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새
· ISBN : 979119884750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09-2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4
1장 탐조의 시작
1. 불현듯 탐조를 시작하다 ··· 12
어느 날 문득 찾아간 한강 / 아파트탐조단 / 산아래아파트 탐조 / 파랑새와의 만남 / 차원이 다른 평택 아파트 탐조
2. 탐조 방향을 잡다 ··· 21
혼자 그리고 함께 탐조하기 / 일과로 탐조하기 / 가까운 곳부터 탐조하기
/ 종의 동정과 행동 관찰 / 탐조 장비는 쌍안경이 우선 / 그림도감과 사진도감, 작은 디지털카메라 / 스마트폰은 재간둥이 / 탐조의 매력 / 새의 매력
2장 동네새 탐조
1. 봄, 새소리의 향연 ··· 42
꽃처럼 순서대로 피는 새 / 뒷산과 아파트의 환경 / 소리탐조를 접하다 / 이 봉우리 저 봉우리 새소리 / 드러밍으로 사랑을 부르는 딱다구리 / 새소리는 다양하고 동정은 어렵다 / 새소리를 말로 옮겨 기억하기 / 뒷산 새들의 번식과 영역 활동 / 아파트의 다양한 텃새 / 아파트정원 내 새의 번식 / 검은이마직박구리와의 만남 / 개체수 모니터링 시작
2. 여름, 고요 속의 움직임 ··· 70
아기새 합창 / 매미소리가 새소리를 덮다 / 까치와 물까치의 텃새 / 다시 만난 새와 처음 만난 새 / 여름 막바지 / 아파트 정원의 여름 / 다른 곳 탐조 / 서울의새 모임
3. 가을, 열매를 찾아 동네로 오는 새 ··· 89
되지빠귀 떠나고 노랑지빠귀 오고 / 겨울을 준비하는 새 / 감나무 까치밥 / 새에 대한 예의 / 해마다 다른 새
4. 겨울, 추위를 견디며 봄을 준비하는 새 ··· 102
뒷산 새들의 겨울나기 / 사랑을 시작하는 겨울새 / 겨울에 찾아온 맹금류 / 아파트 새들의 겨울나기 / 겨울에야 만난 새 / 눈 내리는 날 탐조 / 일 년간 개체수 모니터링 결과
5. 불안한 봄 ··· 116
순서 없이 꽃이 피었던 봄 / 다른 생명에 대한 염려 / 기후변화의 위험
3장 다른 장소 탐조
1. 탐조지의 분류 ··· 122
2. 녹지 탐조 ··· 124
도시공원 / 수목원/ 고궁 / 왕릉 / 공동묘지 / 숲 / 농촌 마을
3. 습지 탐조 ··· 152
습지공원 / 하천 / 호수 / 논습지 / 늪 / 갯벌 / 섬 / 해안
4장 새와 함께 살기
1. 좋은 도시 서식지 만들기 ··· 220
한정된 종만 번성하는 도시 / 종의 수와 녹지와의 거리 / 배봉산에서 북한산까지 도로 탐조 / 좋은 녹지를 만들고 연결하자 / 옥상정원
2. 직박구리연못 투쟁기 ··· 228
직박구리연못 / 장미 전정 참가 / 아파트대표회 발표 / 노랑어리연 화분과 논화분 설치 / 녹조와의 전쟁 / 가을 연못 / 다음 해 연못 / 논화분 / 센서캠
3. 곤줄박이 인공새집 ··· 249
인공새집 설치 / 좀처럼 새가 깃들지 않았다 / 곤줄박이의 이소 / 버려진 땅이 좋은 서식지 / 수목소독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 인공새집 재배치 / 인공새집마다 새가 들어오다 / 왜곡된 서식조건의 회복
4. 서식지 보호 ··· 265
수라갯벌 들기 / 가능한 한 그대로 두기
5. 유리창 충돌 ··· 272
청딱다구리의 유리창 충돌 / 산솔새의 죽음
6. 길고양이에 대하여 ··· 276
길고양이가 새에게 치명적일까 / 집비둘기를 물리친 오복이 / 들고양이 문제
7. 집비둘기와의 갈등 ··· 282
집비둘기는 사랑받던 새였다 / 집비둘기는 억울해 / 집비둘기와 함께 살기 / 생태적 거리두기
맺는 글 ··· 292
참고문헌 ··· 29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책을 쓰며 나와 같은 탐조 초보자나 이제 막 탐조에 관심을 둔 사람을 우선 염두에 두었다. 초보에겐 고수의 조언이 필요하지만, 얼마 전에 시작한 사람의 경험도 도움이 된다. 같은 초보이기에 공감될 부분이 있으리라 본다. 이 책에는 탐조 초보 시기에 경험한 일과 관찰한 새의 생태를 담았다. 자료 조사하거나 귀동냥으로 들은 토막지식과 탐조 노하우도 함께 적었다. 탐조 초보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초보 탐조 과정은 즐거우면서 배움도 많고 왠지 위안받는 느낌이었다. 많은 사람이 이런 값진 경험을 같이했으면 하는 마음에 이 책을 탐조 초대장으로 보낸다.
어디서 관찰할지와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탐조지는 아파트 정원과 뒷산이었다. 가장 부담 없이 관찰할 수 있는 곳이어서 꾸준히 탐조하려 했다. 또, 자연조건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세상에서 나만이 관찰하는 곳이기에 어떤 장소보다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가까운 곳을 주로 탐조하려 했지만, 여건이 될 때는 서울을 벗어나 탐조하려 했다. 봄가을에 나그네새와 철새를 많이 볼 수 있다는 섬과 갯벌 탐조를 하려 했다. 그리고 겨울에는 겨울철새가 많이 온다는 하천, 호수, 논습지 등을 가보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