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873970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04-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추락하는 대한민국에 날개는 있는가
1부 소멸이 예정된 국가
CHAPTER 1 국가 소멸을 예고하는 초저출산
CHAPTER 2 이미 막이 열린 수도권 붕괴 시나리오
CHAPTER 3 ‘제로금리’라는 마약에 중독된 사회
CHAPTER 4 끓는 물 속 개구리가 되어버린 한국 경제
2부 위기의 징후들
CHAPTER 5 종말을 향해 가는 한국 의료
CHAPTER 6 LH 아파트가 무너진 이유
CHAPTER 7 용적률 750%라니, 그 집은 누가 사나
CHAPTER 8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는 진짜 이유
CHAPTER 9 저출산 해결은 가능한가
CHAPTER 10 교권 붕괴가 본격화하다
CHAPTER 11 2028 대입 개편의 속내는 따로 있다
CHAPTER 12 사라지는 군대가 만들 미래
CHAPTER 13 부동산, 돈 잔치는 끝났다
CHAPTER 14 부동산 투자 시대의 종말
3부 소멸할 것인가 생존할 것인가
CHAPTER 15 피크아웃 일본의 30년과 한국 경제의 현실
CHAPTER 16 미국의 퇴직연금 억만장자들
CHAPTER 17 돈의 이민, 해외 주식에 투자하라
CHAPTER 18 주거 안정이 불러오는 선순환 경제구조
CHAPTER 19 굿바이! 재테크에 올인하는 사회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출산율 0.7명이 얼마나 심각한 수치인지 그 의미를 실감하기 어렵다. 간략히 설명해보겠다. 남자 40만 명, 여자 40만 명으로 구성된 인구 80만 명의 사회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모든 남녀가 1 대 1로 결혼한다면, 40만 가구가 생겨난다. 이때 합계출산율이 0.7명이면 자녀는 28만 명(40만 가구×0.7)을 출산한다는 뜻이다. 한 세대가 흐르고 28만 명 중 남녀가 각각 14만 명일 때, 이들이 모두 가구를 이뤄서 14만 가구 기준 0.7명을 출산하면 9.8만 명의 손자녀 세대가 나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체 인구가 80만 명 규모이던 세대에서 단 2세대만 흘러도 9.8만 명으로 사실상 거의 8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실제 70만 명이 태어나던 세대들이 28만 명을 낳고 있고, 60만 명 태어나던 세대들이 21만 명을 낳고 있다. 그렇다면 40만 명 태어나는 세대들은 14만 명을 낳을 것이고, 이것이 반복되면 저 숫자는 금세 우리의 현실로 닥쳐올 것이다. 그나마 이것도 합계출산율이 0.7명으로 유지될 때의 얘기다.
금리가 말 그대로 완전히 제로까지 간 적은 없었다. 그러나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이 말 그대로 제로금리를 매우 오래 유지하는 동안에 시장에서는 소위 ‘모든 것이 버블’이라는 버블을 잉태했고, 코로나19 기간을 거쳐서 다시 제로금리가 되면서 완전히 자산 가격이 슈퍼 버블로 치솟았다. 미술품도 초고가로 거래되고, 디지털 자산인 NFT, 암호화폐 등도 마찬가지였다. 유사 이래 모든 자산이 동시에 버블로 치솟았던 적은 말 그대로 처음이었는데, 이것이 역사상 처음인 제로금리가 만들어낸 위력이었다. 제로금리는 시간 가치를 제로로 만드는 이론상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현실화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