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9119904260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12-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가제)
1부. 의사란 누구인가? Who
1장. 우리 시대 의사들의 일상적 삶
2장. 의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장. 의대에 입학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4장. 의과대학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까?
5장. 의사란 무엇인가?
2부 의학이란 무엇인가? What
1장. 의학의 정의
2장. 의학의 분과 학문들
3장. 의학사란 무엇인가, 의학사의 중요 장면들
4장. 의료 윤리
5장. 의학전문직업성
3부. 의료와 사회 Society
1장. 의료제도, 의료정책
2장. 공영제와 사회보험 구분으로 설명한 주요 국가의 의료제도 요약
3장. 우리나라의 의료제도 요약적 소개
4장. 왜 의사들은 의료제도와 의료정책에 관심을 갖고 참여해야 하는가?
에필로그 : 의대 진학을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편지
[부록]이 책의 활용법 : 최근 보건의료 분야의 주요 사건 3가지에 대한 분석과 비판
저자소개
책속에서
의사는 고도의 윤리적 자세를 지녀야 하고 환자의 질 병만을 보는 기능인, 기술자가 아니라 질병을 가진 환자를 보는, 종합적 과학 지식인으로서, 도덕적 실천가로서의 의사가 되어 야 합니다. 이건 의사의 본질에 따른 숙명입니다. -1장. 의사란 누구인가? 中에서
이 장치가 인공심폐기입니다. 인공심폐기의 개발이 가능했기 때문에 개심수술이 가능해졌습니다. 인공심폐기의 개발 과 관련하여 존 기본(1903~1973)이란 미 국 외과 의사의 업적이 핵심적이었습니다. 존 기본은 20대 후반 젊은 의사 시절 이 인공심폐기를 구상한 이래, 20년 이상의 오 랜 연구와 개발 끝에 인공심폐기를 개발하였고 개심수술을 가 능하게 만든 장본인입니다. - 2부. 의학이란 무엇인가? 中에서
사회의 의료정책, 의료제도를 어떻게 만들고 유지하는가에 따라 의사의 진료는 크게 좌우됩니다. 의료제도와 정책이 직접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의사들의 사회적 존재 방식도 의료제도와 정책에 의해 크게 좌우 됩니다. 의사는 의학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고도의 의료 윤리를 직업적으로 지켜야 하고 거기에 더해 의료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부, 즉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와 함께 의료정책을
잘 만들어 내는 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이것 역시 의사의 숙명입니다. - 3부. 의사와 사회 中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