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91197453984
· 쪽수 : 447쪽
· 출판일 : 2022-04-10
책 소개
목차
마레이타이
19. 여성이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요? ? 7
20. 여성이 되는 것에서 해방되기 위한 기원 (기원) ? 35
자유의 여신 리버티
21. 남성과 여성 사이의 통제 게임 극복하기 ? 67
22. 통제 게임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하기-1 (기원) ? 91
23. 통제 게임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하기-2 (기원) ? 115
성모 마리아
24. 여성에 대한 폭력은 충분히 경험하지 않았나요? ? 139
25. 여성에 대한 폭력의 종식을 기원하기-1 (기원) ? 161
26. 여성에 대한 폭력의 종식을 기원하기-2 (기원) ? 185
엘로힘 아스트레아
27. 대부분의 남성은 섹스에 중독되어 있습니다 ? 213
28. 성적인 착취에서 여성들을 해방하기-1 (기원) ? 247
29. 성적인 착취에서 여성들을 해방하기-2 (기원) ? 271
30. 성적인 착취에서 여성들을 해방하기-3 (기원) ? 295
성모 마리아
31. 왜 파워 엘리트는 여성을 억압하려 할까요? ? 319
32. 파워 엘리트로부터 여성들을 자유롭게 하기-1 (기원) ? 349
33. 파워 엘리트로부터 여성들을 자유롭게 하기-2 (기원) ? 373
고타마 붓다
34. 모든 여성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기 ? 401
35. 우리의 영적인 자유를 기원하기 (기원) ? 419
책속에서
우리의 목적은 성모 마리아와 관음의 현존을 통해 우주 어머니인 나와 내 사무국의 더 큰 추진력(momentum)을 지구에 방출하여, 여성들이 지구 행성의 물질 수준에서는 어떤 위안도 발견할 수 없다고 느낄 때, 그들에게 위안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한 것입니다. 일부 여성들은 우리의 현존에 조율할 수 있겠지만, 아마 많은 여성은 조율하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의 현존을 인식하는 여러분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우리를 이용하고, 우리에게 기꺼이 조율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러분 가운데 일부는, 최소한 이렇게 조율하는 작업을 하고 나면, 우리의 현존에 조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디크리를 하거나, 구술문을 듣거나, 구술문을 읽거나, 기원을 하거나, 아니면 시간을 따로 내서 조율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내 디크리의 간단한 구절을 암기하는 것처럼 그냥 간단한 일을 할 수도 있습니다.
오 우주의 어머니여, 당신을 사랑합니다.
당신의 사랑 노래는 나를 영원히 진실되게 합니다.
당신이 신성한 음조로 나를 가득 채워 주시니,
이제 내 외로움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네 줄입니다. 누구라도 외울 수 있고, 외롭다고 느끼거나 위로가 필요할 때 소리 내어 혹은 속으로 낭송하면, 내가 거기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이 이 구절을 낭송하는 곳에 내 현존을 현현하겠습니다. 진실로, 우리 셋은 지구의 모든 여성이 위로의 불꽃을 경험하기를 소망합니다. 내가 위로라고 말할 때, 이것은 지구에서 사람들이 경험하는 감정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신성한 어머니의 사랑입니다. 더 나은 단어가 없어 “조건 없는” 사랑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실제로 그것은 지구에서 여러분이 흔히 사랑과 연관해 연상하는 조건들을 넘어선 사랑입니다. 우리는 모든 여성이 자신들이 있는 그대로 사랑받고 있음을 받아들이고 경험하기를 바랍니다.
그런데 여러분,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통제 게임이 무엇일까요? 어떤 의미에서는, 지구에서 가장 기본적인 통제 게임을 뭐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음, 정확히 말하면 그것은 남성과 여성 사이의 통제 게임 아닌가요?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많은 사회에서도 이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사회들은 명백히 가부장제 사회이거나 남성이 우위를 점하는 남성 지배적인 사회입니다. 그러므로 남성들이 지배권의 대부분을 가졌다고 말하겠지만, 이것이 실제로 여성의 측면에서는 통제가 없었음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많은 경우, 어떤 면에서는 남성이 우위를 점했지만, 그래도 여성에 의한 통제 게임이 있었습니다. 남성들이 특권적인 지위를 가지고, 여성들이 부차적인 지위를 가진 많은 사회에서 특정한 상황들이 있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남성과 여성 둘 다 자기 역할에 대한 제한들을 받아들였고, 그 변수 안에서 그들은 여전히 특정한 방식으로 통제권을 얻기 위해 싸워왔습니다.
자, 여기서 알게 되는 것은 타락한 존재들이 남성을 우월한 성으로 선택했고, 우월한 성으로 정의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한 다음 그들은 남성이 통제해야 한다고 집단의식에 투사했습니다. 남성은 사회를 통제해야 합니다. 남성은 가족을 통제해야 하며, 여성과의 관계를 통제해야 합니다. 이런 투사는 타락한 존재들이 지배와 통제를 위해 투쟁을 하는 이원적 양극성으로 남성과 여성을 처음 정의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런 투사가 오랫동안 있었습니다. 그리고 남성이 지배해야 한다는 집단의식 속에는 아주 거대한 야수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서구 여성들과 부유한 국가의 여성들이 깨어나, 옷을 구매하는 자신의 습관을 진지하게 관찰하게 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내 옷장에 있는 옷들이 실제로 어디에서 만들어졌는지 내가 알고 있는 것일까?” 옷장에 있는 대부분의 옷은 아마도 의류공장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만들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그것이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졌고, 이 여성들이 어떤 조건에서 일하는지 아나요? 그들이 받는 급여가 얼마인지 아나요? 그들이 받는 급여가 겨우 생존할 수 있을 정도로 정말 낮은 수준이고, 그 이유는 공장을 소유한 사람이 남자이며, 이익의 대부분을 남자들이 가져가서 그런 것은 아닐까요? 혹시 여러분이 옷을 산 매장이 남성 소유이거나, 아니면 남성이 소유한 기업 아닌가요? 수입업자, 중간 상인 등등 돈을 버는 사람 모두가 남자는 아닌가요? 현대 국가에 있는 매장에서 여러분이 지불하는 가격을 보면, 어떤 한 여성이 드레스를 만들었고, (그들의 임금과 판매가) 둘 사이에 엄청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제로 그 일을 한 여성은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