 사카타니 시로시 (지은이), 메이로쿠샤 동인 (엮은이), 이새봄 (옮긴이)
빈서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메이로쿠 잡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메이로쿠 잡지 (문명개화의 공론장)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97129629
· 쪽수 : 483쪽
· 출판일 : 2021-09-15

책 소개

일본사 학술총서 1권. 메이지 6년과 고종 10년의 시간은 무엇이 달랐던 것인가. 문명 개화와 계몽은 어떻게 다른가. 근대와 전근대를 가르는 것은 무엇인가. 메이로쿠 잡지는 일본의 유학파 지식인들이 메이지 유신의 혼란 속에서 창간한 동북아 최초의 학술잡지이다.

목차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제 1 장 메이로쿠 잡지의 전말 . . . . . . . . . . . . . . . 15
1.1 메이로쿠샤 제1회 임원 개선에 관한 연설
. . . . . . . . . . . . . . . . . . (모리 아리노리) 15
1.2 메이로쿠 잡지 출판을 중지하자는 의안
. . . . . . . . . . . . . . . . . (후쿠자와 유키치) 21
제 2 장 국어 및 문자 개혁 . . . . . . . . . . . . . . . . . 27
2.1 서양 글자로 국어를 쓰는 일에 관한 논설
. . . . .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27
2.2 개화의 정도에 따라 문자도 바꿔야 한다는 설
. . . . . . . . . . . . . . . . . (니시무라 시게키) 46
2.3 히라가나의 설 . . . . . . . . . (시미즈 우사부로) 50
2.4 질의일칙 . . . . . . . . . . . . (사카타니 시로시) 55
제 3 장 「학자직분론」과 논평 . . . . . . . . . . . . . . . 59
3.1 학자직분론 . . . . . . . . . . (후쿠자와 유키치) 59
3.2 후쿠자와 선생의 논설에 답하다 (가토 히로유키) 70
3.3 학자직분론에 대한 평 . . . . . . (모리 아리노리) 71
9
3.4 학자직분론에 대한 평 . . . . . . . (쓰다 마미치) 73
3.5 비학자직분론 . . . . . . . . . . . (니시 아마네) 74
제 4 장 민선의원 설립 논쟁 . . . . . . . . . . . . . . . . 79
4.1 민선의원설립건백서 . . . (이타가키 다이스케 외) 79
4.2 민선의원설립 건언서의 평 . . . (모리 아리노리) 86
4.3 블룬츨리『국법범론』발췌역:민선의원 불가립의
론 . . . . . . . . . . . . . . . . (가토 히로유키) 88
4.4 정론 3 . . .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91
4.5 민선의원을 세우려면 먼저 정체를 정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의문 . . . . . . . . (사카타니 시로시) 97
4.6 민선의원의 때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는 논의
. . . . . . . . . . . . . . . . . . (간다 다카히라) 105
4.7 망라의원의 설 . . . . . . . . . . . (니시 아마네) 106
제 5 장 남녀관계와 여성의 역할 . . . . . . . . . . . . . . 111
5.1 처첩론 1 . . . . . . . . . . . . . (모리 아리노리) 111
5.2 처첩론 2 . . . . . . . . . . . . . (모리 아리노리) 113
5.3 처첩론 3 . . . . . . . . . . . . . (모리 아리노리) 115
5.4 처첩론 4 . . . . . . . . . . . . . (모리 아리노리) 118
5.5 처첩론 5 . . . . . . . . . . . . . (모리 아리노리) 119
5.6 남녀동수론 . . . . . . . . . . (후쿠자와 유키치) 122
5.7 부부동권의 유폐론 1 . . . . . . (가토 히로유키) 123
5.8 부부동권의 유폐론 2 . . . . . . (가토 히로유키) 125
5.9 부부동권변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127
5.10 첩설에 관한 의문 . . . . . . . (사카타니 시로시) 129
5.11 교육담 . . . . . . . . . . . . . (미쓰쿠리 슈헤이) 140
5.12 좋은 어머니를 만드는 설 . . (나카무라 마사나오) 144
제 6 장 종교를 이해하는 방식 . . . . . . . . . . . . . . . 149
6.1 교문론 1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149
6.2 교문론 2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152
6.3 교문론 3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157
6.4 교문론 5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159
6.5 교문론 6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162
6.6 교문론 7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167
6.7 교문론 의문 1 . . . . . . . (카시와바라 타카아키) 172
6.8 교문론 의문 2 . . . . . . . (카시와바라 타카아키) 176
6.9 교문론 의문 3 . . . . . . . (카시와바라 타카아키) 179
6.10 개화를 진전시키는 방법을 논하다 (쓰다 마미치) 183
6.11 삼성론 . . .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186
6.12 인민의 성질을 개조하는 설 . (나카무라 마사나오) 188
제 7 장 문명개화와 인민 . . . . . . . . . . . . . . . . . . 191
7.1 개화 제1화 . . . . . . . . . . . (모리 아리노리) 191
7.2 진언일칙 . . . . . . . . . . . . (니시무라 시게키) 192
7.3 개화의 진행은 정부에 의하지 않고 인민의 중론에
의한다는 설 . . . . . . . . . . . (미쓰쿠리 린쇼) 194
7.4 서양 개화는 서행한다는 설 . . . . (쓰다 마미치) 197
7.5 서양 단어 열두 개에 대한 풀이 : 문명개화 해석
. . . . . . . . . . . . . . . . . (니시무라 시게키) 199
7.6 정부와 인민은 이해를 달리한다는 논
. . . . . . . . . . . . . . . . . (니시무라 시게키) 203
제 8 장 자유에 대한 이해 . . . . . . . . . . . . . . . . . . 209
8.1 출판의 자유를 바라는 글 . . . . . (쓰다 마미치) 209
8.2 리버티에 대한 논설 1 . . . . . . (미쓰쿠리 린쇼) 212
8.3 리버티에 대한 논설 2 . . . . . . (미쓰쿠리 린쇼) 215
8.4 신문지론 . .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219
8.5 서양 단어 열두 개에 대한 풀이 : 자주자유 해석
. . . . . . . . . . . . . . . . . (니시무라 시게키) 221
제 9 장 타자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 . . . . . . . . 227
9.1 애적론 .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227
9.2 존이설 . . . . . . . . . . . . . (사카타니 시로시) 231
9.3 적설 . . . . . . . . . . . . . . (니시무라 시게키) 236
9.4 대만정벌의 강화회의에 대한 연설
. . . . . . . . . . . . . . . . . (후쿠자와 유키치) 241
9.5 중국을 얕보지 말아야 한다는 논설
. . . . . . . . . . . . . . . . (나카무라 마사나오) 246
9.6 존왕양이설 . . . . . . . . . . (사카타니 시로시) 251
제 10 장 사회와 국가 제도 . . . . . . . . . . . . . . . . . . 261
10.1 인간 공공의 설 1 . . . . . . . . . . . (스기 코지) 261
10.2 인간 공공의 설 2 . . . . . . . . . . . (스기 코지) 264
10.3 인간 공공의 설 3 . . . . . . . . . . . (스기 코지) 267
10.4 인간 공공의 설 4 . . . . . . . . . . . (스기 코지) 269
10.5 수신과 치국은 두 갈래 길이 아니라는 논의
. . . . . . . . . . . . . . . . . (니시무라 시게키) 271
10.6 조세의 권을 상하 공공으로 해야 한다는 설
. . . . . . . . . . . . . . . . . (사카타니 시로시) 276
10.7 재정변혁의 설 . . . . . . . . . . (간다 다카히라) 280
10.8 고문론 1 . .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286
10.9 고문론 2 . .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288
10.10 사형론 . . .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294
제 11 장 외국인의 국내여행 . . . . . . . . . . . . . . . . . 297
11.1 내지여행 . . . . . . . . . . . . . . (니시 아마네) 297
11.2 내지여행론 . . . . . . . . . . . . (쓰다 마미치) 306
11.3 내지여행에 관한 니시 선생의 주장을 논박하다
. . . . . . . . . . . . . . . . . (후쿠자와 유키치) 311
해제 1 ‘문명개화’와『메이로쿠 잡지』. . (이새봄) . . 321
해제 2 메이로쿠샤 지식인들 논의에 나타난 다양성과
공존의 문제 . . . . . . . . . . . . . (이새봄) . . 357
해제 3 자유민권운동 발흥을 향한 메이지 유학자의 시
선 . . . . . . . . . . . . . . . . . . . (이새봄) . . 381
해제 4 메이로쿠샤 지식인의 religion 이해의 맥락
. . . . . . . . . . . . . . . . . . . . (이새봄) . . 407
해제 5 메이지 일본의 ‘양처현모’론 탄생의 맥락
. . . . . . . . . . . . . . . . . . . . (이새봄) . . 431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7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1
찾아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9

저자소개

후쿠자와 유키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에도江戶시대 막부 말기에 해당하는 1835년에 나카쓰 번中津藩 하급무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5세부터 유학을 배웠고 19세부터 난학蘭學을 배웠으며 이후 영.미 사상을 공부하게 된다. 1858년 번의 명령으로 에도에 난학숙蘭學塾을 열었는데, 이것이 오늘날 게이오대학교慶應義塾의 전신이다. 1860년과 1861년에 막부 사절단의 일원으로 미국과 유럽을 두루 살펴보고 쓴 <서양사정>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큰 명성을 얻었다. 이후 <학문의 권장>, <문명론의 개략>과 같은 책을 집필하면서 메이지시대 일본의 지적 담론을 주도한 계몽사상가이자 교육가로 손꼽히기도 했으며, 이에 따라 일본 1만 엔권 지폐 초상화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펼치기
가토 히로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36년 출생. 양학자, 계몽사상가, 교육관료, 초대 도쿄대학(東京大學) 총장을 역임하면서 근대적 학제형성 및 확립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일본에서 입헌정체와 의회론을 최초로 다룬 저서인 『도나리구사(隣草)』를 썼고, 이후로도 정치학, 국가학 관련 저술을 다수 남겼다. 특히 진화론의 초기 수용자로, 진화론에 입각한 세계관, 국가관이 일본에서 유행하는 데 산파역할을 했으며, 자신의 정치론과 국가론도 모두 진화론에 입각해 전개하게 되면서 후기에는 대표적인 보수주의자, 국가주의자로 알려지게 되었다. 1916년 81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왕성한 학문 활동을 펼쳐 다수의 저작, 강연집 등을 남겼다.
펼치기
니시 아마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츠와노번 번의藩医 집안 출생. 번교 요로칸에서 한학을 배웠고 20대 중반부터 에도를 거점으로 양학을 학습했다. 1862년, 막부 세 번째의 외국 사절단의 일원으로 네덜란드에서 유학했다. 가이세이쇼 교수,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오쿠즈메?詰 등을 거쳐, 신정부에서는 육군성 및 학제취조국에서 일했다. 메이지 초기에 수립해야 했던 수많은 시스템들 중에서도 특히 군제에 필요한 규칙과 조례의 초안을 작성했고 직접 네덜란드에서 배운 최신의 법정치학, 유행했던 실증 철학을 일본에 번역하고 소개했다. 메이로쿠샤 및 동경학사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연설하고 글들을 발표했으며, 독일학협회학교의 초대교장, 동경사범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직접 간행한 단행본은 몇 되지 않는다. 니시의 강연문을 토대로 야마모토가 출판한『백일신론』을 제외하면 모두 번역 및 편역이며, 주요 글로는「서양 글자로 국어를 쓰자」,「교문론」,「지설」,「병가덕행」등이 있다.
펼치기
니시 아마네의 다른 책 >
미츠쿠리 린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스기 코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미츠쿠리 슈헤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나카무라 마사나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쓰다 마미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모리 아리노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니시무라 시게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사카타니 시로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메이로쿠샤 동인 (엮은이)    정보 더보기
1873년, 즉 메이지 6년에 설립된 근대 일본 학술단체 메이로쿠샤(明六社)에서 함께 활동했던 지식인들을 가리킨다. 여기에 참가한 서양학, 유학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후 일본에서 근대적인 형태의 ‘학술계’가 성립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는데, 이전까지의 학술모임은 각 분야 안에서 무리를 지어 교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만큼 각 분야의 벽을 넘어서 하나의 학술단체를 결성한 일 자체가 특이한 현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펼치기
이새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출생. 세이케이(成蹊)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도쿄대학에서 19세기 일본사상사 전공으로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自由」を求めた儒者-中村正直の理想と現實』(中央公論新社, 2020)를 출간했다. 저역서로 『메이로쿠 잡지』(빈서재, 2021), 와타나베 히로시(渡邊浩)의 『동아시아의 왕권과 사상』 한국어 번역본(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3)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근자에 우리는 모여서 사리를 논하거나 이문을 얘기함으로써 학업을 연마하고 머리를 상쾌하게 하였다. 그러한 논의 내용을 적은 바가 쌓여서 책자를 이루게 되었기에 이를 인쇄하여 출판함으로써 동호인에게 나누고자 한다. 얇은 소책자라고는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식이 열리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면 기쁘겠다.


대저 읽기 쉽고 알기 쉬운, 언문일치의 문장을 통해 세상에 뜻을 펼치고 인민의 지식을 진보하게 하는 것은 원래 학자와 교사의 임무이다. 그런데 이러한 임무를 저버리고 그 배운 바에 익숙한 나머지 이상한 글자나 새로운 어휘를 삽입하는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자는 자신의 직무를 크게 태만히 하는 자이다. 삼가 반성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또한 가타가나를 아는 사람도 세상에 많지 않다. 그러므로 나는 오로지 히라가나만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는 바이다.
- 로마자로 일본어를 표기하자는 주장에 대해 한자까지도 버리고 히라가나를 쓰자고 주장한 시마즈 우사부로의 발언


우리나라 인민은 오랫동안 압제의 정치 아래 굴복해왔고, 인간 본성의 자유로운 기상이 꺾였다. 이 기상이란 것은, 나라의 원기이다. 나라의 원기가 위축되어 떨치지 못하고, 국위를 떨치지 못하는 이유이다. 지금 이것을 떨쳐 일으켜 왕성하게 하는 방법은, 다른 것이 아니라 인민으로 하여금 나랏일에 간여하게 하는 것이다. 인민으로 하여금 나랏일에 간여하게 하려면 민선의원을 만드는 일보다 나은 방법은 없다.
- 쓰다 마미치가 민선의원 설립을 옹호하며 쓴 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