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762960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3-0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1부 6년의 기록
1. 전사 : 경험과 공감의 시간들
2. 시작 : 추진위 결성과 서울마을센터와의 만남
3. 실행단계로의 도약 : 준비위 전환과 법인 설립
4. 피할 수 없는 과제 : 부동산 매입
5. 또 하나의 난관 : 세금과 리모델링 공사
6. 입주, 우리의 이야기는 끝나지 않았다
7. 새롭게 태어난 우리의 공간에 대하여
2부 함께 한 사람들의 이야기
1. 전희순 강서양천민중의집(사) 이사장
2. 이선영 강서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이사장
3. 김숙자 빵과그림책협동조합 이사장
4. 박장현 평등사회노동교육원(사) 원장
5. 한복남 사회적협동조합 강서나눔돌봄센터 센터장
6. 김점숙 달그락에코랩협동조합 이사장
7. 김선혜 동네부엌좋은날협동조합 이사장
8. 유정아 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공간 전무이사
9. 성지영 서울마을센터 전 공간팀장
3부 국내외 사례
1. 영국 사례
2. 광진의 공유공간 나눔
3. 시흥의 ㈜빌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모델
4. 목포의 건맥1987협동조합, 도시재생을 통한 자산화
5. 서대문의 마을언덕 홍은둥지, 공동체 주택과 공동체 공간의 결합
6. 마포의 해빗투게더협동조합, 둥지 내몰림을 자산화로
7. 대구의 안심마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공유마을
8. 대전 어은동의 비.스트리트, 청년주도의 안녕마을
4부 간략한 자산화 매뉴얼
1. 자산화, 그게 뭐야?
2. 자산화 관련 정책사업 현황
3. 주체 형성과 계획 수립
4. 우리에게 맞는 법인 선택하기
5. 소요 비용 추산과 복잡한 세금 문제
6.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
7. 건물 매입을 위해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8. 리모델링과 공간배치
후기
참고자료
책속에서
이 기록은 공동체 소유의 건물매입을 고민하고 시도하는 사람들을 위한 가벼운 안내서다. 우리는 공간이 로컬을 변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다는 사실을 체험하였고 지금도 하고 있다. 아울러 경험을 나누는 것도 일종의 자산화운동, 커먼즈(commons)운동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자료를 통해 경험을 남기는 일은 꼭 필요한 일인 것 같다. 참고할 자료를 찾지 못해서 우왕좌왕하던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의 강서지역에서 성공한 공동체 공간 자산화 과정과 실무적으로 필요한 매뉴얼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다. 공동체 공간 자산화, 지역자산화, 시민자산화 등으로 불리고 있는 자산화운동, 커먼즈운동을 추진하는 또 다른 주체들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란다.
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공간이 완성한 공동체 공간 자산화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은‘(가)강서민중회관 건립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의 출범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의 3년이 준비기간이라면 이후 3년은 자산화사업이 실질적으로 진행된 실행기간이다. 추진위를 출범시키면서 고민이 있었다. 추진위 운영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였다. 강서아이쿱생협과 강서양천민중의집은 상
대적으로 조직규모가 크고 어느 정도 자금을 책임질 수 있는 조건이었지만 빵과그림책협동조합은 조직규모나 자금조달 측면에서 넉넉한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빵과그림책협동조합을 배제하고 두 단체만으로 추진위를 구성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했다. 고심 끝에 빵과그림책협동조합은‘참가’가 아닌‘참관’으로 구분하고 그에 적합한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기로 했다.
동네에서는 우리 건물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았다. 주변 건물에 비해서 눈에 확 띄는 외관이라서 지나가는 사람들도 한 번쯤 쳐다본다. 건물이 리모델링되면서 동네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반기는 사람들도 있었다. 외관을 보면 마치 갤러리 같다는 의견도 있었고 문화센터 혹은 자원봉사센터 아니냐는 질문도 나왔다. 간혹 지나가던 사람들도 도대체 뭐 하는 곳이냐며 들어와서 물어보는 사람들도 있다. 공공건물로 착각하는지 무작정 들어와서 화장실을 사용하고 가는 사람도 적잖다. 1층 현관 옆으로 있는 달그락 카페는 건물의 안내데스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카페 이용을 핑계로 건물 내부로 들어와서 질문하는 사람들에게 궁금증을 해결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