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7945762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23-11-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Part 1. 생태위기의 원인과 범재신론
1장. 생태위기의 실태와 원인 •
2장. 생태위기에 대처하는 범재신론 •
3장. 몰트만의 범재신론 •
Part 2. 생태의 위기극복 신론, 케노시스
4장. 생태학적 창조론 •
5장. 『 Gott in der Schopfung 』 •
6장. ‘케노시스’로서의 대안 •
Part 3. 생태의 평화구조 신론, 페리코레시스
7장. 사회적 삼위일체론 •
8장. 『 Trinitat und Reich Gottes 』 •
9장. ‘페리코레시스’로서의 대안 • 11
Part 4. 생태의 종말론적 신론, 파루시아
10장. 만유적 구원으로서의 종말론 •
11장. 『 Das Kommen Gottes 』 •
12장. ‘파루시아’로서의 대안 – 새 하늘과 새 땅 •
에필로그 •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환경 위기 시대에 정작 필요한 것은 바로 하나님이 이 자연 가운데 내재해 계신다는 생각이다. 오늘날 생태학적 창조론은 하나님과 세계의 구분을 버리지 않으면서 하나님의 세계 내재를 강조해야 한다. 이것을 몰트만은 ‘내재적 초월’이라 부른다. 몰트만에 의하면 이것은 성서 전통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근본적인 기독교 진리로 돌아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늘과 땅의 창조자이신 하나님은 그의 영을 통하여 그의 모든 피조물들과 그의 창조의 사귐 안에 임재하여 있다는 진리에로 돌아가고자 한다.”
몰트만의 평생의 프로젝트는 신학의 모든 측면을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연결시킨 것이었다. 몰트만은 세계 질서 안에 하나님이 자신의 최종적인 나라를 실현시키면서 지속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최종적인 하나님의 나라는 삼위일체의 삶 가운데서 모든 피조세계의 구속과 충만한 교류를 가져온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