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9882570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 AI 반도체가 만들어 내는 ‘AI + X’ 시대가 온다
1장. 왜 반도체가 중요한가?
반도체란 무엇인가?
왜 시스템반도체가 중요한가?
애플과 테슬라가 시스템반도체를 개발하는 이유
시스템반도체 1등의 열쇠, 시스템 아키텍트를 키워라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AI 반도체가 신제조업 성장의 기회다
2장. AI가 쏘아 올린 반도체 전쟁
AI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생성형 AI와 반도체 전쟁
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할 챗GPT
고객 맞춤형 메모리의 질주, HBM
제2의 HBM, CXL 기술 경쟁
온디바이스 AI 시대 개막
AI 프로세서, 스마트폰 카메라 혁신을 이끌다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
7나노 반도체 탑재한 화웨이 스마트폰
반도체 인재 양성, 실무형 교육이 답이다
3장. AI, 세상의 중심이 되다
스마트홈 시대 연 지능형 사물인터넷
NFC, 사물인터넷의 필수 기술
AI가 만드는 인간 중심의 스마트시티
빠르게 성장하는 AI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모빌리티 서비스로 진화하다
AI 반도체 회사로 변신한 테슬라
AI 덕에 인간을 닮아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AI 기반 제조 혁신, 스마트팩토리
지능형 CCTV, 영상 보안을 바꾸다
참사 막는 재난 예방 체제, AIoT에 답이 있다
애플, 공간 컴퓨팅 세상을 꿈꾸다
에필로그 | AI 시대를 사는 인간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애플과 테슬라는 시스템반도체를 자체 개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제품에 기존 범용 반도체를 사용하면 차별화된 성능을 갖기 어렵고, 타사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기존 범용 반도체는 말 그대로 범용성은 뛰어나다. 하지만 제품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고성능 연산이 어렵고, 필요한 특정 용도에 맞게 적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기성복에 비유되는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시스템반도체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 만드는 맞춤복에 비유된다. 시스템반도체에서 ‘시스템’의 의미는 ‘제품(세트)’을 뜻한다. 그러므로 제품을 만드는 제조사가 고객이다. 시스템반도체 시장은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65%를 차지할 정도로 큰 규모로 성장했다.
_ <애플과 테슬라가 시스템반도체를 개발하는 이유> 중에서
AI를 활용해 많은 제품을 만들려면 AI 반도체가 필수적이다. AI는 IoT와 5G · 6G 네트워크 기술에 더해져 데이터 센터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시티 등 많은 미래 먹거리도 만들어 낼 것이다. 한국 경제를 이끌 중추 산업이다. 삼성과 LG가 디지털 TV 시대로 넘어오면서 소니를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시스템반도체 자체 개발 능력에 기인한다. 디지털 TV에 들어가는 시스템반도체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제품의 경쟁력을 키웠다. “전자제품(세트) 경쟁력은 시스템반도체에서 온다”라는 말을 이해해야 한다. 2024년 1월 15일, 정부가 발표한 AI 반도체 중심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계획’은 시의적절했다. 세계 시장의 1% 수준인 한국의 팹리스를 본격적으로 키우는 터닝포인트가 돼야 한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