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창작.문장작법
· ISBN : 9791198065025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5-08-15
책 소개
목차
제1부 창작의 밀실
제1강 창작의 밀실 · 오덕렬
제2강 <이것저것 놀이>의 기본형 · 오덕렬
제3강 <이것>을 {저것}으로 형상화 · 오덕렬
제4강 야, 무지개다! · 오덕렬
제5강 사랑은 아무나 하나 · 오덕렬
제6강 양지의 꿈 · 가을밤에 쓰는 편지 · 천경자
6감이 살아서 팔랑팔랑 춤추고 있는 문장 · 이관희
제7강 어머니와 바다 · 이어령
현존하는 거대한 부재 -허구적 사실의 소재 형식의 실체- · 오덕렬
제8강 가을 · 최남선
한국 현대 서정수필의 효시, 「가을」 · 오덕렬
제9강 목련 · 오덕렬
<산문서사 개념>의 가능성을 타진 · 이관희
제10강 몽당연필 · 노란 소국 · 박옥주
≪산문의 시≫, <문학 산문> 신인상 의미 · 심사평
제11강 ≪수필의 날≫ 선언식 · 한국 창작수필 문인협회
≪수필의 날≫ 선언문 · 해설
제12강 계간지 ≪창작에세이≫ 26호의 공개 질의에 대한 답변
전국 <수필교실>을 대표하여 <산문의 詩> 광주교실에서 답함
제13강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론 (1) - 동명일기 · 남의유당
찰스 램보다 51년 앞선 고전 창작수필 · 오덕렬
제14강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론 (2) - 규중칠우쟁공론 · 미상
침선 도구를 의인화한 내간체 고전수필 · 오덕렬
제15강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론 (3) - 조침문 · 유씨 부인
‘플롯 시간’에서 탄생한 의인체 고전 수필 · 오덕렬
제2부 몽테뉴에서 윤오영까지
제1강 <수필>과 <산문수필>은 종種이 다르다 · 오덕렬
제2강 창작수필론(1) -조연현 『개고 문학개론』을 중심으로- · 오덕렬
제3강 창작수필론(2) -조연현 『개고 문학개론』을 중심으로- · 오덕렬
제4강 현대수필 창작론의 역사적 전개(1) · 오덕렬
제5강 현대수필 창작론의 역사적 전개(2) · 오덕렬
제6강 수필(에세이)의의 진화·변형 양상(1) · 오덕렬
제7강 수필(에세이)의의 진화·변형 양상(2) · 오덕렬
-몽테뉴의 에세이에서 창작에세이까지-
제8강 수필(에세이)의의 진화·변형 양상(3) · 오덕렬
-몽테뉴의 에세이에서 창작에세이까지-
제9강 윤오영의 창작수필론(1) · 오덕렬
-『수필문학입문』에 나타난 창작론을 중심으로-
제10강 윤오영의 창작수필론(2) · 오덕렬
-『수필문학입문』에 나타난 창작론을 중심으로-
제11강 윤오영의 창작수필론(3) · 오덕렬
-『수필문학입문』에 나타난 창작론을 중심으로-
제12강 동굴테는 나의 자화상 · 오덕렬
제13강 이것저것 놀이 · 오덕렬
제14강 왜, <수필>에서만 창작을 말하는가? · 오덕렬
제15강 대한민국 문학어를 꿈꾸는 방언사전 · 오덕렬
제3부 창작의 자유·비평의 자유
제1강 창작의 자유 · 비평의 자유 · 이관희
제2강 춘희 엄마 · 정태헌
동백꽃 시정詩情 · 오덕렬
제3강 소년병 · 목성균
허구적 사실의 소재 형식 · 오덕렬
제4강 하루살이 · 전미란
사투리 문장법의 의인화 · 오덕렬
제5강 미꾸리지의 변 · 김연분
사투리 의물화의 독백체 언어 세계 · 오덕렬
제6강 그 텁텁헌, 그 끈끈헌 · 정경희
시적 발상의 산문적 형상화 · 오덕렬
제7강 유리창 · 이현재
은유적 동일성의 형상화 · 오덕렬
제8강 외가 만들기 · 박연구
서사 구성법에 의한 창작적 문예수필 · 오덕렬
제9강 따뱅이 · 장금식
구성적 비유의 존재론적 형상물 창작[형상화] · 오덕렬
제10강 탈고 안 될 전설 · 유주현
단편소설인가, 수필인가 · 오덕렬
제11강 스무 살 어머니 · 정채봉
운문(시) + 산문(수필 소설) 양식의 작품 · 오덕렬
제12강 나는 손톱입니다 · 권현옥
의물화 형식의 문장 세계 창작 · 오덕렬
제13강 한메 송규호 선생의 삶과 문학 · 오덕렬
제14강 인연因緣 · 피천득
피천득의 「인연」은 <수필>이 아닌 <수필소설>이다 · 오덕렬
제15강 국어사전은 기본적인 문학 이론서다 · 오덕렬
제4부 <수필시> 이야기 시
제1강 수필시론 · 오덕렬
제2강 길 · 김기림
「길」, 시인가, 수필인가 · 오덕렬
제3강 청추수제 · 이희승
수필의 한 형식을 창조한 창작수필 · 오덕렬
제4강 지팡이 · 이관희
정통 산문의 시 · 오덕렬
제5강 여름밤 별 이야기 · 오덕렬
제6강 승천하는 용 · 오덕렬
제7강 새끼 노루 · 오덕렬
제8강 스마트 폰 · 오덕렬
제9강 토루소 · 강만
제10강 가뭄 · 곽성숙
제11강 깨어진 컵 · 하헌규
제12강 김장하는 부부 · 최광식
제13강 쇠비름 타령 (1) (2) · 오덕렬
제14강 시의 히말라야산맥이여! (1) (6) · 오덕렬
제15강 수필 · 피천득
피천득의 「수필」은 수필이 아니고 <수필시> 문학이다 · 오덕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