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97297113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목차
목차
제 1 편
서점 창업 준비 이 정도는 알아봅시다.
Q: 서점을 하기 전 마음의 준비가 되었나요?
Q: 서점을 하면 비용이 많이 드나요?
Q: 서점 판매 마진은 어느 정도인가요?
Q: 동네서점과 독립서점, 어떻게 다른가요?
제 2 편
서점 매장 구상하기
Q: 매장 위치가 어디가 좋을까요?
Q: 1층과 지하, 2층 중에 어느 위치가 좋은가요?
Q: 학교나 학원이 많은 곳이 좋다던데 정말인가요?
Q: 시내 중심가는 월세가 높던데 우리 동네에 오픈해도 될까요?
Q: 주간에 사람이 많은 것과 야간에 많은 것 중 어느 것이 나을까요?
Q: 동네 상권 중에서도 괜찮은 곳은 어딘가요?
Q: 매장 위치와 교통 편의성이 관련이 있을까요?
Q: 매장 위치는 좋지만, 월세가 높은데 괜찮을까요?
Q: 서점 이름 짓는데 주의점이 있을까요?
제 3 편
서점 매장 만들기
Q: 인테리어 비용이 어느 정도 들까요?
Q: 사업계획서를 써보세요.
Q: 예산은 꼭 정하고 시작하세요.
Q: 책장을 얼마나 넣어야 할까요?
Q: 카운터 제작시 유의점
Q: 전기 콘센트는 여유 있게 설치하십시오.
Q: 업무기기는 어느 정도 준비해야 하나요?
Q: 매장 유지 비용은 어느 정도까지 생각해야 하나요?
Q: 매장 꾸밀 때 추가로 신경 써야 할 것이 있을까요? : 책장, 서가
Q: 매장이 작은데 탁자가 필요할까요?
제 4 편
행정 업무 처리하기
Q: 서점 사업자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Q: 음료를 팔고 싶은데 신고를 해야 하나요?
Q: 맥주 같은 주류도 같이 판매하고 싶은데 신고가 어렵나요?
Q: 헌책을 팔아도 되나요?
Q: 사업자등록할 때 간이과세자로 하라고 하는데요?
Q: 사업자등록할 때 일반사업자가 나을까요?
제 5 편
서점 운영 기초
Q: POS 단말기가 뭔가요?
Q: 판매시 책에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기계가 있어야 하나요?
Q: 신용카드 판매를 위한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Q: 상품권을 받아도 되나요?
Q: 사업자 계좌를 추가로 만들 이유가 있나요?
제 6 편
서점 운영에 필요한 것
Q: 서점에 판매할 도서는 어디로 주문하나요?
Q: 출판사에 직접 주문해도 되나요?
Q: 거래 방식으로 책은 모두 현금 주고 사야 하나요?
Q: 위탁 거래와 현매 거래, 한도 거래가 무슨 뜻인가요?
Q: 도매상과 총판이 어떻게 다른가요?
Q: 책을 도매로 공급받을 수 있는 곳이 어디인가요?
Q: 판매되지 않은 책은 반품이 되나요?
Q: 반품이 안 되는 책은 어떻게 하나요?
Q: 그래서 꾸준한 공부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Q: 잡지는 따로 받아야 한다던데 어떻게 하나요?
Q: 초기 입고 주문 수량은 얼마나 해야 하나요?
Q: 초기 주문시 도서 목록은 누가 작성해야 하나요?
Q: 만약 서점 주인이 직접 도서 목록을 정해야 한다면 어떤 기준으로 해야 하나요?
Q: 서점 개점 후 정기적으로 도서 주문시 어떻게 책을 골라야 하나요?
Q: 신간 목록을 정리해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Q: 서점에서 학습 참고서를 판매하지 않아도 운영이 될까요?
Q: 독립출판 도서는 어떻게 입고 하나요?
Q: 최소한의 수익을 얻으려면 한 달 매출이 어느 정도 나와야 하나요?
Q: 마이너스 통장을 이용하라?
Q: 정말 책 도둑이 있나요?
제 7 편
서점 운영의 실제
Q: 북큐레이션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Q: 북큐레이션의 지름길이 있을까요?
Q: 그래도 북큐레이션에 도움이 되는 것이 있을까요?
Q: 책을 어떤 분류로 진열해야 할까요?
Q: 매장 진열의 주의점이 있을까요?
Q: 북큐레이션에서 주의할 점이 있을까요? : 가치관
Q: 도서 진열할 때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Q: 독자가 책 추천을 해달라고 할 때?
제 8 편
서점 매출의 아웃사이더 : 납품
Q: 도서관에 책을 납품할 수 있다던데 어떻게 하나요?
Q: 납품을 전문으로 하는 사이트는 어디 인가요?
Q: 만약 입찰을 해서 우리 서점이 되었다면 진행 과정이 어떻게 되나요?
제 9 편
서점 홍보
Q: 대형서점이 서점 하기에 유리하겠지만, 그래도 작은 서점의 장점이 있을 듯한데요?
Q: 작은 매장의 장점이 있겠지요?
Q: 매장 오픈 후 어떤 서비스가 필요할까요?
Q: 홍보는 어떻게 하나요?
Q: 인터넷 도메인이 필요할까요?
Q: 인터넷으로 책을 팔 수 있을까요?
제 10 편
서점 내 문화 프로그램 운영
Q: 문화프로그램을 하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Q: 서점에서 북콘서트나 북토크를 진행하고 싶은데요?
Q: 참여자가 많은 프로그램은 어떤 것이 있나요?
Q: 참가비는 얼마나 받아야 할까요?
제 11 편
서점 운영시 지켜졌으면 하는 것
*** 서점을 시작하면 이것만은 꼭 지켜 줬으면 하는 것들
Q: 영업시간은 고정되어야 합니다.
Q: 돈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책이 우선이겠죠.
Q: 마지막으로 서점 대표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 있을까요?
Q: 책은 상품이기 이전에 문화입니다.
마치면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단 서점을 하기로 한 이유가 뭔지 한번 생각해 봤으면 합니다.
내가 평소에 책을 좋아해서?
책 읽는 것 외에 딱히 좋아하는 것이 없어서?
서점을 하면 왠지 좋아 보일 것 같아서?
집에 책이 많아 이것만 갖다 팔아도 괜찮을 것 같아서?
서점을 하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서?
등등 많은 이유 중 분명 한 가지는 해당하리라 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책이 되던, 문화가 되던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인지, 아니면 매출에 대한 자신감으로 장사를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되던, 한 가지는 정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이 매장에 대한 방향성이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사람 많이 다니고, 교통 가까운 중심가라고 하면 되겠지만, 그런 곳은 당연히 임대료가 비싸니 사실 말이 안 되는 일이겠죠! 그렇다면 좋은 조건에 임대료가 싼 곳을 찾아야 하는데 이건 정말 더 어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요즘 작은 동네서점의 특징은 중심 상권에서 조금 벗어나거나, 지역 상권이나 아예 동네 주택가에 매장을 개점하기도 합니다.
일단 서점 이름이 ‘한’ 글자는 가급적 추천하지 않는 편입니다. 아니, 가장 나쁜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유는 인터넷으로 검색이 거의 되지를 않습니다. 만약 ‘수 서점’이라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서점 이름이 ‘수’라는 뜻일 겁니다.
검색을 해보면 온갖 매장의 서울 강남 수서 지역의 어떤 매장의 ‘수서점’이라는 곳이 나옵니다. 간혹가다 ‘0수 서점’이라는 곳도 나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