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대학의 해체"(으)로 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2188483

2040 대학의 해체 (우리가 아는 대학은 사라진다)

이현청  | 한양대학교출판부
28,800원  | 20250930  | 9788972188483
2040년… 우리는 이제 더 이상 대학을 ‘건물’이나 ‘캠퍼스’로 상상하지 않는다. 그것은 하나의 플랫폼도, 하나의 시스템도 아니다. 대학은 해체되고, 교수는 사라지며, 학생은 흩어질 것이다. 교육은 이제 더 이상 ‘받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되려는 존재의 방식’이 될 것이다. 이는 하나의 선언이다. 지식의 시대가 저물고, 존재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선포하는 선언이다. 한 세기 전, 대학은 인류 문명의 심장이었다. 진리를 탐구하고, 사회를 이끌며, 미래를 설계하는 지성의 전당이었다. 그러나 AI는 사고를 가속했고, 메타버스는 공간을 재정의했으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학습의 의미 자체를 무너뜨렸다. 그 결과, 대학은 더 이상 인간에게 필요한 장소가 아니게 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종말이 아니다. 오히려 대학의 껍질이 벗겨지고, 인간이라는 존재는 ‘대학은 무엇인가?’라는 본래의 질문 앞에 서야만 하는 출발점에 선 것이다. 나는 이제 더 이상 졸업장을 위해 배우지 않는다. 나는 네트워크 속에서 스스로의 존재를 구성하며, 배움이 곧 삶 그 자체가 된 세상 속에서 살아간다. 그리고 그 변화의 한복판에 서 있는 우리는, 지금 이 책을 펼치고 있다. 이 책은 바로 그 전환점에 대한 기록이다. 대학 이후의 세계, 교수 이후의 인간, 학습 이후의 삶. 이제 우리는 그 문을 함께 열어보려 한다.
9788963473680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

정근식, 김선  | 진인진
16,200원  | 20180220  | 9788963473680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새로운 사회운영의 주체를 양성하는 고등교육 정책수립을 위해 성립된 ‘소련형’ 대학체제에 대한 연구서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연구 35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는 2017년 초에 발간된 『북한의 대학 역사, 현실, 전망』의 후속 작업으로서, 북한의 고등교육체제에 대한 이해를 한층 넓히는 작업으로 구상되었습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의 편자 정근식 서울대학교 교수는 탈냉전 이후 구 사회주의권 나라의 대학들과 교류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고유의 제도와 문화를 접하게 되었고, 영미식 체제에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 대학문화와 많은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였습니다. 이후 2015년 진행된 북한의 대학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해방이후 북한의 고등교육 체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소련형 대학 모델’을 이식하거나, 크게 의존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새롭게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에 관한’연구를 새롭게 기획하게 된 것입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 작업과정은 북한 대학을 경험한 인텔리 출신 탈북 지식인 인터뷰와 동독, 베트남, 중국의 대학들이 소련형 지식체계를 받아들여 변화시킨 과정에 대한 학술회의로 이루어 졌습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는 2016년 10 28일 개최된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 : 북한의 대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시각” 학술대회에 발표된 논문들을 수정하고 보강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는 한국, 중국, 독일, 베트남 출신의 저자들이 작성한 8편의 논문을 수록하였습니다. 1장과 2장은 소련형 대학의 기본 모델의 원형을 소개하는 내용으로서, 형성과정과 주요 특성인 ‘노동자 학부’를 다루고 있습니다. 3장에서 6장까지는 동독, 동유럽, 베트남, 중국에서 소련형 대학 모델이 이식되어 변화해 가는 과정을 소개하고, 7장은 이 책의 핵심적인 문제의식과 관련된 북한 대학과 소련형 대학모델의 관련성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결론인 8장은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가 제기한 문제의식에 대한 각 논저들의 논증을 요약하여 소개하고, 연구의 의의와 전망을 개진합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는 북한과의 대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평창 동계올림픽을 통해 조성되고 있는 교류 확대의 분위기에서, 북한의 엘리트들이 경험한 고등교육체제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폭넓은 이해를 통해서, 접점의 확대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소모적인 오해와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소중한 정보를 제공할 것입니다.
검색어 "대학의 해체"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