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정학
· ISBN : 9791197489693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23-02-24
책 소개
목차
1. 머리말
2.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특징
1. 중앙아시아의 지리와 기후
2. 중앙아시아의 유목성과 이슬람
3. 중앙아시아인은 누구인가?
4.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의 양면성
5. 중앙아시아 유목군대 전술의 변화 과정
3. 고대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대결과 실크로드
1,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진
2, 중국과 흉노의 전쟁
3. 실크로드의 탄생과 소그드인
4. 중세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대결
1. 돌궐의 남하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화
2. 중국과 아랍의 전쟁
3. 카라한칸국과 사만왕조와의 전쟁
4. 셀주크제국의 서방 원정
5. 몽골의 중앙아시아 정복 전쟁
6. 티무르의 유라시아 약탈 전쟁
6. 중앙아시아 칸국의 분열과 혼란
7. 중국과 준가르의 전쟁
5. 19세기 러시아와 영국의 그레이트 게임
1.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복 전쟁
2.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3. 중앙아시아의 러시아화와 원주민의 저항
6. 소비에트의 붕괴와 미국의 참전
1.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2. 타지키스탄의 이슬람 내전
3, 혁명을 가장한 키르기스스탄의 지역 갈등
4.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7.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러시아와 중국의 경쟁
1.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 전략
2. 중국의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
3. 러시아와 중국의 경제 전쟁
4.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앙아시아
8. 중앙아시아의 화약고
1. 카자흐스탄 북쪽
2. 아프가니스탄의 와칸회랑
3. 이슬람 원리주의의 확산
9. 맺음말 : 한국은 또 다른 중앙아시아
미주
참고문헌
중앙아시아 주요 연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중앙아시아를 특징짓는 것은 전쟁이다. 강대국의 교차로이자 중립지대이며, 티무르제국처럼 언제든 강력한 제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앙아시아는 평화보다는 전쟁이 항상 더 어울리는 지역이었다. 중앙아시아에서는 평화로운 시기는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전쟁으로 국가의 흥망성쇠가 다른 어떤 지역보다 자주 일어났다.
대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의 심장지대이지만 지리적으로는 인간이 살기 힘든 가혹한 초원과 사막, 거대한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아시아인들은 이 험난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지하 관개수로를 건설했으며, 농사보다는 교역, 교역보다는 전쟁에 더 높은 비중을 두지 않을 수 없었다.
중앙아시아에서 유목민과 오아시스 정주민이 결합해 위대한 문명이 발생했다. 중세의 문명을 주도한 이 결합은 유목민인 튀르크족과 정주민인 페르시아 민족이 화학적으로 결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셀주크튀르크는 정복 전쟁을 통해 무역로를 확보하고, 페르시아 정주민은 농업과 상업을 통해 안정적 경제 환경을 제공했다. 이처럼 전혀 다른 민족을 결합한 힘은 이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