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흑구 수필집 세트 - 전2권

한흑구 수필집 세트 - 전2권

(동해산문 + 인생산문)

한흑구 (지은이)
득수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400원 -10% 0원
1,800원
3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흑구 수필집 세트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흑구 수필집 세트 - 전2권 (동해산문 + 인생산문)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7961069
· 쪽수 : 506쪽
· 출판일 : 2023-05-31

책 소개

한국 수필문학의 고전인 한흑구 수필집이 50여 년 만에 복간되었다. 한흑구 수필집 『동해산문』(1971)과 『인생산문』(1974)이 그것. 시적이면서 철학적인 한흑구 수필의 정본으로서 자연과 인간 속에서 아름다움 찾은 수필 속으로 ‘은둔의 사색가’ 한흑구의 의미를 한국 문학사에 복원해냈다.

목차

『동해산문』

책머리에 4
나무 11
새벽 15
눈 20
비가 옵니다 24
봄비 28
진달래 32
보리 38
길 44
닭 울음 50
감 55
집 59
산 63
새 봄빛 69
화단의 봄 74
1. 달래
2. 화단
3. 꽃씨
4. 아주까리
새 78
제비 84
부드러운 여름밤 91
가을 하늘같이 94
귀뚜라미 소리를 들으며 99
나의 벽서(壁書) 105
1. 죽음
2. 사랑
3. 감투
4. 욕망
5. 피
6. 수업
노년 115
책 125
밤을 달리는 열차 129
차창 풍경 135
기원 143
동해산문 149
1. 바다
2. 6월의 동해
3. 갈매기
4. 성하(盛夏)의 바다
5. 겨울의 바다
문단 교우록 166
1. 청마와의 교유기
2. 미당의 술과 시
3. 지훈의 인정미
수필론 210
1. 수필의 형식
2. 수필의 종류
3. 문학적인 수필
수필의 형식과 정신 227
1. 수필의 형식
2. 수필의 정신
발(跋) 236

『인생산문』

책머리에 4

제1부 계절의 향기
노목을 우러러보며 13
들 밖에 벼 향기 드높을 때 19
코스모스 25
석류 29
나무·기이 (其二) 36
한여름 대낮의 움직임과 고요 47
가을의 숲속을 거닐며 52
눈 56
「눈」을 쓰고 나서 60
봄의 화단 62
봄의 숨결 67
1. 흙 날라 길 손질
2. 독장수 아낙네들
3. 항구의 새벽 장
4. 바다는 더운 입김을
신록의 동화사 72
5월의 중앙선 79
숲과 못가의 새소리 84
여름이 오면 88
흙 96

제2부 생활의 지혜
연령 103
동상(銅像)의 명(銘) 108
나의 좌우명 113
새해를 바라보며 118
주도 소칙(酒道 小則) 121
1. 말을 사 먹는다
2. 술은 사내의 음식
3. 새도 못 주워 먹는 것
4. 엑스터시(ecstasy)와 인스피레이션(inspiration)
5. 우리 문학인의 술
6. 근주 절연(謹酒 節煙)
이육사의 청포도 134
나의 필명의 유래 140
일사일언 143
1. 도산(島山) 정신
2. 경주의 국보
3. 배금사상
4. 공업도시
싸라기 말 153
1. 범은 가죽을, 사람은 이름을
2. 시는 문학의 모체
3. 각국의 국민성
4. 꽃도 해와 달을
5. 한 알의 밥알
6. 용기(容器)와 내용
7. 고독
8. 자유시(free verse)와 이미지스트(imagist)

제3장 나의 교유록
파인(巴人)과 최정희 163
효석과 석훈 181
예술가 안익태 195
1. 고학의 길
2. 노부부의 온정
3. 시카고의 호반(湖畔)
4. 뉴욕에서의 작별

저자소개

한흑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9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세광(世光). 산정현교회의 최초 조선인 목사였던 아버지 한승곤(흥사단 의사장 역임)의 1916년 미국 망명으로 일곱 살 때부터 부재한 아버지는 편지로만 존재했다. 숭덕학교와 숭인학교를 졸업했으며, 숭인학교 시절에 문학동인 ‘혜성’을 결성해 주요한, 김동환의 시편을 암송하고 김억의 번역시집을 탐독했다. 1926년 기독교 잡지 《진생》에 시를, 1928년 보성전문학교 상과에 입학해 《동아일보》에 소묘 수필 「인력거꾼」을 발표했다. 1929년 2월 아버지가 기다리는 미국으로 건너가서 흥사단에 입단하고 고학으로 시카고 노스파크대학 영문학과, 필라델피아 템플대학 신문학과를 수학했으며, 방학이나 휴학 기간에는 미주 대륙을 여행했다. 또한 문학 창작에 왕성하여 《신한민보》에 꾸준히 시를 발표해 ‘미주조선인문단’ 형성에도 일역하는 한편, 서울의 《동광》이나 《우라키》에 시, 소설, 평문, 수필, 번역시, 번역소설을 발표했다. 1935년 종합지 《대평양》의 창간 실무를 주도해 주간을 맡았고, 이어서 1937년 문예중심 종합지 《백광》의 창간 실무도 주도해 주간에 버금가는 역할을 맡았다. 1937년 이른바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안창호, 이광수, 주요한, 아버지(한승곤) 등과 함께 구속돼 고초를 겪은 뒤 평남 강서군 산골 마을로 이주해 손수 과수원을 일구고 농사를 지으며 일제의 갖은 회유와 강요를 물리치고 시 「동면」을 발표하면서 실제로 창작 활동의 ‘동면’에 들어갔다. “단 한 편(片)의 친일문장도 쓰지 않은 영광된 작가”로 해방을 맞았으나 ‘적도(赤都)’로 바뀐 평양에서 살아갈 수 없었다. 1945년 9월 조만식의 주선으로 긴급히 월남해 서울 문단에 합류하고 미군정청 통역관이 되었다. 그해 11월 가족이 무사히 38선을 넘어오게 했다. 해방공간의 서울에서 문인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산문과 서평을 발표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하자 ‘분단 해방’의 세속적 명리를 미련 없이 놓아버리고 일가친척 하나 없는 낯선 땅, 오로지 바다와 갈매기와 백사장과 솔숲을 가슴에 담아 포항 영일만 바닷가로 이주했다. 6·25전쟁 중 부산으로 피난했다 포항으로 돌아와 폐허의 도시 재건에 미군의 도움을 끌어오는 일에 앞장섰다. 전후(戰後) 세월에는 주로 수필 창작에 정성을 기울여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문》 《현대문학》 《수필문학》 등 여러 매체에 많은 수필을 발표했다. ‘시적(詩的) 수필’의 명작으로 남은 「보리」도 포항에 살면서 《동아일보》에 처음 발표한 작품이었다. 1979년 11월 자택에서 고요히 눈을 감았다. ‘은둔의 사색가’라는 헌사가 문학의 이름으로 바치는 훈장처럼 추서되었다. 저서로 『미국의 대학제도』(1948), 번역시집 『현대미국시선』(1949), 『세계위인출세비화록』(1952), 수필집 『동해산문』(1971), 수필집 『인생산문』(1974), 수필선집 『보리』(1975) 등을 남겼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