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칼뱅주의

신칼뱅주의

(풍성한 신학으로의 초대)

코리 브록, 나다니엘 수탄토 (지은이), 송동민 (옮긴이)
다함(도서출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40,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4,050원
36,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1,500원 -10% 1570원 26,780원 >

책 이미지

신칼뱅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칼뱅주의 (풍성한 신학으로의 초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8943552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5-03-03

책 소개

지난 두 세기 동안 활동했던 가장 중요한 칼뱅주의 사상가들, 곧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신칼뱅주의 신학 사조에 대한 필수 입문서다. 이제껏 기독교 세계관 등 신칼뱅주의 문화적 사회적 비전에 비해 비교적 깊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신칼뱅주의 신학 사상을 잘 정리해서 담고 있다.

목차

추천사 • 06
서문 • 20
감사의 글 • 30
약어 • 32

01. 서론 • 35
02. 칼뱅주의와 신칼뱅주의 • 59
03. 보편성과 현대 • 107
04. 계시와 이성 • 151
05. 성경과 유기체 • 197
06. 창조와 재창조 • 257
07. 하나님의 형상과 타락 • 353
08. 일반 은총과 복음 • 405
09. 교회와 세상 • 477
10. 열여섯 가지 논제 • 551

참고문헌 • 561
색인
인명 색인 • 581
주제 색인 • 584
성구 색인 • 605

저자소개

코리 브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성 콜롬바 자유 교회(St. Columba's Free Church of Scotland in Edinburgh)와 에든버러 신학대학원(Edinburgh Theological Seminary)과 미시시피 잭슨의 벨헤이븐 대학교(Belhaven University in Jackson. Mississippi.)에서 신학 겸임 강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정통적인 동시에 현대적인 관점: 헤르만 바빙크의 슐라이어마허 사용』(Orthodoxy yet Modern: Herman Bavinck's Use of Friedrich Schleiermacher)이 있습니다.
펼치기
나다니엘 수탄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워싱턴 D.C.의 리폼드 신학대학원(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in Washington. D.C.)의 조직신학 교수이자 『하나님과 지식: 헤르만 바빙크의 하나님에 대한 신학적 인식론』(God and Knowledge: Herman Bavinck's Theological Epistemology of God)의 저자입니다. 신칼뱅주의 연구소(the Neo-Calvinism Research Institude)의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송동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중문학, 백석대학교 대학원에서 기독교철학(M. A.), 미국 캘빈신학교에서 조직신학(Th. M.)을 공부했다. 『신칼뱅주의』(다함), 『아들을 경배함』, 『바울과 믿음 언어』(이레서원), 『출애굽기 강해』(IVP), 『창조 세계 돌봄』, 『신약,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죠이북스), 『개혁주의 설교에 관하여』, 『우리는 모두 철학자입니다』(복 있는 사람)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는 신칼뱅주의의 독특한 교리적 기여점들을 폭넓게 개관하려 한다. 물론 우리는 카이퍼와 바빙크의 여러 주장에 대체로 공감하지만, 이 책의 목적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따지는 것보다도 그저 그들의 가르침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기술하는 데 있다. 즉 우리는 카이퍼와 바빙크의 글들에 대한 꼼꼼한 읽기와 분석에 근거해서, 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신학적 특질로 여겼던 것들을 제시하려 한다.
- 1. 서론 중에서 -


바빙크는 “‘정통주의’나 ‘칼뱅주의’ 혹은 ‘신칼뱅주의’ 같은 표현들”보다 ‘개혁파’(Reformed)라는 용어가 더 바람직하다고 여겼다. 이는 그 단어가 과거의 정통에 적절히 의존하는 태도를 보여 주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카이퍼와 바빙크가 칼뱅의 신학 작업과 제네바를 개혁하려 했던 그의 노력으로부터 많은 영감을 얻은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그들은 자신들이 과거의 개혁파 정통에 의존함을 인정하면서도, 칼뱅의 사상을 재현하려는 자신들의 시도 속에 무언가 새롭고 독특한 성격이 담겨 있음을 의식하고 있었다. 이는 그들이 현대의 고유한 질문들에 답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 2. 칼뱅주의와 신칼뱅주의 중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8943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