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97603822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1-12-01
목차
제 1 장
용신이란?
1절: 고전 사주명리학의 용신개념------------------------003
1) 고전 사주명리학의 연원
2) 격국용신과 용사지신
3) 격국용신론의 문제
2절: 현대명리학의 중화용신개념-------------------------011
1) 중화란 무엇인가?
2) 중화용신과 유용지신
3) 사주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 중화용신
3절: 생극제화와 중화용신-----------------------------------014
1) 생과 상생의 개념
2) 극과 상극의 개념
3) 제의 개념
4) 화의 개념
제 2 장
중화용신의 도출 원리
1절: 생조억설의 억부용신----------------------------------029
1) 생조
2) 억설
3) 억부용신의 개념
2절: 한난조습의 조후용신----------------------------------030
1) 한난
2) 조습
3) 조후용신의 개념
3절: 억부용신과 조후용신의 합치-----------------------031
1) 억부가 급할 때의 중화용신
2) 조후가 급할 때의 중화용신
3) 조후와 억부 개념의 합치에 의한 중화용신
4) 중화용신: 네 가지 유형의 용신과 희신의 조합
제 3 장
중화용신(용신과 희신의 조합)
1절: 일간을 돕는 두 가지 오행---------------------------039
1) 용신과 희신은 상생하는 관계이다
2) 용신과 희신은 간지에 모두 있으면 좋다
3) 용신이 극 받아도 용신은 용신이다
2절: 4유형의 중화용신과 용신의 근--------------------042
1) 화목(목화)용신과 용신의 근
2) 수금(금수)용신과 용신의 근
3) 화토용신과 용신의 근
4) 토금용신과 용신의 근
3절: 희용기구한신의 이해-----------------------------------046
1) 희용신의 이성적 오행작용
2) 기구신의 감성적 오행작용
3) 한신의 다양한 오행작용
제 4 장
계절별 30유형의 중화용신
1절: 상생의 원리------------------------------------------------051
1) 화목상생
2) 수금상생
3) 화토/토금유정
2절: 계절별 30유형의 중화용신--------------------------054
1) 갑을목일간 【1】 ~ 【7】
2) 병정화일간 【8】 ~ 【13】
3) 무기토일간 【14】 ~ 【19】
4) 경신금일간 【20】 ~ 【25】
5) 임계수일간 【26】 ~ 【30】
3절: 용신도출의 예외적 적용------------------------------100
1) 인월의 경우
2) 묘월의 경우
3) 술월의 경우
제 5 장
중화된 사주
1절: 관인상생격(목/토일간)-------------------------------115
1) 관인상생격사주의 정의와 성립조건
2) 갑을목일간 사주의 수금상생
3) 무기토일간 사주의 화목상생
2절: 재관상생격(화/금일간)-------------------------------119
1) 재관상생격사주의 정의와 성립조건
2) 병정화일간 사주의 수금상생
3) 경신금일간 사주의 화목상생
3절: 식신생재격(목/토/수일간)--------------------------123
1) 식신생재격사주의 정의와 성립조건
2) 갑을목일간 사주의 화토상생
3) 무기토일간 사주의 수금상생
4) 임계수일간 사주의 화목상생
제 6 장
사주명리학의 제 문제점
1. 용신개념과 도출법의 표준화 ------------------------133
2. 고전 격국론의 모순과 학문적 사대주의 극복-----------134
3. 사주에 없는 글자가 용신이다? ----------------------135
4. 오행의 숫자가 많으면 강하다? ----------------------136
5. 사주는 반드시 맞아야 한다?------------------------137
제 7 장
대안 제시
1. 사주해석의 도구 중화용신의 활용 -------------------141
2. 체용의 이해 -------------------------------------142
3. 이성과 감성의 개념 도입---------------------------143
4. 선학들은 생극제화외에는 말하지 않았다 --------------144
5. 현대명리학은 마음으로 간다------------------------145
제 8 장
용신 연습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