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만드는 사람들의 도시

만드는 사람들의 도시

(메이커시티 세운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

최도인, 임혜경, 박주용, 조은호, 최대혁, 황지은 (지은이)
어반이슈
1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만드는 사람들의 도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만드는 사람들의 도시 (메이커시티 세운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734311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8-12

책 소개

세운을 주축으로 한 도심제조업의 가치를 알림으로써, 수많은 기술자와 상인이 그 자리를 지키며 일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세운 일대의 매력을 발굴하고, 시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힘써온 <다시, 세운> 프로젝트 팀의 이야기를 담았다.

목차

1장 웰컴 투 메이커시티 세운

세 가지 질문으로 읽는 세운
숫자로 읽는 세운
키워드로 읽는 세운

2장 도심제조업의 연결자들

지속가능한 메이커시티를 위한 6가지 프레임워크│최도인
[인터뷰] 균형과 조화의 도시정책을 이끈 행정가│진희선
[인터뷰] 산업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진화를 꿈구는 젊은 리더│홍영표
다시 환대의 장소로 : 세운의 플레이스 메이킹│임혜경
[ 인터뷰] 전통시장의 변화를 실험한 건축가│장영철
[ 인터뷰] 기술의 장벽을 낮추는 예술가│전유진
번역이 필요해 : 기술중개와 세운메이드│박주용
[인터뷰] 미래 손님에게 투자하는 기술중개자│최찬우
[인터뷰] 작품을 넘어선 브랜드를 준비하는 디자이너│한성재
누구나 가르치고, 어디서나 배운다 : 세운은대학과 손끝기술학교│조은호
[인터뷰] 영 메이커를 교육하는 전자박사│차광수
[인터뷰] 교육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문화기획자│황예지
시민이 세운 : 시민 참여의 가능성과 한계│최대혁
[인터뷰] 협업을 통해 로컬 인쇄상품을 개발하는 인쇄인│김태진
[인터뷰] 주민 협의를 이끄는 상인 대표│송진구
미래학교 세운캠퍼스 : 도시현장에서의 창의융합 교육 실험│황지은
[인터뷰] 비즈니스로 세상을 고치는 사업가│신기용
[인터뷰] 사회관계망의 가치를 탐구하는 연구자│안채원

3장 도심의 미래, 만드는 도시

뉴욕의 위기에 대응하는 도심제조업│아담 프리드먼
텀블벅, 보통 사람들의 세상을 바꾸는 프로젝트│염재승
젠틀몬스터와 도심제조업의 현재진행형 파트너십│최우석
박스마스터, 모두가 꿈꾸는 일을 만드는 인쇄업체│김승현
세운 콜렉티브의 일원이 되는 경험
부록

저자소개

최도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7년부터 도시 전략, 문화공간, 창조산업 등 분야 에서 100여 가지 프로젝트의 컨설팅을 총괄해왔다. 2015년 ‘ 거점공간을 통한 세운상가군 산업경제 활성화 전략 수립’의 책임 컨설턴트로 세운과 처음 연을 맺으며, 역동적인 현재 진행형 크리에이티브 시티 세운에 큰 매력을 느꼈다. 2018년부터 세운협업지원센터의 센터장으로 산업 활성화 부문을 이끌고 있다.
펼치기
임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부터 법인행정, 문화기획, 정책연구, 문화공간 운영 등의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메타기획컨설팅 소속 문화기획자다. 문제를 해결하는 동반자로서 큰 담론보다 작은 실 천에 가치를 두는 것을 나름의 철학으로 삼는다. 2018년부터 다시세운 프로젝트에서 기술적, 산업적 요소가 문화적 관점과 교차하도록 기획하는 역할을 하면서, 세운협업지원센터 거점공간 운영 책임을 맡고 있다.
펼치기
박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기술 콘텐츠 시각화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다. 2016년 국내 최초로 메이커 스페이스를 주제로 디자인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메이커 문화와 도심제조 지역과의 접점 및 활용 관계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 지금까지 세운협업지원센터 기술중개소장으로 기술중개, 세운메이드 등 기술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조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내 인권운동문화연대와 마을풀뿌리조직에서 일하면서 지역을 기반으로 한 비영리 영역에서의 경험을 쌓았다. 2015년부터 세운상가 도시재생사업 공동체 활성화 분야 팀장을 맡아 거버넌스 운영에 관여하면서 주로 주민 조직 발굴과 역량 강화, 시민 참여를 토대로 한 교류 프로그램 기획 등을 진행했다.
펼치기
최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운협업지원센터 공동센터장이자 사단법인 공공 네트워크 대표이다. 영화를 전공하고 영화 현장에서 일하다 2006년 ‘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 운영계획 연구’를 계기로 연구와 기획을 병행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Art & Technology lab을 거쳐, 2009년 사회적기업 노리단과 만나면서 문화예술을 통한 마을 만들기 에 주력하고 있다. 다시세운 프로젝트에서는 ‘ 세운은대학’이라는 이름으로 시민과 주민간의 소통과 교류를 돕고 있다.
펼치기
황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실험실 벤처 테크캡슐을 창립했다. 학구적 디자이너이자 실천적 연구자로서 공간 정보와 장소성, 디지털 조형과 제작 구법, 디자인 미디어와 인터페이스, 건축 정보의 유통에 관심이 있다. 동시대 도시와 건축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집합적인 기억과 가치를 재해석하고 재현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 꿈이 뭐냐면 여기 유통단지가 생겨나면 요즘 시대에 맞게 사업을 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거예요. (중략) 이런 시스템이 구축되면 2세, 3세 경영하는 사람들이 계속 나와서 50년, 100년 가게 만들고 싶습니다.
「 2장 ' 인터뷰 산업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진화를 꿈구는 젊은 리더' 중에서」


우리는 세운상가 일대로 들어와 일하며 기존의 구성원인 상인과 기술자 사이에서 일종의 인정을 받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왔다. 매일 문을 열고, 인사하고, 청소하고, 함께 쌓인 눈을 치우는 일상을 나누며, 문화 공간과 제조업 사이에 틈을 만드는 일이었다.
「 2장 ' 다시 환대의 장소로 : 세운의 플레이스 메이킹 중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