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곡본초 仁谷本草 2

인곡본초 仁谷本草 2

(망개떡)

이상건 (지은이)
느티나무가있는풍경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곡본초 仁谷本草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곡본초 仁谷本草 2 (망개떡)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98148940
· 쪽수 : 305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한민족은 본초학이 출발한 나라의 살아있는 본초인(本草人)들이다. 또한 본초학이 뼈 속까지 스며들어있는 민족이다. 이상건 박 사가 바로 본초학의 재건을 위해 뛰고 있는 인물이다. 잃어버린 동양의 학을 찾아올 때이다.
한민족은 본초학이 출발한 나라의 살아있는 본초인(本草人)들이다.
또한 본초학이 뼈 속까지 스며들어있는 민족이다. 이상건 박 사가 바로 본초학의 재건을 위해 뛰고 있는 인물이다. 잃어버린 동양의 학을 찾아올 때이다.
동양의학의 기본은 풀과 나무가 사람을 이롭게 하 는 법을 사람들에게 전하고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마음에서 출발했다.
본초학의 나라인 대한민국에 본초를 연구하는 뛰어난 학자가 고대에 있었다. 본초학을 세상에 탄생시킨 염제신농의 정체를 알면 흥분하게 된 다. 먼저 우리는 어떤 민족인가를 알아야 한다.
우리를 우리 스스로 배달 민족이라고 한다. 배달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들은 배달의 기수라고도 한다. 기수(手)는 대열의 앞에 서서 기를 드는 일을 맡은 사람 또는 앞장서서 이끄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우 리는 우리의 역사를 잃어버렸다. 웅혼하고 역동적인 민족혼을 잃어버렸 다. 하지만 나라 이름은 아직도 그대로 남아있다. '배달’이다. 배달의 뜻 은 무엇인가, 어느 나라일까. 배달은 밝달이라는 의미이다.
'밝달'은 '밝은 땅'이라는 의미로 달이라 는 말은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응달이라고 하면 햇볕이 들지 않는 땅을 말하고, 양달은 햇볕이 드는 땅을 말한다. 대륙의 동쪽에 위치해 태양이 먼저 뜨는 나라라는 의미이다.
우리는 동이족이다. 동이족이 최초로 세 운 나라가 바로 배달국이다. 그래서 우리를 배달민족, 배달의 후손 또는 배달의 기수라고 한다.
고대 배달국에 3인의 성인이 태어났다. 태호복희, 염제신농 그리고 치 우천황이다. 염제신농이 바로 본초학을 출발시킨 인물이다. 인류에게 치 유할 약과 먹을 나물을 선물한 최초의 인물이다.
동양의학을 출발시킨 염제신농(神)은 배달국의 8대 환웅의 신하였다. 한민족에게 의미 있고 동양의학을 태동시킨 인물이다. 수렵채취사회에서 농경사회로 전 환을 시켜준 이가 바로 신농씨였다.
당시에는 경작지가 없었다. 산이나 들에 불을 질러 화전을 일구는 농사가 시작되었다. 즉 인류 첫 농사는 화 전농사였다. 그래서 신농씨의 앞에 붙은 염제(炎帝)는 바로 불(火)로 화 전 농업을 상징한다.

목차

1부
1. 고등어
2. 망개떡
3. 무르팍
4. 도루묵
5. 소태같이 쓰다
6. 백일홍
7. 구증구쇄
8. 선태
9. 출(朮)
10. 배초향과 계뇨등
11. 작약
12. 올갱이
13. 주엽나무와 조각자나무
14. 누룽지
15. 잔대, 더덕, 만삼 그리고 모시대

2부

포토에세이- '해오라비난초'

3부

1. 엘레지
13. 물푸레나무
4.명조
5. 곡기생
6. 참나무에는 참나무가 없다.
7. 황기탕
8. 민어탕
9. 보리밥
10. 미국자리공
11. 산초나무
12. 빈랑
13. 빼때기죽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상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한의과 대학에서 본초학(本草學)을 전공한 한의학자이다. 들과 산 그리고 바다에서 자라는 야생식물을 일상적으 로 밥상에 올리는 민족이 한국인이다. 이른바 나물문화다. 나물문화는 야생식물이 나고 자라 고 열매 맺는 생태와 맛을 알고, 조리방법까지 알아야 하는 놀라운 능력이다. 그리고 성분까 지를 알아야 가능한 놀라운 문화이다. 나물문 화는 한국이 유일하다. 국민 전체가 식물학자 인 셈이다. 나물문화가 살아있는 한국에서 이상건 박사 는 독보적인 본초학의 대가다. 휴일이면 산야 로 나가 약초를 연구한다. 사진을 찍고 기록한 다. 야생초와 나무 하나하나를 애정 어린 눈으 로 바라보고 연구했다. 이상건 박사의 오랜 본 업이자 즐거움이다. 타고난 기질과 능력이 뒷 받침 되어야 가능한 세계를 혼자서 이끌어가고 있다. 본초학은 장구한 세월의 반석에 서 있지 만 아직도 미답의 세게다. 신비로움과 경이로 움이 남아 있는 세계가 본초학이다. 이상건 박 사는 근원적이면서 알려지지 않은 세계를 안내 한다. 이상건 박사는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소재 도 연(陶淵)한의원을 운영하고 있다. 연구하고 찍 은 사진은 네이버 블러그 인곡본초(仁谷本草) 에 남기고 있다. 저서로 『인곡본초(仁谷本草)』 1권으로 ‘욕봤어’와 인곡본초 제2권 ‘망개떡’ 인곡본초 제3권 ‘미나리꽝’이 있고 이번에는 제4권 '익모초'를 내놓는다. 저서와 논문으로 『저절로 낫는다』『곽향의 물 추출물과 정유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망개떡
겨울 밤이 깊어 자려고 하면 밖에서 떡장수 소리가 들린다.
"망~개에~떡~, 망~개~떡~, 망~개에~떡"
침이 꼴깍꼴깍 넘어간다. 오늘은 떡장수 소리가 그쳤다. 대문을 열고
어머니는 대청마루로 떡장수를 불렀다. 망개떡을 사실 모양이다. 자는
줄 알았던 여동생도 마루로 뛰쳐나왔다. 떡장수는 단팥을 소로 한 찹쌀
먹을 청미래덩굴 잎에 하나하나 싸서 만든 떡을 우리한테 내보인다.
"언제 만들었지요??
어머니는 떡장수에게 묻고 망개떡을 코에 가까이 대 보신다. 쉰내가 나나 확인하는 것이다.
여동생은 빨리 사자고 보챈다. 샀다. 망개떡은 할 머니 앞에 놓여있고 나와 여동생은 빤히 쳐다보고 있다.
어머니는 할머 니 드리려고 부엌에 동치미를 가지러 나가셨다. 우리는 할머니 허락 하 에 망개떡을 먹었다. 꿀맛이었다.
청미래덩굴 잎에 조금 묻어 있는 찹쌀 도 핥아먹었다. 망개나무와 청미래덩굴과 청가시덩굴은 각각 다른 식물이다.
떡을 싸 서 보존 기간을 늘리는 잎으로 제일 좋은 것은 청미래덩굴 잎이 최고고 다음이 청가시덩굴 잎이다.
'망개나무'는 갈매나무과 낙엽 교목(喬木)으로 높이 12m까지 자란다.
우리나라 충북 월악산, 경북 보현산이 주 자생지이다. 경북에서는 살배 충북에서는 멧대싸리라 부른다.
수피(樹皮)는 그물맥 같은 회색이며 세 로로 깊게 갈라져 골이 생긴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6~10cm의 난상 장 타원형이다. 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6~7월에 가지끝 또는 엽액에서 나온 산꽃차례에 황록색의 양성 화가 모여 달린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길이 7~8mm의 장타원형이며 8 월에 적색(色)으로 익는다.
종자가 성숙되기 전 여름에 낙과하기 때문에 결실률이 다소 낮은 편이 다.
보은 속리산, 괴산 사담리, 제천 송계리의 군락지는 천연기념물로 지 정 보호하고 있다.
망개나무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나무가 아니다.
바위틈에서도 잘 자랄 만큼 생명력이 강한 반면 번식력은 약하다. 우리
나라에 망개나무 1종(種)이 자라며 중국, 일본 등에 드물게 자라는 희귀 종이다.
멸종위기에 있는 식물이다. 그런데 옛날부터 불에 잘 타 땔감으 로 자주 사용했고,
써레의 살로 아주 적합하여 농기구로 이용했다. 수난
을 많이 당한 나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