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826741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04-08
책 소개
목차
글머리에_ 촌스럽다는 말의 재해석이 필요한 때입니다
1부_ ‘산다는 것’에 대하여
‘산다는 것’에 대하여 / 농산어촌 정책이 먼저라야 합니다 / 성의정심(誠意正心)과 보살행(菩薩行) / 행복 에너지, 공동체 문화 / 개천(開天)과 단군신화의 의미 / 쌍십절(雙十節)과 쑨원(孫文)의 건국대강 / ‘지구’가 아닙니다. ‘수구(水球)’입니다 / 가난의 사슬과 디지털 디바이드(Divide) / 유기체(有機體)설과 성주괴공(成住壞空) /
처야당(處野堂)과 송남공(松南公) / 한국에 솟는 태양은 농촌의 산이나 들이어야 한다 / 그리운 참 스승, 허 문회 (許 文會) 선생님! / 한국 농·식품 산업의 세계화와 PPP / 밝고 맑고 곧게, 그리고 부드럽게, 따뜻하게 / 청출어람(靑出於藍)의 한국미술과 한류 / 여성 인력 활용이 바로 경쟁력이 되는 시대 / 역사, 과거에서 미래를 배우는 교훈 / 2018 무술년 새해에 행복한 농어촌을 위하여 / 사대육신(四大六身)과 혼령(魂靈) / 지린(吉林)성 서북부 바이청(白城) 지구의 추위 / 칸트의 인식론과 오온개공(五蘊皆空) / 유럽 농업정책 조사단 / 기(氣) 순환과 숨쉬기 / 가장 촌스러운 설날과 대보름 / 기공(氣功) 수련과 화두(話頭) 들기 / 글렌 존슨(Glenn L. Johnson) 선생님의 추억 / 우 장춘 박사의 ‘진주 이론’과 ‘삼각형의 정리’ / 메가 루키와 젊은 집단지성의 힘 / ‘세계 물의 날’과 ‘물 인프라’ 수출 / 주인의식(Ownership)과 수처작주(隨處作主) / ‘물 발자국’과 선농(先農), 권농(勸農) /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을 꿈꾸며
2부_ 비움과 채움의 미학
2부_ 비움과 채움의 미학 / 전반전과 후반전, 그리고 연장전 / 옥구 서부 수리조합과 백파(百波) 통수식(通水式) / 소파(小波) 방 정환 선생의 ‘어린이날’ / 어버이, 그 위대한 점선의 이음새 / 디지털 시대에 더욱 그리운 스승의 모습 / 사무량심(四無量心)과 고집멸도(苦集滅道) / 행복한 진짓상으로 농어촌 행복 충전(充塡) / 스마트 워크, ‘열심히’보다 ‘스마트’하게 / 저수지, 비움과 채움의 미학(美學) / 향약(鄕約)과 두레, 주민자치와 협동의 빛나는 전통 / 괴은(槐隱)과 퇴수재(退修齋), 그리고 여려(旅廬) / 일과 삶의 하모니 / 한국 젊은이의 세계 진출 / 혁신의 출발점, ‘비전’과 ‘현장감’ / 일을 성사시키는 3요소 / 음식의 미래와 세계 식품산업의 전망 / 경쟁력의 핵심과 경쟁의 3단계 / 대한민국 독립 70년, 회고와 전망 / 사람됨(人格)을 재는 자(尺度) / 한국 농식품 산업과 농어촌의 밝은 미래를 위하여
3부_ 동림(東林) 시집_ 雜詩 몇 篇에 부쳐
첫머리에 / 할아버님 생각 / 우리는 / 노래 / 門 / 뿌리는 / 산다는 것 / 길 끝에서 / 눈 내린 뒤에 / 햇빛처럼 / 꿈과 아이 / 봄에 불러보는 노래 / 까치 報恩 / 지하철 / 告別 / 떠나보내는 것과 떠나는 것의 異同을 論함 / 조시(弔詩) / 장백폭포에서 / 제목 없이 / 감사의 말씀 / 추천의 말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