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98148940
· 쪽수 : 305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또한 본초학이 뼈 속까지 스며들어있는 민족이다. 이상건 박 사가 바로 본초학의 재건을 위해 뛰고 있는 인물이다. 잃어버린 동양의 학을 찾아올 때이다.
동양의학의 기본은 풀과 나무가 사람을 이롭게 하 는 법을 사람들에게 전하고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마음에서 출발했다.
본초학의 나라인 대한민국에 본초를 연구하는 뛰어난 학자가 고대에 있었다. 본초학을 세상에 탄생시킨 염제신농의 정체를 알면 흥분하게 된 다. 먼저 우리는 어떤 민족인가를 알아야 한다.
우리를 우리 스스로 배달 민족이라고 한다. 배달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들은 배달의 기수라고도 한다. 기수(手)는 대열의 앞에 서서 기를 드는 일을 맡은 사람 또는 앞장서서 이끄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우 리는 우리의 역사를 잃어버렸다. 웅혼하고 역동적인 민족혼을 잃어버렸 다. 하지만 나라 이름은 아직도 그대로 남아있다. '배달’이다. 배달의 뜻 은 무엇인가, 어느 나라일까. 배달은 밝달이라는 의미이다.
'밝달'은 '밝은 땅'이라는 의미로 달이라 는 말은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응달이라고 하면 햇볕이 들지 않는 땅을 말하고, 양달은 햇볕이 드는 땅을 말한다. 대륙의 동쪽에 위치해 태양이 먼저 뜨는 나라라는 의미이다.
우리는 동이족이다. 동이족이 최초로 세 운 나라가 바로 배달국이다. 그래서 우리를 배달민족, 배달의 후손 또는 배달의 기수라고 한다.
고대 배달국에 3인의 성인이 태어났다. 태호복희, 염제신농 그리고 치 우천황이다. 염제신농이 바로 본초학을 출발시킨 인물이다. 인류에게 치 유할 약과 먹을 나물을 선물한 최초의 인물이다.
동양의학을 출발시킨 염제신농(神)은 배달국의 8대 환웅의 신하였다. 한민족에게 의미 있고 동양의학을 태동시킨 인물이다. 수렵채취사회에서 농경사회로 전 환을 시켜준 이가 바로 신농씨였다.
당시에는 경작지가 없었다. 산이나 들에 불을 질러 화전을 일구는 농사가 시작되었다. 즉 인류 첫 농사는 화 전농사였다. 그래서 신농씨의 앞에 붙은 염제(炎帝)는 바로 불(火)로 화 전 농업을 상징한다.
목차
1부
1. 고등어
2. 망개떡
3. 무르팍
4. 도루묵
5. 소태같이 쓰다
6. 백일홍
7. 구증구쇄
8. 선태
9. 출(朮)
10. 배초향과 계뇨등
11. 작약
12. 올갱이
13. 주엽나무와 조각자나무
14. 누룽지
15. 잔대, 더덕, 만삼 그리고 모시대
2부
포토에세이- '해오라비난초'
3부
1. 엘레지
13. 물푸레나무
4.명조
5. 곡기생
6. 참나무에는 참나무가 없다.
7. 황기탕
8. 민어탕
9. 보리밥
10. 미국자리공
11. 산초나무
12. 빈랑
13. 빼때기죽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망개떡
겨울 밤이 깊어 자려고 하면 밖에서 떡장수 소리가 들린다.
"망~개에~떡~, 망~개~떡~, 망~개에~떡"
침이 꼴깍꼴깍 넘어간다. 오늘은 떡장수 소리가 그쳤다. 대문을 열고
어머니는 대청마루로 떡장수를 불렀다. 망개떡을 사실 모양이다. 자는
줄 알았던 여동생도 마루로 뛰쳐나왔다. 떡장수는 단팥을 소로 한 찹쌀
먹을 청미래덩굴 잎에 하나하나 싸서 만든 떡을 우리한테 내보인다.
"언제 만들었지요??
어머니는 떡장수에게 묻고 망개떡을 코에 가까이 대 보신다. 쉰내가 나나 확인하는 것이다.
여동생은 빨리 사자고 보챈다. 샀다. 망개떡은 할 머니 앞에 놓여있고 나와 여동생은 빤히 쳐다보고 있다.
어머니는 할머 니 드리려고 부엌에 동치미를 가지러 나가셨다. 우리는 할머니 허락 하 에 망개떡을 먹었다. 꿀맛이었다.
청미래덩굴 잎에 조금 묻어 있는 찹쌀 도 핥아먹었다. 망개나무와 청미래덩굴과 청가시덩굴은 각각 다른 식물이다.
떡을 싸 서 보존 기간을 늘리는 잎으로 제일 좋은 것은 청미래덩굴 잎이 최고고 다음이 청가시덩굴 잎이다.
'망개나무'는 갈매나무과 낙엽 교목(喬木)으로 높이 12m까지 자란다.
우리나라 충북 월악산, 경북 보현산이 주 자생지이다. 경북에서는 살배 충북에서는 멧대싸리라 부른다.
수피(樹皮)는 그물맥 같은 회색이며 세 로로 깊게 갈라져 골이 생긴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6~10cm의 난상 장 타원형이다. 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6~7월에 가지끝 또는 엽액에서 나온 산꽃차례에 황록색의 양성 화가 모여 달린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길이 7~8mm의 장타원형이며 8 월에 적색(色)으로 익는다.
종자가 성숙되기 전 여름에 낙과하기 때문에 결실률이 다소 낮은 편이 다.
보은 속리산, 괴산 사담리, 제천 송계리의 군락지는 천연기념물로 지 정 보호하고 있다.
망개나무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나무가 아니다.
바위틈에서도 잘 자랄 만큼 생명력이 강한 반면 번식력은 약하다. 우리
나라에 망개나무 1종(種)이 자라며 중국, 일본 등에 드물게 자라는 희귀 종이다.
멸종위기에 있는 식물이다. 그런데 옛날부터 불에 잘 타 땔감으 로 자주 사용했고,
써레의 살로 아주 적합하여 농기구로 이용했다. 수난
을 많이 당한 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