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리와 장정과 한국감리교회사

교리와 장정과 한국감리교회사

(1884 ~ 1930)

강흥복 (지은이)
바울서신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리와 장정과 한국감리교회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리와 장정과 한국감리교회사 (1884 ~ 1930)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98880901
· 쪽수 : 623쪽
· 출판일 : 2024-08-30

목차

추천하는 글
책 머리에 / 바람직한 교회성장 • 복음통일을 그리며…

1부 미감리회 • 남감리회 선교부 선교 시대(1885~1919)

01 복음의 수용과 선교사의 들어 옴 / 34
1) 19세기 말 한국의 상황 35
2) 서구 개신교의 동아시아 선교 37
3) 조선, 기독교를 요청하다 40
(1) 민영익과 가우처의 만남 45
(2) '한국의 마게도냐 사람' 이수정 50
(3) 윤치호, 박영효 들의 요정 52
4) 한국선교의 빗장을 품 매클레이 54
5) 나라님 고종의 결단 59

02 선교사보다 먼저 들어온 기독교 / 62
1) 한국선교를 위한 시도 62
2) 세례와 성경의 번역 70
(1) 만주에서의 경우 71
(2) 일본에서의 경우 73
3) 권서들, 선교사보다 먼저 선교하다 74
(1) 한국선교의 개척자 74
(2) 의주교회 • 솔내교회 80
(3) 여자 권서 • 전도부인 82

03 미감리회의 한국선교 / 88
1) 아펜젤러 • 스크랜턴의 들어옴 89
2) 교육과 의료, 출판을 통한 선교 96
(1) 배재학당 창립 96
(2) 감리교신학대학의 기원 99
(3) 이화학당 창립 101
(4) 시병원 설립 103
(5) 보구여관 설립 106
(6) 출판사업 108
3) 토착교회 형성을 향한 첫걸음 109
(1) 한국 최초의 교회-정동제일교회 109
(2) 계삭회(구역회) 조직을 통한 교회 성립 113
(3) 속회와 속장, 유사와 탁사 115
(4) 주일학교 • 엡청년회 • 여선교회 117
4) 선교 초기, 기독교의 수난 121
(1) 위정척사와 천주교 121
(2) 위정척사에서의 개신교 123
(3) 금교령 • 영아소동 • 동학당사건 125
(4) 평양 박해사건 128
(5) 훼방꾼, 원세개 129
5) 미감리회의 뻗어 나감(정동 이외의 개척) 130
(1) 중앙교회(종로서점) 130
(2) 아현교회 132
(3) 상동교회(달성회당 미드메모리얼 회당) 133
(4) 볼드윈 예배당 136 (5) 제물포 지역 138
(6) 강화 • 연안 지역 142
(7) 평양지역 145
(8) 영변지역 148
(9) 원산지역 151
(10) 수원지역 152
(11) 공주지역 154
(12) 내포지역에 떨어진 복음의 씨앗 156

04 남감리회의 선교 / 159
1) 남감리회의 도착 161
(1) 윤치호, 미남감리회를 움직이다 161
2) 서울 • 경기지역 164
(1) 최초의 교회, 고양교회 창립 164
(2) 서울 지역 167
(3) 개성(송도)지역 169
(4) 배화학당 설립 171
3) 강원 • 원산지역 173
(1) 하디와 원산 173
(2) 춘천지역 177
(3) 철원지역 179
4) 여성 복지사업(여자 사회관) 181

05 남 • 북감리회의 발전 / 183
1) 감리회의 의회 183
(1) 장유회(북감리회) • 당회(남감리회) 183
(2) 지방회 • 감리사 184
(3) 연회 • 총회 187
(4) 한국사람 최초 목사 안수 188
(5) 청•러 • 일전쟁과 교회 성장 191
2) 초기, 감리교의 선교정책 196
(1) 감리교의 생리 1-순회 탐색전도 196
(2) 감리교의 생리 2-부흥운동 199
(3) 알렌의 반발, 도전 201
(4) 감리교의 선교정책 203
(5) 선교지 나눔 210
(6) 감 • 장의 성장 비교 214
3) 아펜젤러 순직 • 초기 해외선교 219
(1) 아펜젤러의 순직 219
(2) 초기에 순직한 선교사들 223
(3) 초기의 해외 선교 232
4) 남• 북감리회의 교리• 신학교육 238
5) 감리교의 특성-부흥운동의 부활 242

06 부흥운동과 토착신학 / 245
1) 원산에서 지핀 불 246
2) 서울로 옮겨붙은 불길 253
3) 평양에서 폭발 256
(1) 1907년 대부흥운동 256
(2) 감리교의 영적 각성 260
(3) 대부흥운동의 성격 264
(4) 선교사들, 그리고 미국의 변화 270
(5) 백만명구령운동 274
4) 변증신학과 토착화 신학 277
(1) 토착신학의 선구자, 노병선 • 최병헌 277
(2) 최초의 해방신학자, 전덕기 280

07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 283
1) 일제의 침략 285
(1) 한일 강제 합병(병탄) 285
(2) 일제의 식민사관'287
2) 기독교의 항일민족주의운동 291
(1) 기도회를 통한 민족운동 291
(2) 무력 행사를 통한 민족운동 292
(3) 결사를 통한 민족운동 294
(4) 기독교교육을 통한 민족운동 298
(5) 경제적 항일 민족운동 301
3) 기독교적 민족주의 운동에서의 '상동파' 303
4) 105인 사건 • 신민회 306
5) 캐고 기릴 감리교의 민족운동 313
(1) 김동수 권사와 두 아우 313
(2) 구연영-구정서의 아버지와 아들 전도사 314
(3) 박석훈 목사 315
6) 기독교 공동체(이상촌) 설립 317
(1) 이승훈과 '용동 촌 317
(2) 김약연과 '명동 촌 '명동학교' 320
(3) 이회영과 '신흥무관학교' 324 (4) 손정도와 호조' 32

08 3•1 독립운동과 기독교 / 333
1) 3•1운동의 꿈틀거림 333
2) 신한청년단, 2•8 독립선언' 338
3) 진행과정 340
4) 터지자 밀물같은 "대한독립만세" 347
5) 기독교의 역할 352
(1) 제암리감리교회 355
(2) 유관순의 순국 359
6) 3•1운동이 물려 준 것 363
(1) 하나 된 민족 363
(2) 기독교가 앞장, 피해도 앞장 364
(3) 선교사 · 일제의 변화 365
(4) 국민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 368
7) 상해 임시정부 369
(1) 현순의 준비 작업 369
(2) 임시정부를 세움 373
(3) 애국부인회 379
8) 선교사들의 행로 382
(1) 정교분리 입장 382
(2) 우리와 아픔을 같이한 이들 383
(3) 드러내 놓고 친일 387
(4) '나쁜 사마리아 사람' 390

09 기독교의 공헌 / 392
1) 기독교가 들어오던 날의 정황 392
(1) 전통 종교의 현황 392
(2) 성리학 세계관에 갇힌 조선왕조 395
(3) 조선왕조의 멸망 401
(4) 유교문화의 최대 피해자, 여성 403
(5) 절실한 새정신 • 새 사람 406
(6) 처음 선교사들의 조선회상 411
2) 기독교가 한국 근대화에 끼친 영향 415
(1) 교육, 근대 교육의 선구 415
(2) 의료, 왕도 백성도 감동하다 417
(3) 사회개혁, '전통적 사회악'을 깨뜨리다 419
(4) 민족구원-복음화 운동 424
(5) 한글, 독수리의 두 날개를 달다 425
(6) '친미' 관 433
(7) 천주교측의 입장 436
3) 감리교 선교의 성격 • 특징(공헌) 443
(1) 적극적 • 공세적 선교 443
(2) 돋보이는 과감한 사회선교 445
(3) 민주 • 시민의식을 키움 447
(4) 별처럼 빛나는 여성교육 451
(5) 충군 • 애국의 기독교 민족주의 455
(6) 한국교회 부흥운동을 주도 459
(7) 한국교회의 신앙 유형 461

2부 기독교조선감리회 자치 선교 시대(1919~1945)

01 1920~1930년대 민족운동 / 466
1) 독립을 위한 전투 466
2) 만주에서의 종교활동 471
3) 언론 • 계몽운동 473
4) 농촌 계몽운동 479
5) 주일학교 연합회 483

02 공산주의의 도전 / 488
(1) 공산주의의 유입 488
2) 이승만과 공산주의 492
3) 신간회 운동과 공산주의 498
4) 조선공산당의 반기독교운동 502
(1) 마당을 만들어 준 사이또 총독 502
(2) 기독교의 반응 반공주의 506
(3) 만주 • 시베리아의 극동 선교 511
(4) 극동에서 공산당의 공격 513

03 감리교의 민족운동 / 517
1) 엡웟청년회 재건 517
2) 남궁억과 나라사랑 519
3) 최용신과 상록수 523

04 '기독교조선 감리회'의 탄생 / 527
1) 남북감리회 합동 527
2) '기독교조선감리회' 530
3) 감리교의 3대 원칙 534
4) '교리와 장정' 제정 541
(1) '교리적 선언' 542
(2) 교리적 선언의 논쟁 544
5) 자치시대의 신학(사회복음주의) 546
(1) 미국에서 대립 되었던 사회복음 546
(2) 한국감리회와 사회복음주의 550
6 '교리적 선언'에서 '감리회 신앙고백'으로 556
7) 웨슬리는 경건한 복음주의 563
(1) 웨슬리 신앙과 신학의 전통 563
(2) 웨슬리의 종교강령 568
8) 사회신경 570

05 교회의 영적 갱신과 신학의 발전 / 575
(1) 영적 갱신의 촉구 576
(1) 장로교의 부흥운동 576
(2) 감리교의 부흥운동 581
2) 1930년대 한국교회의 동향 585
(1) 진보, 보수의 대립 585
(2) 한국 최초의 조직신학자, 정경옥 587
(3) 보수신학 전통을 계승한 변홍규 591

고마움의 말씀 / 596
찾아보기 / 604

저자소개

강흥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당진, 신평에서 그날! 1945. 8. 15일 태어났다. 제물포고등학교와 감리교신학대학교를 나왔고, 목회학박사를 했다. 중앙대학교대학원에서 한국사를 전공했다. 충일교회(영등포지방)를 개척, 설립했고 중부연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 영동교회(강남동지방)를 지었고, 상계광림교회(노원지방)에서 목회했다. 은퇴는 동대문교회(종로지방)에서 했다. 협성신학대학교수(한국교회사), 은퇴 뒤 감신대 객원교수(교리와 장정)를 했고 (사)시니어뉴비전 포럼 이사장을 역임했다. 개역개정성경 감수위원을 했고, 감독회장을 잠시 했다. 선거무효가 되어 내려놓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