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특명 : 김일성 시신을 확인하라!

특명 : 김일성 시신을 확인하라!

류재복 (지은이), 김기우 (엮은이)
정경시사FOCUS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3,000원
0원
2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특명 : 김일성 시신을 확인하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특명 : 김일성 시신을 확인하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98565907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4-01-01

책 소개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압축한 인생 서사. 남과 북, 진정한 평화를 위해 목숨 건 도박으로 <특명>을 수행한 류재복 특수임무유공자의 실화를 소설가 김기우가 엮어냈다. 특수임무를 수행하며 냉각된 남북 관계의 돌파구를 찾는 류재복 회장의 스펙터클 실화 장편소설이다.

목차

. 추천사
. 머리말 - 진정한 평화를 위해 혼신을 다한 시간
. 프롤로그 - 분단 없는 하늘나라에서 아름다운 노래 불러 주세요
. 남은 시간 없는 남북 이산가족
. 특수임무 수행자의 굳은 마음
. 하얼빈에서 울리는 우리 가락
. 남한과 북한, 그리고 우회 공작원의 청춘
. 베이징으로, 국경의 새벽으로
. 종교의 이단, 체제의 이단
. 녹색 초청장에 새겨진 북한 문채(文彩)
. 방북 승인 없는 평양 방문
. 힘찬 구호의 나라, 힘 빠진 공화국의 인민들
. 관자놀이를 겨냥하는 총구
. 밤을 지키는 지령 받은 여성 동무
. 기묘한 풍경과 향기의 산, 묘향산
. 그리운 고향, 해설피 금빛
. 평양에서 보는 달, 고향과는 다른 달
. 장춘진달래소년예술단의 리듬과 한국 소설가의 리듬
. 동두천 몽키하우스의 울음소리
. 특명, 김일성 시신을 확인하라
. 숨이 막히는 고통, 내 청춘의 절벽 끝
. 청주 가중리 선산에서 무릎을 꿇고
. 이산가족 교류 촉구 회견, 광화문을 울리는 통곡
. 오랑캐꽃을 찾다
. 에필로그 - 영결식 마치고 기억으로 쓰는 역사전으로
. 엮은이의 말 - 《특명》, 우리의 근현대사를 스토리텔링하다

저자소개

류재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前▲한국프레스센터 한국어문기자협회 사무국장 ▲중국길림신문 서울지국장(외신기자) ▲외교부-통일부-청와대 출입기자 ▲중국인민일보해외판(한국판)편집인/특별취재국장 ▲종합일간지 ‘일간투데이’ 중국전문大記者 ▲서울뉴스통신 중국전문大記者 ▲아시아타임즈 大記者 ▲코리아데일리 大記者(국회출입기자) 現▲특수임무 국가유공자(첩보부대:HID) ▲중국 칭다오빈하이대학 명예학장 ▲중국 연변대학교사범대 객원교수 ▲중국 하얼빈도리조선족학교 명예교장 ▲(사)남북이산가족협회 회장 ▲안중근의사교육문화재단 대표 ▲정경시사Focus발행인/大記者 ▲‘정경시사포커스TV’ 대표 저서(著書) ▲<4.27과 김대중,국민을 살리는 마지막 선택-2019> ▲<특명:김일성시신을확인하라-2024> ▲<정명석,그는 무죄(無罪)다.왜?-2024> 기타: 채널A ‘이제만나러갑니다’(이만갑) 633회 출연
펼치기
김기우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났다. 충북 음성에 터전을 잡은 한림공(翰林公)의 14대손으로 조상은 농경으로 집성촌 생활을 이어가셨다. 고조부 이후의 아버지들은 한학에 심취하셨다. 경운조월(耕雲釣月)의 삶이었다고 짐작된다. 책상에 앉아 계신 조부와 부친의 뒷모습을 보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부터 책 읽기와 글쓰기를 좋아했다. 자유교양이나, 전국학생백일장 등에 출전해서 부모님과 학교의 소소한 자랑이 되기도 했다. 동북고등학교에 입학하고부터 관악대 활동하면서 조숙한 흉내로 사춘기를 지냈다. 시와 노래에 빠져 고교시절을 보내고, 졸업 후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학부 졸업하면서 단편소설 <환(環)>으로 문단에 나온 뒤 《바다를 노래하고 싶을 때》, 《봄으로 가는 취주(吹奏)》, 《달의 무늬》, 《가족에겐 가족이 없다》, 《리듬,Rhythm》 등의 장편소설집, 중단편소집을 발간했다. 소설 창작 외에도 서사 이론에 관심 깊어 대학원에서 연구 생활도 지속해 나갔다. 〈최인훈 화두의 구조와 예술론의 관계〉로 석사학위를, 《최인훈 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창작장편동화 《봉황에 숨겨진 발해의 비밀》, 글쓰기 지침서 《천하무적 글쓰기왕》, 창작이론서 《아이덴티티 이론의 구조》, 작가 실화 소설 《최인훈은 이렇게 말했다》도 발간했다. 현재 한림대학교에 출강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현미 누님 영정 앞에 머리를 조아리니 누님의 〈보고 싶은 얼굴〉이 다시 입에 고인다. 눈을 감은 내 눈에 현미 누님의 젊을 적 모습이 어른거린다. 현미 누님이 눈을 뜨고 걸어 다니신 ‘허황한 거리’가 내가 절하는 동안 지나간다. 폐허로 허황했던 거리가 지금은 휘황한 거리로 변한 서울 거리의 모습으로 허청허청 지나간다.
현미 누님은 평생을 황황하게 헤매며, 동생을 그리워했을 것이다. 평양 거리에서 장춘의 거리로 옮겨간 현미 누님의 거리, 가족을 이어주는 거리였다. 그 거리는 핏줄처럼 누님의 가족을 연결해 주고 있다. 특히 동생분은 대동맥 핏줄이었다. 가족은 끊어지면 안 된다. 가족은 죽어서도 연결돼 있다.
나는 1998년 현미 누님과 북한의 동생을 장춘에서 만나게 해 주었다.
(……)
1996년 봄, 나는 장춘 관성조선족 소학교에서 명예 교장을 맡아 달라는 요청을 흔쾌히 수락했다. 그리고 진달래소년예술단의 단장도 맡아 성의를 다해 일을 꾸려나갔다. 이번에는 우리 민족 소년 소녀들의 공연이었다. 민족의 정서가 훨씬 짙어지고 중국의 향기가 혼합된 흥미로운 무대가 될 것이었다. 나는 소년 소녀들의 기예도 좋지만, 우리의 가락, 우리의 민요, 국악을 살린 프로그램도 많이 넣어달라고 예술감독에게 주문했다.
나는 진달래예술단의 공연 일정을 구성하고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바쁜 와중에도 전화를 기다렸다. 북한 고위 관리, 최재경의 전화였다.
(……)
나는 갑작스러운 그들의 습격에 어찌할 줄 몰랐다. 당황해하는 내 모습을 보던 다른 북한군이 소리치듯 말했다.
― 종간나 새끼, 여기가 어디라구 골을 굴리네? 방북 증명서 내놓라우!
― 그런 거 없습니다.
― 뭐래? 증명서 없이 평양에 왔다? 이 새끼가 총알맛을 보고 싶어 환장했구만.
― 네, 저는 방북 증명서 같은 것 없습니다. 초청장이 있습니다.
― 아니, 통일원에서 발행한 거 보여 달라우. 방북 증명서!
북한 군인의 목소리는 점점 거세졌다. 다른 군인은 아예 허리춤에서 권총을 빼 들었다.
― 이보라우, 여기가 어디멘지 모르나? 평양이야, 평양!
그랬다. 나는 여기서 쥐도 새도 모르게 죽어도 모래알 같은 흔적도 없을 것이다.
― 안 되겠구만. 이 종간나, 뜨건 총맛 좀 봐야 정신이 나겠구만.
그가 권총을 빼 들어 관자놀이를 겨누다가 총구를 내 목에 갖다 댔다. 차가운 총부리가 내 목에 닿으니 온몸에 전율이 일었다. 얼음장 같은 총부리는 내 몸을 급격히 달궜다. 나는 곧 터질 것 같은 화산처럼 뜨거워졌다.
(……)
우리는 이런 식으로 7층까지 올라갔다.
7층 에스컬레이터의 마지막 계단이 넘어가는 순간, 나는 눈 앞에 펼쳐진 광경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바로 앞에 김일성의 시신이 있는 것이었다. 상상했던 유리관이 아니라 그냥 큰 침대에 누워 있는 형국이었다.
― 수령님께 경배!
누워 있는 김일성의 머리맡에 서 있던 여성이 말했다. 여성은 두 명으로 한 명은 나를, 다른 한 명은 이효준을 지켜보고 있었다.
― 서 계시면 아니 됩니다. 위대하신 수령님 곁을 천천히 돌면서 경의를 표하십시오!
멀뚱히 서서 김일성을 내려다보면 안 된다는 것이었다.
―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발, 오른팔, 머리, 왼팔 곁에서 두 번씩 경례하십시오.
너무 긴장하여 다리가 떨어지지 않았지만, 나는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여성 호위 군인이 말하는 대로 시신 곁을 돌았다. 돌면서 허리를 굽혀 두 번씩 절했다. 절하면서 김일성의 모습을 머릿속에 담아두었다. 또렷하게 새겨지도록 눈도 깜박이지 않고 경배하며 바라보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