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9765962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8-2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들어가는 말 대한민국의 원류를 찾아서
1장. 인격화의 한국인
윤이정 | 허엽 | 박혁거세 | 알영 | 신사임당 | 어지간 | 김숭겸 | 숭례문 | 명천 | 저명산 | 김시습 | 김유신·이기축 | 견훤 | 상·돈·태 | 유몽인 | 류차달·이도 | 이업복·김중진 | 경기도 이천 | 금강산 | 속리산 | 개롱 | 마이산 | 개운포 | 금난새 | 김천 | 지지지지 | 이이 | 남곤·심정 | 임꺽정 | 신문고
2장. 한국인의 영토성
삼한일통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국 | 조선 | 말갈 | 발해 | 김극수 | 동두란 | 한반도 분할 | 다다량 | 대마도 | 현해탄
3장. 한국인의 가상성
용 | 요괴 | 우물 | 떡 | 놀이 | 시장
4장. 한국인의 스타성
최치원 | 화랑 | 과거 | 혼인 | 음악
5장. 어벤져스 한국인
남이·안종약·이영간·양만춘·유봉수·신숭겸·을지문덕·강감찬·조충·김취려·박서·김경손·정충신·송 장군·지채문·정렴·최세진·이지함·남사고·이사부·류성룡·이준경·정세운·이순신·곽재우·조헌·제말·김덕령·이장손·성삼문·최승지 3부자·허목·정철조·김안국·허만석·유형원·홍계희·최부·서승순·박세무·이덕무·기우자·정협·장붕익
6장. 인기 최고 대한민국
마상재 | 예·시·서 | 편전 | 종이 | 촌은 유희경 | 지화 | 황모필 | 청심환 | 단산오옥 | 남포석 | 음악
7장. 한국인의 말 습관
한 | 왕 | 사랑 | 사랑에 빠지다 | 진지 | 동냥 | 비파 | 나락 | 구들 | 복작복작 | 그만해 | 아포 | 임금 | 저격 | 아아 | 아기씨 | 엄마야 | 뻐꾹질 | 자! 으ㅤㅆㅑㅤ! | 쫑쫑쫑 | 하하 | 푸르다 | 종이 | 울릉하다 | 마누라 | 귀달마 | 지청구 | 을사삼간 | 예교·쪽발이 | 고집
나오는 말 조선의 마지막 백과전서의 의의
저자소개
책속에서
임꺽정과 더불어 도적으로 유명한 허균의 홍길동은 남궁두(南宮斗)라는 인물에게서 모티브를 얻었습니다. 남궁두는 조선 중기 단학파(丹學派)의 한 사람입니다. 1528년에 태어나 1555년에 진사과에 급제했습니다. 전라북도 옥구군의 임피에 살 때 애첩과 당질 간의 간통을 목격하고 이 둘을 살해한 후 중이 되었습니다. 1608년 허균이 부안에 살 때 남궁두를 만났고, 이때의 기억을 더듬어 자신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을 적었습니다. 「홍길동전(洪吉童傳)」과 함께 허균 소설의 쌍벽을 이루는 작품입니다. 신선술 연마와 관련된 남궁두의 설화는 『어유야담』, 『택리지』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동래현 북쪽 20리에 있는 산으로, 산꼭대기에 세 길 정도 높이의 돌이 있는데, 그 위에 우물이 있고 둘레는 10여 척에 깊이는 일곱 치 정도가 되고 물은 마르지 않고 빛은 황금색이다.’ 이렇게 금정산을 설명합니다. 이곳은 용출 샘이 아닙니다. 빗물이 고여 마르지 않는 샘입니다. 부산 금정구(金井區)도 여기서 나온 고을 이름입니다. 다음은 서울의 의동(義洞) 우물에 관한 기록입니다.
이 「북정시」에 ‘미평국(未平國)’이란 글귀가 나오는데 이를 귀신이 ‘미득국(未得國)’으로 바꿨다는 에피소드가 전해집니다. 이렇게 ‘나라를 평정하지 못하면’을 ‘나라를 얻지 못하면’으로 해석되도록 글자를 바꾼 것은 귀신이 아니라 류자광(柳子光)이라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이는 류자광 ‘낙인 찍기’의 결과입니다. 남이의 혁명설은 신빙성이 있습니다. 류자광은 무오사화(戊午士禍)의 단서를 제공하였고, 사림은 그를 간신배로 낙인찍었습니다. 「북정시」 날조설도 이런 맥락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남이 장군은 사후 신이 되어 무속계에서 신격화되었습니다. 남이의 고모가 신숙권을 낳았고 신숙권이 신명화를 낳았고 신명화의 딸이 신사임당으로 남이와는 먼 친척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