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9724854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2-10-17
책 소개
목차
K-기악 머리맡에서 3
프롤로그 11
제1장 기악의 기본적인 이해 21
1) ‘기악’의 정의 Definition 22
2) 천축[인도]형의 어원과 대승불교 33
1. 석존 시기의 기악 33
2. ‘기악’의 중국어 번역과 출전 37
3. 기악의 한·중·범·영 4종어 대조 43
3) 중국 한나라 시대 무덤 속 기악 53
1. 프롤로그 53
2. 기악의 편성 56
3. 도용에 나타난 기악 58
4. 화상석에 나타난 기악 80
5. 화상전에 나타난 기악 89
6. 에필로그 96
제2장 실크로드 선상의 천상Buddhistic Heaven: Devaloka기악 97
1) 비천 도상의 계통과 공양기악 98
1. 자전적 용어 정리 98
2. 조각상에 나타난 비천 101
3. 벽화상에 나타난 비천 105
2) 비천의 현황과 포진 위치 111
1. 비천의 현황 111
2. 비천의 포진 위치 114
3) 천궁의 공연문화 120
1. 불교 교단의 기악 금지론 120
2. 도리천 천궁의 공연장 122
3. 불고자명(不鼓自鳴) 124
4. 전문 예인 긴나라Kiṃnara와 간다르바Gandharva 126
5. 에필로그 128
4) 경변 그림에서 춤추는 보살 기악 129
1. 프롤로그 129
2. 단單무용수 다多악사 [약칭:1무X악] 스타일 130
3. 1사람의 무용수가 있는 확대형 132
4. 양兩무용수 다多악사[약칭 ‘2무X악’] 스타일 133
5. 초당[618~707] 220굴[막고굴] 기악 139
5) 기악 무카[가면]들 147
6) 에필로그 153
제3장 백제와 K-기악의 몇 가지 155
1) 백제 미마지 ‘기악무’ 복원과 선신니(善信尼) 앵정사 156
1. ‘백제기악’에 관한 기록들 156
2. 미마지의 ‘기악무’ 162
3. 밀린 숙제, 오국(吳國)이 아닌 오악(吳樂) 164
4. 미마지의 국적과 직업 171
5. 일본 최초 여승 선신니 앵정사와 기악 전승 176
2) 백제금동대향로와 향음신ㆍ음악신, 간다르바Gandharva 178
1. 프롤로그 178
2. 향로 맨 위의 새Bird, 향음신ㆍ음악신 180
3. 악기의 틀 즉 거순(簴簨) 위에 나는 새들 183
4. 거문고[玄琴]는 ‘우주’가 모델 188
5. 《삼국유사》 ‘가무기악’과 향로의 세계 190
6. 백제악기 공후와 이집트 롱 지터(Long Zither) 193
3) 백제 호선무와 장식 반주악기 197
1. 프롤로그 197
2. 악사의 악기와 춤꾼의 의상 199
3. 백제 호선무의 문화 콘텐츠 (시놉시스) 205
4) 한류의 진원 ‘백제기악’, 오리엔트 문화의 중심에 210
1. 백제기악과의 인연 210
2. ‘한류’의 자생적인 출발점 211
3. ‘백제기악’의 형성과 분류 212
4. 활약한 3대 국제도시들 213
제4장 실크로드 선상의 지상Buddhistic Earth: Sahaloka 기악 221
1) 공연무대가 없는 동대사 내영기악 222
1. 천객(天客)들의 내영기악 222
2. 내영기악과 ‘기악 도구 한 벌’ 226
3. 동대사 건립과 대불 개안공양행사 233
4. 내영기악의 전개 240
5. 동대사 소장의 무카[가면]들 253
6. 에필로그 257
2) 12세기 공연무대가 있는 <일기악> 258
1. 프롤로그 258
2. 12세기 ‘일기악(一妓樂)’의 탄생 260
3. 무대 공연 시기와 장소 261
4. 무대 공연의 특성들 263
5. ‘일기악’의 전체적인 줄거리 273
6. 작품 연구 분석 292
7. 에필로그 300
에필로그: K-기악의 성과와 과제 307
참 고 문 헌 313
부 록 321
1) 백제악 자료 322
2) 기악(伎樂) 자료 모음 335
3) ‘일기악’ 시놉시스 351
4) 무면 Court Dancer Mask 360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글의 연구 주제는 K-기악과 실크로드(Silk Róad)이다. 여기서 ‘K’란 ‘한국 스타일’이란 말이고 ‘기악’이란 대승불교가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한, ‘악기연주와 춤이 합한 예능’을 말한다. 오늘날 BTS[방탄소년단]의 공연에서 보듯이, 여기서 ‘춤’이란 빠른 속도감의 역동성과 여기에 격이 맞는 의상의 화려함 그리고 놀이를 겸한 기기묘묘한 재주 등이 뒤범벅이가 된 현대식 예능을 말한다. 정리하면 춤도 아니고 노래도 아니고 놀이도 아닌데 그렇다고 해도 춤은 역시 춤이고 노래는 역시 노래이고 놀이는 역시 놀이여서 소위 보편성과 역동성을 동시에 확보한 뮤지션(Musician) 혹은 아티스티(Artist)인 셈이다. 그러니까 ‘K-기악’이라 이름을 붙인 것이다. 말하자면, K-기악이 이상적으로 지향하는 꿈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본문 <기악은 대승불교의 확실한 출발 거점이다> 중에서
도용, 그림돌(畵像石), 그림벽돌(畵像磚)을 대상으로 살펴본 바로 기악은 종합예술인 듯하다. 그리고 ‘기악(伎樂)’이란 용어는 동한 시기만 쓰였고, 뒤로 ‘악기(樂伎)’로 쓰였으나 규모면에서 축소되었다. 소위 ‘기악’이 일본 방식으로 ‘가면극’이라면, 골계 담당자가 여기에 속할 듯하다. 골계는 기본적으로 배를 불록하게 하고 엉덩이를 들고 상체는 벗은 채로 넓은 바지를 입었다. 우수꽝스러운 모습을 연출한 것이다.
본문 <기악의 기본적인 이해> 중에서
그런데 특이한 것은 여기에 등장하는 보살형 악사의 얼굴이다. 악사형 보살은 한 팀의 얼굴이 같은 형과 다른 형 두 부류가 있다. 전자는 송대 이후에나 나타나고 이전에는 모두 악사들끼리 다른 장식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머리형이 모두 다르다.
본문 <실크로드 선상의 천상 기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