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777286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6-01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_ 테마에서 트렌드로 변하는 산업에 주목하라!
추천사
Part 1. 메타버스는 우리 삶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
Chapter 1: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메타버스의 개념
일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 메타버스
가상부동산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버추얼 인플루언서 ‘로지’의 성공
Chapter 2: 메타버스의 세 가지 핵심 요소
메타버스의 핵심 요소 ① 플랫폼
메타버스의 핵심 요소 ② 하드웨어
메타버스의 핵심 요소 ③ 콘텐츠의 보급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하는 도구들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메타버스
메타버스 ETF
KEY NOTE
Part 2.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Chapter 1: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탄생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의 탄생
암호화폐란 무엇인가?
진화해가는 암호화폐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CBDC 도입
Chapter 2: 기업들의 블록체인·암호화폐 산업 진출
기업별 암호화폐 시장 진출 사례
기업형 블록체인 산업의 강자, IBM
암호화폐 채굴 전용 프로세서를 출시한 엔비디아
페이스북의 스테이블 코인 디엠 프로젝트
코인베이스 상장의 의미
Chapter 3: 기관투자자의 시장 참여와 암호화폐 ETF
기관투자자의 암호화폐 시장 참여
비트코인 ETF 상장 시도
블록체인 ETF
KEY NOTE
Part 3. NFT와 디파이
Chapter 1: NFT란 무엇인가?
NFT의 개념
NFT+컬렉터블
NFT+미술품
NFT+게임
NFT+메타버스
NFT+스포츠
NFT+엔터테인먼트
NFT 마켓플레이스
Chapter 2: 디파이란 무엇인가?
디파이의 개념
디파이 대출 프로젝트
디파이 이자 농사
디파이 탈중앙화 거래소
디파이 보험 서비스
NFT ETF
KEY NOTE
Part 4. 지구를 넘어서 우주로
Chapter 1: 민간 우주여행 시대가 열리다
현재 우주산업의 특징
민간 우주여행의 가능성
민간 우주여행 시대를 연 대표 기술: 재사용 발사체
최초로 민간인 우주여행에 성공한 버진 갤럭틱
두 번째 민간인 우주여행, 블루 오리진
궤도 비행에 성공한 스페이스X
Chapter 2: 저궤도 위성통신 프로젝트의 부상
저궤도 위성통신 프로젝트란?
우주 인터넷 실현이 목표인 스타링크
파산 위기를 딛고 일어난 원웹
아마존의 카이퍼 프로젝트
GSaaS에 뛰어든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Chapter 3 : UAM은 대중화될 수 있을까?
UAM의 개념
UAM의 핵심 기체, eVTOL
틸트엑스 eVTOL 3사: 조비, 릴리움, 아처
우주항공 ETF
KEY NOTE
Part 5. 모빌리티 산업에 부는 혁신의 바람
Chapter 1: 보급 확대로 더욱 빨라진 전기차 시대
테슬라와 전기차 시대의 개막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전기차 사업
테슬라와 전통차 업체의 눈에 띄는 격차
리비안은 제2의 테슬라가 될 수 있을까?
2차전지 배터리를 둘러싼 전쟁
Chapter 2 :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온 자율주행차
자율주행 단계별 구분
웨이모와 테슬라의 자율주행 전략
테슬라의 자체 칩 개발
테슬라 FSD의 현재 진행 상황
모빌아이와 엔비디아의 행보
모빌리티 ETF
KEY NOTE
Part 6. ESG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Chapater 1: ESG란 무엇인가?
ESG의 개념
ESG를 알아야 하는 이유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의 의미
각국의 탄소중립 정책
E만큼 S와 G도 중요하다
Chapter 2: 기업 실적과 ESG의 뗄 수 없는 관계
탄소 가격제
탄소국경조정세
그린본드
Chapter 3: 기업의 ESG 경영 사례
E(환경)에서의 ESG 경영 사례
S(사회)에서의 ESG 경영 사례
G(지배 구조)에서의 ESG 경영 사례
ESG ETF
KEY NOTE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메타버스의 개념은 언뜻 생소해 보이지만, 이미 사회 곳곳에 들어와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취업박람회부터 입학식, 졸업식, 신입사원 교육, 각종 축제까지 모두 메타버스 공간에서 열리고 있다. 순천향대학교는 입학식을 SK텔레콤의 가상현실 플랫폼인 ‘점프 VR’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진행했으며, 서강대학교는 메타버스 화상회의 플랫폼인 ‘게더타운(Gather Town)’을 활용해 언택트 취업박람회를 열고 채용 담당자와 채용설명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캐시우드에 이어 헤지펀드계의 거물인 레이 달리오도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최근 억만장자 헤지펀드 운용자인 폴 튜더 존스는 인플레이션 헤지(hedge)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이미 금 대신 비트코인을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선택해, 블랙록 스트래티직 인컴 오퍼튜니디즈(BlackRock Strategic Income Opportunities) 펀드의 투자 리스트에 비트코인 선물을 추가했다. 또한 테슬라, 코인베이스,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y) 등 다수 기업이 비트코인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암호화폐 시장 참여자는 더 이상 개인만이 아니다.
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Jefferies)의 시장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NFT 시장은 2021년 140억 달러에 달하며, 2025년이 되면 8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4년 만에 시장 규모가 6배나 커지리라 예상한 것이다. 투자 관점에서 NFT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시장이 된 것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