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단한권] 모피로드](/img_thumb2/979119748961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9748961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6-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우랄을 넘어 모피로드를 열다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모피 교역
볼가강의 수적 예르마크
예르마크의 시비르 칸국 정복
2. 튜멘에서 오호츠크해까지
시베리아의 강과 타이가
시베리아와 극동의 원주민들
모피로드의 역사
모피로드 건설과 관리
3. 러시아의 아무르강 진출과 중국과의 분쟁
부랴트족과의 전쟁
포야르코프의 아무르강 원정
하바로프의 아무르강 원정
러시아와 청나라의 충돌
조선, 러시아와 만나다
4. 네르친스크조약과 황금의 도시 캬흐타
네르친스크조약의 배경과 특징
캬흐타조약과 티로드
유목제국의 종식과 유라시아 지정학의 변화
5. 세묜 데즈네프, 베링해를 지나가다
데즈네프의 모험
데즈네프 등대
불굴의 축치족
6. 캄차카와 쿠릴열도, 그리고 사할린의 정복
유카기르족, 코랴크족, 이텔멘족과 캄차달
캄차카의 예르마크, 블라드미르 아틀라소프
쿠릴열도의 탐험
사할린의 발견과 일본과의 분쟁
7. 비투스 베링, 북아메리카를 발견하다
표트르대제의 명령
베링의 첫 번째 탐험(1725-1730)
베링의 두 번째 탐험(1733-1742)
황금의 섬 가마랜드
8. 알래스카의 마스터와 러시아의 실수
알래스카의 마스터 알렉산드르 바라노프
틀링깃족과의 전쟁
번창하는 RAC
러시아령 알래스카의 몰락과 매각
9. 무라비요프 총독의 아무르강 원정과 영토 확장
동북아에 몰아치는 제국주의 전쟁
무라비요프 함대의 아무르강 원정
아이훈조약과 베이징조약
10.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과 아관파천
연해주의 첫 러시아 탐험가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
《데르수 우잘라》의 작가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
연해주 지선허 마을과 조선인의 이주
아관파천과 러시아의 속내
11. 러일전쟁과 시베리아철도 시대의 개막
만주에 부는 철도 전쟁
시베리아횡단철도의 비전
러일전쟁과 시베리아횡단철도
12. 유형지로 가는 길, 모피로드
러시아 혁명과 극동의 혼란
조선독립운동과 강제이주
유형의 땅 시베리아
스탈린 이후 극동 시베리아의 침체
13. 한반도철도와 북극항로
신동방정책의 배경과 전략
한반도철도의 가능성과 한계
새로운 유라시아의 길, 북극항로
북극항로와 한반도
맺음말
참고문헌
모피로드 주요 연표
찾아보기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모피 제품 중에 가장 인기가 있는 것은 검은담비(sable) 털로 만든 것이었다. 담비는 족제빗과 동물로 털이 조밀하고 부드럽다. 귀는 털 밖으로 나와 있고 머리는 가늘고 주둥이는 뾰족하다. 꼬리는 몸통 길이의 반을 넘을 정도로 길다. “담비 꼬리가 부족하니 개 꼬리로 잇는다”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인기 품목이었다. 특히 최상품인 시베리아산 검은담비는 검은 털 밑에 은은한 청색 광택이 난다. 검은담비 모피는 사람들의 촉감과 시각을 모두 사로잡았다.
시비르 칸국의 영토는 웬만한 유럽의 한 나라에 버금가는 넓이다. 모피가 도착한 시기도 절묘했다. 러시아는 당시 발트해를 두고 폴란드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직후였다. 이반 4세는 기대하지 않았던 모피 선물에 기뻐했다. 감사 예배를 드리며 부하들에게 모피를 선물했다. 교회는 종을 울리며 새로운 땅과 보물을 찾았다며 차르를 칭송했다. 승리와 축제의 분위기가 도시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17세기 시베리아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러시아 영토로 편입됐다. 러시아는 주로 강의 지류를 따라 이동했다. 1632년 러시아 원정대는 레나강을 타고 올라가 마침내 야쿠츠크에 도착했다. 그들 중 일부는 거기서 계속 시베리아 북동부 지역을 탐험했는데, 1639년 10월 1일에는 마침내 태평양의 오호츠크해 연안에 도착했다. 1640년 이반 모스크비틴(Ivan Moskvitin)과 그의 동료들은 현재의 마가단 지역과 그 일대 해안을 탐험했다. 1585년 예르마크 원정대가 우랄산맥을 넘어선 지 불과 54년 뒤 러시아는 거대한 강과 산, 타이가 지대를 넘어 태평양 연안까지 진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