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7526213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1-11-05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조선판 홀로코스트: 열녀이데올로기
답사기록
1. 서울 신월동 전의이씨 열녀문 (4월22일)
2. 안양 호계동 풍양조씨 정려 (4월22일)
3. 파주 봉서리 신평송씨 열녀문 (4월29일)
4. 파주 월롱면 청풍김씨 열녀비 (4월29일)
5. 파주 백석리 남평문씨 열녀문(4월29일)
6. 파주 와동동 상주김씨 문의조씨 청주한씨 열녀정려편액(4월29일)
7. 하남 감일동 완산이씨 묘역 및 석물(5월07일)
8. 양평 회현리 선산김씨 열녀문(5월07일)
9. 가평 복장리 나주정씨 정려각(5월14일)
10. 가평 태봉리 전주이씨 여주이씨 열녀문(5월14일)
11. 안산 와동 평산신씨 진주류씨 고령박씨 진주정씨 열녀문(5월28일)
12. 화성 송림리 남양홍씨 열녀문(5월28일)
13. 화성 독정리 광주이씨 열녀문(5월28일)
14. 화성 독정리 기계유씨 열녀문(5월28일)
15. 화성 정문리 밀양박씨 열녀문(5월28일)
16. 의정부 산곡동 안산김씨 평산신씨 열녀문(6월04일)
17. 포천 어룡동 문화유씨 인천이씨 열녀문(6월04일)
18. 포천 내리 안동김씨 열녀비(6월04일)
19. 포천 기지리 창원유씨 열녀비(6월04일)
20. 안성 월향리 온양정씨 청주한씨 열녀문(6월11일)
21. 용인 송문리 안동권씨 열녀문(6월11일)
22. 평택 현덕면 교동인씨 열녀문(6월11일)
23. 광주 선동리 광산김씨 열녀문(6월18일)
24. 여주 상동 장조이 열녀비(6월18일)
25. 이천 죽당리 영례 열녀문(6월18일)
답사지도
답사일정 및 소재지
글을 마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답사를 다니며 놀랐던 것은, 눈여겨보지 않았을 뿐 우리 주변에 열녀문이 의외로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들었던 열녀문 이야기는 언제나 미디어 안에서 존재해왔고, 우리는 그 상업적 이미지 속에서 그것이 실제이기보다 허구이며, 그 안에서조차 누군가는 욕망을, 누군가는 낭만을 찾기를 바랐던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하게 됩니다.열녀문은 죽음을 종용한 사회에서 죽음을 선택하여 대중에게 칭송받은 이상한 나라의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책 속에서_저자의 말 중에서)
이천 죽당리 영례 열녀문2016년 6월 18일당시 언론은 이 정려를 두고, 영조로 이어지는 노비 인권신장의 정책이 남아있는 귀중한 사료라 전했다. 그러나 인권신장이란 말이 왠지 불편하게 들렸다. 나는 스물다섯 번째 열녀문 앞에서 마음이 설레었다. 노비열녀문인 것도 특별하지만 무엇보다 여인의 이름이 남겨져 있다는 것이 더욱 특별했다. 나는 그녀를 위해 <영례열녀문>이라 부르기로 했다. 그리고 그녀를 만나기 위해 이천으로 달려갔다.읍사무소를 통해 이장님과 당시 관계자분을 수소문했지만, 모두 옛일을 기억하지 못하셨고, 다만, 죽당1리 마을회관에서 상엿집에 대해 몇 가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정려가 있던 상엿집은 이미 허물리고 지금은 삼밭이 들어섰단다. 알려준 길 위엔 실제로 삼밭이 펼쳐지며 상엿집은 보이지 않았고, 상엿집이 옮겨갔다는 곳도 이미 장애인 쉼터가 세워지고 그곳 누구도 이전의 역사에는 관심이 없었다. 처음부터 없었던 듯 어느 곳에서도 정려와 상엿집에 대한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마을은 여전히 조용하고 여자종 영례의 300년의 시간이 사라져버린 듯, 마을 사람 누구도 그녀를 기억하지 못했다.마지막 답사지에서 만난 이름, 영례! 열녀문 25곳을 다니며 처음으로 알게 된 여성의 이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