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든 감각으로 : 클랑쿤스트 Klangkunst

모든 감각으로 : 클랑쿤스트 Klangkunst

(소리-공간-미디어-신체)

슈테판 프리케, 오현주 (엮은이)
아트북프레스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3,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모든 감각으로 : 클랑쿤스트 Klangkunst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든 감각으로 : 클랑쿤스트 Klangkunst (소리-공간-미디어-신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현대미술
· ISBN : 9791197785375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11-18

책 소개

클랑쿤스트의 본고장인 독일과 사운드 아티스트의 마음의 고향 베를린에서 클랑쿤스트의 초기 정신과 형태를 형성했다고 평가 받는 5명의 전범을 인터뷰하여 엮은 책이다. 5명의 전범은 각각 소리, 공간, 미디어, 신체 등 현대미술의 화두와 결합되어 있다.

목차

7 서문
사운드 아트(Sound Art) 또는 클랑쿤스트(Klangkunst)
― 오현주

13 “저는 종아리보다 무릎을 통해 소리를 더 잘 듣죠.”
― Bernhard Leitner(베른하르트 라이트너)

51 “클랑쿤스트(Klangkusnt)는 제 삶입니다.”
― Christian Kubisch(크리스티나 쿠비쉬)

99 “우리의 귀도 조율해야하죠.”
― Arnold Dreyblatt(아놀드 드레이블랫)

133 “모든 음향 및 시각적 사건들은 주제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 Franz Martin Olbrisch(프란츠 마틴 올브리쉬)

181 “클랑쿤스트(Klangkunst), 그것은 개척해야 할 분야입니다.”
― Helga de la Motte-Haber(헬가 드 라 모테-하버)

195 후문
동독(DDR)에서 유래된 용어 - ‘클랑쿤스트’(Klangkunst)
― Stefan Fricke(슈테판 프리케)

저자소개

슈테판 프리케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공영 방송사 회원국 Hessischer Rundfunk (헤시셔 룬트풍크/Radio Frankfurt)의 신음악(Neue Musik), 재즈(Jazz), 클랑쿤스트(Klangkunst) 부서의 편집장이다. 1989년 현대 음악 전문 출판사 Pfau-Verlag(파우 출판사)를 공동 설립했으며, 신음악, 플럭서스, 클랑쿤스트 관련 수많은 글을 집필했다. 또한 그는 강연자로서 독일 다름슈타트 국제현대음악제 여름 강좌(Darmstadter Ferienkurse)에서 수차례의 강의를 진행했으며, 현재 마인츠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국립대학교(Johannes Gutenberg Universitat)의 음악대학 명예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유서 깊은 역사를 가진 음악 매거진 중 하나인 쇼트뮤직(Schott Music)의 「Neue Zeitschrift für Musik」 (음악을 위한 새로운 매거진) 공동 편집장으로도 재직 중에 있으며, 또 다른 현대 음악 저널인 「MusikTexte online」 (뮤직텍스트 온라인)의 편집 팀원이기도 하다.
펼치기
오현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양화, 미디어 아트, 클랑쿤스트-작곡을 전공한 인터미디어 아티스트로, 몰입형 인터미디어 설치, 오디오 드라마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구현하며 프랑크푸르트(Frankfurt am Main)에서 활동하고 있다. 작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비롯하여 독일 루돌프 아우크슈타인 재단(Rudolf Augstein Stiftung) 및 여러 연방주 문화재단 기금에 선정된 바 있으며, Nassauischer Kunstverein Wiesbaden(나사우이셔 쿤스트페어라인 비스바덴),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 문화기금의 <Klangkunst in Industriekultur>(산업 문화의 클랑쿤스트) 및 베를린 <DYSTOPIE 사운드아트 페스티벌 2020> 등 여러 국제 사운드아트 페스티벌 초청 및 다수의 개인전-그룹전을 가졌다. 특히, 작가의 첫 라디오포닉 오디오 프로젝트 “mutterseelenallein”(무터젤레알라인)은 독일 공영 방송사 회원국 라디오 프랑크푸르트 hr2-kultur의 <Artist’s Corner>에 방송된 바 있다. www.ohyunju.com
펼치기

책속에서

하루는 슈테판 프리케(Stefan Fricke)에게 이렇게 물었다.
“도대체, 클랑쿤스트(Klangkunst)는 무엇이고 사운드 아트(Sound Art)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는 이렇게 답했다.
“사실, 그 어떠한 용어보다도 ‘예술’이 더 중요하죠.”
2011년 음악과 미술 분야를 접목한 예술, 그 무언가를 하고 싶은 마음에 오른 독일행. 그 뿌리 중 한 곳인 독일에서 수많은 전시와 페스티벌을 다니며 체험한 사운드 아트. 그러나 이 분야에 대해 깊게 파고들면 들수록 / 이 씬의 아티스트로서 작업하면 할수록 / 다른 아티스트-작곡가들의 작품을 접하면 접할수록 /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풀리지 않을 뿐이었다.
한국에서는 대체로 소리와 예술을 접목한 장르를 ‘사운드 아트’라고 부르며, 그 종류 또한 굉장히 다양한 스펙트럼 안에서 이뤄진다. 예를 들어, 여러 소리/음을 기반으로 한 실험적인 작곡 또한 사운드 아트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디오 아트를 동시에 선보이는 것 또한 같은 개념이 될 수 있다. 즉, 청각 중심의 실험적인 예술 형태나, 시각과 청각의 두 감각에서 인지할 수 있는 예술 등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렇기에 아티스트들이나 행사 주최자들의 예술적 뿌리에 따라 방향성이 크게 나뉘는 현상 또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용어 사용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듯한 인상을 받을 수도 있다.
어찌되었건 한국에서 사용하는 이 개념 ‘사운드 아트’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자 자연스럽게 한국에 정착될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운드 아트의 본거지 중 하나이자 활발한 씬을 가진 독일에서 본 클랑쿤스트의 기준은 나에게 좀 더 까다롭게만 느껴졌고, 그렇기에 이 용어와 장르의 본질부터 다시 파악하고 싶었다. 이는 분명, ‘사운드 아트’와는 다른 성질을 띄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나온 질문 중 하나, 클랑쿤스트(Klangkunst)는 도대체 무엇인가.
- 오현주 ‘서문’ 중


슈테판 프리케: 역사적으로 많은 뿌리를 가진 장르이죠. 존 케이지는 신음악(新音樂,Neue Musik/현대음악)에서도 새로운 것, 클랑쿤스트(Klangkunst), 라디오포닉 아르스 아쿠스티카 및 시각 예술의 수많은 트렌드 중에서도 독보적인 존재죠. 그렇다면 작가님은 클랑쿤스트 형성의 또 다른 뿌리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시나요? 이는 학자들에 의해 종종 연구되어 왔는데요, (놀랍지 않게도) 미래주의와 1920년대의 다다이즘 일부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죠. 물론 1960년대 플럭서스에도 발견됩니다. 이 견해에 동의할 수 있지만, 또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요.
크리스티나 쿠비쉬: 저는 모든 역사적 문화학 측면을 제외, 이를 완전히 다른 뿌리로 봅니다. 제 예술가 친구 한스 페터 쿤(Hans Peter Kuhn, *1952), 루돌프 율리우스(Rudolf Julius, 1939-2011) 그리고 저, 우리 모두가 독일 북부 출신이라는 사실을 깨달은 적이 있습니다. 많은 소리들이 있는 곳이 아니죠. 그곳의 풍경은 평평합니다. 항상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지만 큰 변함은 거의 없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멋진 소리들이 존재했죠. 이 지역은 우리가 하는 일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확실한 것은 많은 것이 파괴되고 모든 부분들이 격변의 상태인 전후(戰後) 시기였다는거죠. 그리고 당연히 그것은 우리가 어디서 어떻게 성장했는지를 말해주는 특별한 전기(傳記)가 되고요. 1970년대에는 여전히 무언가에 적대적 태도를 갖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클래식 음악에 반대할 수도, 음악 교육에 반대할 수도 있었습니다. 여성으로서 남성에 반대할 수도 있었죠. 저항할 수 있는 대상은 정말 다양했습니다. 그리고 이 저항은 창의적일 수도, 좋은 결과로 이끌 수도 있었죠. 오늘날 특히 젊은 예술가들에게 그것은 더 이상 쉽지 않은 일이죠.
- 크리스티나 쿠비쉬 와의 인터뷰 중


오현주: 예술적 창작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베른하르트 라이트너: 호기심입니다. 모든 예술 작품의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은 내재된 호기심을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호기심은 “무엇이 가능한가?” 또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이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서 비롯됩니다. 호기심이 없다면 예술에 대해 말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이는 예술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죠. 공간 속 몸의 몸짓에 대한 호기심이 없다면 춤에 관심이 없거나 발레는 불필요한 것이라 여겼을 겁니다. 하지만 그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예를 들어 무용수들의 공간적 변형에 탐구심이 생긴다면 큰 기쁨으로 이를 바라보고 무언가 발견하게 되겠죠. 호기심과 발견은 이렇게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베른하르트 라이트너와의 인터뷰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