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98670236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4-09-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우리는 누구인가?
추천사 |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의 출간에 부쳐
추천사 | 젊은 세대에게 자부심과 희망을 심어줄 교육이 필요하다
Ⅰ. 들어가기
이 책을 펴내는 이유
Ⅱ. 개념 바로 세우기
1. 개인과 사회
(1) 자유로운 개인
(2) 슬기로운 사회생활
2. 경제 생활과 시장경제
(1) 경제 생활
(2) 시장경제
(3) 시장경제와 정부
3. 자유민주주의와 대한민국의 정치
(1)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
(2) 민주 정치의 실현
(3) 국제 사회의 탄생과 성립
(4) 국제 협력과 세계화
Ⅲ. 대한민국 이전의 사회
1. 구한말 사회
2. 일제 시대 사회
3. 해방 후 3년 동안의 사회
Ⅳ. 대한민국이 걸어온 길
1. 시련 속에 이루어진 건국 대업
(1) 건국 직후의 위기
(2) 6·25전쟁
(3) 민주주의 학습
(4) 잿더미에서 자립 경제로
2. 부국, 산업화와 근대화 혁명
(1) 4·19민주혁명과 민주당 정부의 좌절
(2) 5·16군사정변, 근대화로의 길
(3) 수출 주도형 개발 전략으로의 전환
(4) 중화학공업화와 국가 개발
3. 개인 자유의 신장(1980~1990년대)
(1) 정치 권력 이동과 민주 시대 개막
(2) 수준 높은 시장경제로 가는 길목
(3) 시민 사회의 발전과 삶의 질 향상
4. 세계 속의 대한민국(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1) 평화로운 정권 교체와 양극화된 정치
(2) 원조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3) 새로운 시대로의 진입, 그리고 우리의 과제
Ⅴ.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길
1. 과학 기술과 사회 변화
(1) 과학적인 사회생활
(2) 과학 기술과 문명의 발달
(3) 과학 기술과 사회생활의 변화
(4) 더 나은 미래 사회를 위한 우리의 과제
2. 통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
(1) 통일이 필요한 이유
(2) 북한의 실태 456
(3) 다른 나라의 통일 사례가 주는 교훈
(4) 통일로 한 걸음
3. 국제 사회와 대한민국의 미래
(1) 미래 대한민국의 국제 정치
부록
1. 새 국가를 만년 반석 위에 세우자[초대 이승만 대통령의 건국 기념사(1948년 8월 15일)]
2. 대통령에 대한 이야기
3. 대한민국과 북한의 헌법 비교
- 주석
- 대한민국 사회교과서_참여 저자 및 주요 경력
- 참고 도서 및 자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민주화된 뒤 정치 사회에 등장한 정치 구호는 주로 대중의 집단 감성을 자극하는 포퓰리즘이었다. 예를 들어, 경제 민주화라는 정치 구호는 경제 문제를 단순화시켜서 선악의 구도로 몰고 갔다. 경제적 평등을 선으로 받들고 경제적 불평등을 악으로 몰면서, 대중의 집단주의적 욕망을 유도했다. 경제 문제를 선악의 단순 구도로 몰아가면 문제는 풀리지 않고 더욱 꼬이게 된다. 어떤 문제든지 단순 구도로 인식하면, 삶의 현실을 무시하고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해결책을 원하도록 되게 마련이다.
직거래가 확대되면 두 가지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생긴다. 첫째, 중간 단계의 유통업이나 중간 단계의 생산 기업에서 일하던 사람들의 일자리가 완벽하게 사라진다. 직거래를 통한 농장 노동자의 임금은 올라가겠지만 그 농장의 울타리 밖에 있는 다른 일자리는 완벽하고 잔인하게 사라지고 만다. 둘째, 직거래 공정 무역을 하는 농장의 노동자에게 주어지는 일자리는 높은 임금이 보장되겠지만 노동의 진입 장벽이 높아져서 결과적으로는 노동의 일자리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착한 커피를 생산하겠다는 생각으로 노동력을 착취한다고 여겨진 농장의 커피를 매입하지 않는다면, 그 농장의 노동자들 대부분은 일자리를 잃고 만다. 그동안 낮은 임금이나마 받던 일자리마저 잃고 나면 마약 운반이나 구걸, 매춘과 같은 비참한 생활로 떠밀려 나간다. 이것이 ‘착한’ 무역의 불편한 진실이다.
제헌 헌법의 요점들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를 어떤 나라로 건국하려 했는지 잘 알 수 있다. 제헌 헌법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채택한 민주공화국의 선언이었다. 모든 국민에게 기본적인 자유와 재산권이 보장되었고, 사회 정의의 실현과 균형있는 국민 경제의 발전이 국가의 임무가 되었다. 군주제의 조선 왕조와는 지향점 자체가 혁명적으로 달랐다. 당시 대내외의 수많은 도전 속에서도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지켜왔기에, 우리나라는 씩씩하게 발전하여 오늘날 선진국이 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