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8207777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3-10-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PART 1
주식투자로 자산을 키우는 두 가지 방법
CHAPTER 1 배당(配當)
1. 배당의 정의(定義)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① <행동주의 펀드의 이해>
2. 배당의 종류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②<배당이 주식시장을 만들었다?>
3. 배당 기준일
4. 배당주 투자 전략
5. 워런 버핏은 배당에 호의적일까 부정적일까?(Feat 워런 버핏)
CHAPTER 2 시세차익(時勢差益)
1. 시세차익의 정의와 이해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③ <공매도, 선물매도, 풋옵션의 수익 구조>
2. 작은 시세차익
3. 큰 시세차익[대(大) 시세차익]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④ <실패를 부끄러워하지 말되, 반복하지도 마라!>
PART 2
큰 시세차익을 얻기 위한 준비(시장 살펴보기)
CHAPTER 1 시장 상황 살펴보기(시장분석)
1. 시장 상황을 알아야 하는 이유
2. 시장을 파악하는 기본, 금리(金利)
3. 금리 인상 시기의 주식투자
4. 금리 인하 시기의 주식투자
CHAPTER 2 개별기업 살펴보기(기본적 분석)
1 기업 재무제표에 모든 것이 있다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⑤ <CB(전환사채)와 BW(신주인수권부사채)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2. 개별기업을 살펴보는 필수 지표들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⑥ <가치투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CHAPTER 3 차트 살펴보기(기술적 분석)
1. 차트의 기본(저항선, 지지선, 추세선, 돌파)
2. 이동평균선
3. 대 시세의 출발 골든크로스, 폭락의 전조 데드크로스
4. 기술적 분석의 한계
PART 3
중장기투자 매매의 기술
CHAPTER 1
주식시장의 종류
1. 하락장(급락장)
2. 바닥 확인 후 반등장
3. 횡보장(박스권)
4. 상승장
CHAPTER 2 중장기 투자에서의 주식 매수
1. 매수 시점 판단하기
2. 중장기 투자에서의 종목 선정
3. 저가 매수를 놓쳤을 때 추격매수법
CHAPTER 3 중장기 투자에서의 주식 매도
1. 중장기 투자의 수익 극대화
2. 중장기 투자에서의 환상적인 매도
3. 중장기 투자가 능사는 아니다
CHAPTER 4 하락장에서의 주식투자(대응법)
1. 지수를 이기는 종목은 없다
2. 현금 확보가 생존 전략
3. 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것도 투자
PART 4
단기투자로 수익 만들기(부자 되기)
CHAPTER 1 단기투자의 이해
1. 단기투자의 유혹
2. 수익보다 큰 거래 비용
3. 단기투자의 장점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⑦ <실전투자대회, 떨어진 단기투자 감각 찾기>
CHAPTER 2 단기투자에 필요한 요소
1. 단기투자에 필요한 투자 마인드
2.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성공 확률이 낮은 단기투자
3. 단기투자에 필요한 사전 점검
CHAPTER 3 단기투자 매매법
1. 단기투자에서 종목 찾기
2. 단기투자에서의 매수
3. 단기투자에서의 매도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⑧ <시장경보제도의 이해>
4. 미련을 갖지 마라
CHAPTER 4 단기투자의 위험성
1. 급등주와 급락주의 위험
2. 시장 상황(흐름)을 꼭 확인하자
3. 관심을 가지면 안 되는 종목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⑩ <기업의 미상환 CB와 BW를 확인하는 방법>
CHAPTER 5 테마주(관련주) 투자
1. 테마주(관련주)의 유형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⑪ <중장기 테마의 구분>
2. 테마주(관련주) 매매법
3. 테마주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주식(柱式) 무상(無常)
PART 5
대 시세(큰 시세차익)를 만드는 주식투자
CHAPTRT 1 대 시세를 내는 종목의 유형
1. 새로운 시대의 선봉, 시대 중심주(신세대 산업혁명)
2. 산업 변환에 따른 섹터 중심주
3.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차 시대로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⑫ <소득 증가에 따른 생활, 건강, 소비 변화도 시대 흐름이다!>
4. 이슈와 테마에 의한 시장 중심주
CHAPTER 2 대 시세를 만드는 종목 매매
1. 대 시세를 내는 종목의 초기 매수
2. 대 시세를 내는 종목의 매도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⑬ <계속 강조해도 지나침 없는 ‘정보의 지연반응 효과’>
3. 대 시세를 낸 종목의 분류와 재배치
PART 6
주식투자로 수익을 내는 마지막 퍼즐
CHAPTER 1 잘못된 매수가 필패 원인
1. 가격이 높을 때 매수
2. 바닥권 매수(지하실 진입)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⑭ <주가를 급락시키는 주요 원인>
CHAPTER 2 ‘손절’을 망설이거나 두려워 마라
마이너스 5% 손절률 원칙을 만들어 지키기
CHAPTER 3 불공정 행위에 연루된 주식도 날벼락 맞는다
선량한 투자자를 노리는 사기꾼들
CHAPTER 4 미국 밈(MEME) 주식과 한국 포모(FOMO) 증후군
1. 밈(MEME) 주식
2. 포모(FOME) 증후군
부자가 되는 주식투자 상식 ⑮ <‘알고리즘’이 초전도체 주가 급락의 배후?>
나가는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오랜 시간 필자 몸에 익어 때때로 감각적으로 대응하는 매매법을 글로 설명하자니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자꾸 반복해서 읽고 투자에 적용하여 여러분 스스로 성공 확률이 높은 투자방법을 만들어가는 수밖에 없습니다. 제대로 배우고 익힌 주식투자 방법으로 여러분도 큰 수익, 대 시세를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세상은 급변합니다. 그 변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곳이 주식시장입니다. 가치주 투자나 성장주 투자를 논하는 건, 주식시장에서는 진부한 이야기가 되어버렸습니다.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많은 신규 투자자가 주식시장에 진입했습니다. 근로 수익만으로 는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힘든 세상입니다. 당연히 세상살이가 돈이 전부는 아니라지만, 돈이 부족하면 그만큼 삶의 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요즘은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투자가 일상화되었고 대화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이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렇듯 투자 행위는 자본주의 시스템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일이기도 합니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배당주에 투자할 때에도 기억해야 할 리스크(Risk)가 있다. 만약 투자자가 연말에 이루어지는 배당을 기대하고 투자에 나섰는데, 시장의 상황과 분위기가 투자자에게 우호적이지 않다면, 주가가 급락해 손해를 보기도 한다. 이는 매우 심심찮은 일이다. 이때 투자자는 배당 기준일이 다가올수록 주식을 매도할지 보유할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다. 주식을 보유해서 배당수익을 챙기자는 판단이 유리할 수도 있고, 거꾸로 시장 분위기가 여의치 않아 주가가 크게 떨어질 거라고 예상한다면 주식 보유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이 배당수익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따라서 배당수익을 기대하고 나선 투자에서는 배당수익보다 주가 하락에 따른 손실이 훨씬 클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배당주 투자에서는 이판단이 가장 중요하다.
2021년 말, 삼성전자의 주가가 좋은 참고 사례다. 2021년 12월 28일 연말 배당에서 삼성전자 종가는 80,200원이었다. 그리고 12월 29일 배당락일 시초가는 80,100원이었다. 이후 해가 바뀌어 2022년 1년 내내 삼성전자 주가는 꾸준히 하락하는 모습만 보여주었다. 그리고 2022년 하반기에는 1년 전 8만 원 초반대 가격보다 크게 떨어진 52,000원대까지 주가가 밀렸다. 단 한 번도 2021년 배당 기준일 종가 8만 원대 가격을 회복하지 못했다. 2023년 8월 현재 역시 6만 원 후반~7만 원 초반을 횡보 중이다.
- <배당주 투자 전략> 중에서
어떤 주식을 매수하고 싶은데 주가가 너무 비싸면 시세차익을 기대하기 힘들다. 수익을 기대했건만 손해를 볼 가능성이 더 크다. 따라서 주가가 되도록 저렴할 때 사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내가 사고 싶은 주식의 가격이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어떻게 가늠할까? 이는 매수 타이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적절한 매수 타이밍을 판단한다는 건 주식투자에서 매우, 정말 중요한 일이다. 투자자가 매수하고 싶은 종목의 주가가 적절한지를 살펴보는 기준과 요소는 여러 가지다. 당연히 투자자마다 판단 기준이 다르고 참고하는 자료와 가중치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저마다 참고하는 자료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다는 점부터 밝힌다. 하지만 필자를 비롯하여 많은 투자자가 주가를 판단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 가지 자료가 있다. 익히 잘 알려진, 어쩌면 특별할 것 없는 기준일 수도 있겠다.
① 전체 시장분석(코스피, 코스닥 등)
② 기본적 분석(개별종목 재무제표 분석법 등)
③ 기술적 분석(개별종목 차트 분석법 등)
주가가 적당한지 살펴보는 이유는 해당 주식을 저렴하게 매수하기 위함이다. 엄밀히 말하면 최적의 매수 타이밍을 잡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다. 따라서 위의 세 가지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CHAPTER 2 ‘큰 시세차익을 얻기 위한 준비’에서 후술할 예정이다. 그리고 여러분이 시세차익을 얻는 데 도움이 될, 필자의 실전투자 경험과 노하우도 함께 공유할 생각이다(많은 분이 그 이야기를 궁금해하실 것으로 안다).
- <시세차익의 정의와 이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