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문학
· ISBN : 979119747130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1-05-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 추천의 글
1 눈물은 반으로 나누고 웃음은 배로 커지다
사랑과 섬김으로 배부른 온가족 공동체
2 목양을 통해 주의 사람들로 세워지다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하나님을 알아 가는 양들
3 바람 불어와도 기도하며 걷네
위로와 도전과 감동을 건네는 동역의 사람들
4 책에서 깨닫고 일상에서 배우다
사소하지만 깊은 단상들
5 흩어져 있고 홀로 있어도 믿음으로 하나다
하늘 아버지가 기뻐하시는 이유, 믿음의 지체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는 글’ 중에서
신앙 및 사역생활을 수필 혹은 일기 형식으로 적어본 글입니다.
책으로 엮어진 모든 글을 ‘목동생각’이라는 이름으로 그렇게 시작되어 쌓여 온 것입니다.
처음에는 글 쓰는 연습을 위해 시작했는데,
한 해 두 해 글 쓰는 일이 쌓이면서 이제는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글이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며 저를 가르쳐 성장시키기도 하고,
주변 환경과 사람들을 말씀 안에서 깊이 묵상하고 추억하게 만드는 통로가 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저와 저를 둘러싼 주변의 소소한 일상까지도 일일이
하나님께서 인도해 가시는 것에 대해 자취를 남기는 따뜻하고 소박한 사명처럼 느껴집니다.
사실 ‘목동생각’은 저 혼자만의 생각이 아니라 성도들과 함께 써 내려간 삶입니다.
책으로 출간하기 위해 쓴 것이 아닙니다.
그저 시간이 지나면 없어지는 생각이 아니라, 성도들과 오래도록 마음을 나누고 싶어
매주 주보에 올리면서 나 자신을 채근한 것입니다.
예상치 못했는데 성도들이 좋아해 주셨습니다. 주보를 열면 ‘목동생각’부터
챙겨보는 분들도 많고, 스크랩을 해 두신다는 분도 계십니다.
설교보다 ‘목동생각’이 더 감동이라는 분도 계십니다.
성도들이 좋아하니 저도 기쁘고, 자연스럽게 소통의 창구가 되어 주고 있습니다.
그동안 출간을 제안하는 이야기도 들려왔지만 그런 가치가 있을까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재개발로 인해 30여 년을 지켜온 예배당 건물을
허물 수밖에 없는 현실과 맞닥뜨리게 되었습니다.
많이 서운하고 힘들 성도들에게 우리 공동체의 걸음걸음을 함께 추억하는 글이
작게나마 위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간의 이야기들을 엮어 책으로 내기로 결심한 소박한 이유입니다.
지난주에는 교회에서 김장을 했다. 함께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고, 웃음꽃을 피우고, 그러다가 들어간 침의 파편들이 양념 속에 묻혀 살아 있는 유산균과 김치를 만든다. 김장, 참 인간적이고 한국적이다. 한국인의 심성이 잘 반영되어 있는 것이 김장하는 풍경이다.
파를 다듬는 분들, 속을 넣고 버무리는 분들, 봉지에 묶어 차곡차곡 쌓아 놓는 분들, 숨죽은 배추를 나르는 분들, 주변 쓰레기를 틈틈이 정리하는 분들, 모인 성도들을 위해 간식을 배분하고 식사를 준비하는 분들, 어느 때는 묵묵히 어느 때는 큰 소리로 수다를 떨면서 배추는 제자리를 찾아간다.
_ ‘김장 풍경’ 중에서
“하나님, 우리 교회에서 음식을 가장 못하는 자들이 모였습니다.”
‘수요전도팀’을 위해 점심에 국수를 준비하는 신정례 권사님이 김성실, 박정원 집사님과 함께 국수를 만들기 전에 손을 맞잡고 기도를 하셨는데 제일 먼저 나온 기도가 이 말이라고 한다. 순간, 함께 기도하시던 성도들의 웃음보가 ‘빵’ 터졌다고 한다. 심방 중에 이 재미난 이야기를 전해들으면서 속으로 생각해봤다.
‘교회에서 봉사하고 헌신하는 분들이 모두 이런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프로는 돈을 받고 그 실력을 증명해내야 한다. 실력이 증명된 만큼 연봉협상을 한다. 하지만 우리는 프로가 아니다. 우리는 돈을 받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돈을 내고 한다. 성가대원도, 연주자도, 구역장도, 부장도, 기관장도, 임원도, 교사도 그 자리에서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예배하고 섬기고 가르치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그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최선으로 연습해야 하고 준비해야 한다. 그런데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하나님이 우리의 찬양을 받으시는가?’
‘하나님이 우리의 섬김을 받으시는가?’
‘우리가 가르치는 아이들에게 하나님의 은혜가 존재하는가?’
이와 관련해서 우리는 늘 이런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하나님, 가장 실력 없는 자들이 모였습니다!”
이것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겸손히 기도할 수 있다. 함께 손을 붙들고 격려할 수 있다.
_ ‘가장 실력 없는 자들이 모였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