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행복론
· ISBN : 979119739335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9-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열심히 사는데도 왜 불행할까?
잠깐 행복 늘 불행의 반복
행복 = 긍정적 감정들 > 부정적 감정들
행복 습관 1. 다행이다, 다행이다, 다행이다
~ 할걸, ~ 라면 좋을 텐데 vs 다행이다
다행히 ‘다행이다’를 배우다
지하에서 행복으로 끌어올린 ‘다행이다’
나를 살린 ‘다행이다’
수렁에 빠진 학생을 구한 ‘다행이다’
이제라도 알아서 ‘다행이다’(이·알·다)
행복 습관 2. 비합리적 신념에서 벗어나기
쉽고 편하고 빠르게
자동적이고 빠르지만 왜곡된 생각
왜곡된 생각의 결과
비합리적 신념과 왜곡된 생각
비합리적 신념의 특징
왜곡된 생각 유형
지나친 일반화 | 제멋대로 추론하기 | 파국화 | 이분법적 사고 | 개인화
비합리적 신념의 사례들
빠른 반응과 느린 통제
알아차림으로 브레이크 걸기
숨을 길게 내쉬기
내 안의 소크라테스와의 대화
다른 사람 관찰하기
새로운 비합리적 신념 만들지 않기
비합리적 신념을 대체할 수 있는 생각들 활용하기
알아차림 연습하기
수동적 조건형성과 알아차림을 활용하여 담배를 끊다
알아차림으로 스마트폰 사용 줄이기
행복 습관 3. 도전적 과제 실행하기
무기력감과 우울증에 빠지게 만드는 목표
도전적 과제란?
도전적 과제가 요구하는 능력들
자기 통제력 | 자기 효능감 | 자기 수용감 | 배려, 존중과 감사하기
도전적 과제의 유형
야금야금 전략
마치 ~인 것처럼 하기
셀프 칭찬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
전립선암 치료 기간을 집필 여행으로 만들다
행복 습관 4. 목차 짜기로 공부하기
왜 공부가 부정적 감정의 원천일까?
비효율적인 공부 방법
이해와 기억을 촉진하는 학습 전략
목차 짜기 공부법의 효능
이해력 증진 | 기억과 인출 증진 |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 능력 강화 | 뇌 회로의 구조화 강화
목차 짜기 방법
목차 짜기로 예습하고 강의 듣기
목차 짜기와 뇌 회로 만들기로 복습하기
뇌 회로로 1차 복습하기 | 목차 짜기로 2차 복습하기 | 백지 쓰기 | 연습문제 풀기로 3차 복습하기 | 핵심 단어장 만들기로 4차 복습하기
인지심리학에 근거해서 시험 전략 짜기
연습문제를 풀 때 필요한 전략 | 본 시험을 볼 때 필요한 전략
AI 시대에 필요한 목차 짜기 독서법
목차 짜기 독서법의 효능 | 목차 짜기로 책 읽기
목차 짜기로 전립선 암 치료 방법 찾기
행복 습관 5. 내가 선택한다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을 선택했다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방법
다른 사람을 돕고 돈이 따라오는 일을 선택했다
솔직함을 선택했다
타율 관리를 선택했다
편한 일보다 의미 있는 일을 선택했다
밟히는 전태련에서 간직하는 전태련을 선택했다
장사꾼 대신에 같이 밥 먹기를 선택했다
떼인 돈보다 학생을 먼저 선택했다
학원을 세우고 기부를 선택했다
재능 기부를 선택했다
이혼을 선택했다
에필로그 늘 행복 만들기로 이끈 삶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긍정적 감정들을 부정적 감정들보다 더 크게 느낄 때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를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행복 습관들을 배우고 익힌 덕분에 암 판정이라는 힘든 상황에서도 행복을 느끼며 글을 써서 책을 출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5가지 행복 습관과 각 습관에 담겨 있는 내용은, 긍정적 감정을 높이고 부정적 감정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들이다. 내가 실제로 실천해 보고, 수만 명의 학생들을 상담하면서 적용하여 효과를 본 것들이다. 그러므로 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하면 힘든 상황에서도 행복을 만들 수 있으며, 그렇게 만든 행복은 우리를 성공적인 삶으로 이끌어 줄 것이다.
보다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과 지식을 깨달을 때가 있다. 그럴 때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을’이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지금 알게 된 내용을 그때 몰랐던 자신이 무능하게 느껴지고, 무능함은 속상함과 자책감으로 이어져 우울해진다. 인생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어 기쁘다는 생각은 온데간데없고, 부정적인 생각만 가득해져서 지금 하는 일에도 집중하지 못하게 된다. 그럴 때 ‘이제라도 알아서 다행이다’를 외치며, 깨달은 내용을 토대로 변화를 시도하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든, 나이가 몇 살이든 상관없이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위의 사례에서 소크라테스는 질문을 통해 제자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에 한계가 있음을 깨닫게 하고, 제자들이 제시한 답을 종합해서 보다 정확한 개념 정의에 이르도록 돕는다. 그러므로 내 안에 소크라테스(이후 ‘내안소’)가 있다고 상상하고, 내안소와 묻고 답하는 과정을 활용하면 생각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비합리적 신념과 왜곡된 생각을 찾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다시 묻고 답하면서 비합리적 신념이 논리적 증거가 있는지, 실현 가능한 것인지, 자신의 삶의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반드시, 언제나, 꼭 ~해야 한다’, ‘절대 ~해서는 안 된다’와 같이 경직되고 실현하기 불가능한 비합리적 신념을 유연한 생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