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97344626
· 쪽수 : 897쪽
· 출판일 : 2024-03-29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1 4
추천의 글 2 8
저자 서문 14
약어 소개 20
서론 25
I. 에덴 회복의 표준으로서 창조/에덴/아담(1-3장) 39
1. 종말과 창조 40
2. 종말과 에덴 90
3. 종말과 아담 126
II. 타락과 회복의 반전을 위한 발판(4-5장) 161
4. 종말과 타락 162
5. 종말과 타락 그 이후-회복을 향하여 185
III. 에덴 회복의 시작(6-10장) 205
6. 종말과 노아 206
7. 종말과 족장들(아브라함/이삭/야곱/요셉) 239
8. 종말과 모세-출애굽 317
9. 종말과 율법 389
10. 종말과 광야 여행 417
IV. 에덴 회복의 절정(11-15장) 445
11. 종말과 여호수아 446
12. 종말과 사사기 514
13. 종말과 다윗 529
14. 종말과 솔로몬 569
15. 종말과 시편 614
V. 에덴 회복의 선지적 전망(16-17장) 701
16. 종말과 이사야 702
17. 종말과 선지자들(에스겔, 예레미야, 요엘, 학개, 스가랴) 786
결론 880
참고문헌 888
저자소개
책속에서
에덴을 모르고 종말을 논할 수 없다. 에덴의 특징들이 종말적 회복의 틀을 제공한다. ... 그럼으로써 회복의 역사에서 어떻게 종말적 사상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아브람과 노아 그리고 아담 사이에 평행 관계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왜 아브람을 부르시고 계신가? 아담을 통해 이루고자 했지만 실패했고 노아를 통해 계시된 창조 목적과 에덴 회복을 아브람을 통해 이루기 위해 새창조 회복의 구체적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특별히 바벨탑 사건과의 비교하여 바벨탑 무리들이 꿈꿨던 “큰 이름”(11:4)을 하나님은 하나님의 방식대로 대리 통치자로서 아브람에게 제공해 주실 것을 약속하신다(12:2).
모세 언약에서 성막 건축을 통해 에덴 (창조) 회복이 확증되고 난 후에 첫창조의 패턴을 따라 안식일이 제정된 것이다. 제 칠일이 첫창조 완성을 기념하고 인증하기 위해 구별되고 거룩하게 된 것처럼 성막 건축을 통한 새창조의 도래를 기념하기 위해 안식일이 주어지고 있다. 따라서 성막 건축의 일곱 말씀과 함게 주어지는 안식일은 하나님이 창조주임을 인정하고 새창조 사역을 확증하기 위해 주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제 칠일에 하나님의 안식을 기념하는 안식일과 관련하여 거룩을 강조하는 것은 당연하다.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지 못하고 더럽히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 사역과 새창조의 사역을 부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