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민속극"(으)로 1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7248542

K-기악과 실크로드 (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제10집)

구중회  | 한국민속극박물관
20,900원  | 20221017  | 9791197248542
우리나라에서 ‘기악(伎樂)’은 흔히 ‘백제 기악’을 지칭하지만, 원래는 대승불교가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한 ‘악기연주와 춤’이 합한 예능을 의미하는 천축(인도)의 단어이다. 지금까지 바디아(V?dya)라고 알려졌으나 튜리아(T?rya)와 건달바(Gandharva)도 포함된 개념이다. 선택된 소수의 불교가 중생의 구원을 지향하려 할 때, 특수 전문 분야의 종교가 일반 대중 분야의 그것으로 나아가기 위함 몸부림이 바로 대승불교인들의 목표였을 것으로 추측해 볼 때, 기악이 대승불교의 거점이자 가장 분명한 지원군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보편성을 확보한 불교가 선교(宣敎)의 방편이었던 기악을 실크로드로 실어 날랐던 것이다. 저자는 기악의 전파로인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를 답사하며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과 일본의 선행 연구를 소개할 뿐만 아니라, ’백제기악‘에 머무르고 있는 우리나라의 기악 연구의 지평선을 넓히는 동시에 현시대와 미래에 걸맞는 ’기악‘의 세계화를 주장한다.
9791197248535

한국의 지화 (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제9집)

김태연  | 한국민속극박물관
20,900원  | 20220820  | 9791197248535
한국의 지화(紙花)〈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제9집〉는 사라져가는 전통지화 기법을 기록하고 장인과 작품들을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진 연구 자료집이다. 기존의 딱딱한 자료집에서 벗어나 김태연 저자 특유의 다정하고 섬세한 문체를 살려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듯이 작품과 함께 정리하였다. 예부터 선조들의 대소사에 항상 함께 했던 ‘꽃’. 우리 민족의 토속신앙인 ‘새남굿’이나 ‘동해안 별신굿’ 또는 궁궐행사에서 많은 꽃들을 볼 수 있는 요즘과 달리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기에 꽃을 만드는 전문적인 장인이 있었다. 이 책은 그들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꽃일에 대한 무한한 애정이 담겨있다. 한국의 지화(紙花)〈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제9집〉는 생활과 불교 무속과 축제 그리고 궁중상화와 궁중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화 연구의 기록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소중한 발자취가 담긴 책이다.
9791197248511

부적 (서낭당 민속예술연구지 제6집)

한국민속극박물관  | 한국민속극박물관
20,900원  | 20210911  | 9791197248511
부적(한국민속극박물관 민속예술연구지 서낭당 제6집)은 부적의 역사, 현황 미래를 살펴보는 책이다. 일상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으나, 드러내 놓고 쓰이지 않은 ‘부적’은 ‘미신’이면서 ‘비과학적 민속’으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민속신앙의 한 단면이다. 그러나 정작 현대인들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조차도 부적을 구하는 아이러니가 벌어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번에 출간된 ‘부적’은 논문을 통해 역사적 흔적을 찾아보고, ‘도상적 해석’과, ‘부적쓰기 화보’는 물론, 현대사회에서의 부적의 판매 형태를 살펴보면서 긴 안목으로 ‘부적의 미래’를 전망하였다. 민속신앙을 모태로 하는 부적은 기존의 ‘무속인’ 또는 민속예술인들에 의해서 끊임 없이 전승 발전 할 것이다. 특히 우리가 주목할 것은 미술의 현장에서 발견하는 ‘민속 예술’을 계승하는 새로운 ‘주체’이다.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은 숙련된 미술가들이 전통의 맥을 그들의 작업 속에서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미술가들의 작업 속에 담긴 염원이나 뜻은, 본인이 인지하고 였지 않더라도사실상 부적을 비롯한 민속신앙의 행위와 유물을 계승하고 있으며 예술작품 으로 진화할 것 임을 본 책은 전망한다.
9791197248573

경문집, 19세기 종리경책과 무경문화 (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제7집)

한국민속극박물관 학예연구실  | 한국민속극박물관
20,900원  | 20211220  | 9791197248573
본 책은 충청지역을 중심에 두고 독특한 민간신앙으로 전승해 온 무속의 경문 문화를 다루고 있다. 무경(巫經)은 법사의 독경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앉은굿에서 행 해지는 경문과 제 요소들의 총칭이다. 해로운 액을 없애고 현세적인 길복을 이루는 신앙의 양태로 봄과 아울러 대중들의 삶에 깊이 연결되어 있는 절실한 염원과 의지를 반영하는 예술적 전승문화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능화의 『조선무속고』 이래 전승주체와 내용에 대한 현장 중십의 연구와 다양한 논의들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서낭당은 연구지로서의 모토를 지키고 활용자들의 창의적인 참여를 기대하는 실천적인 태도로 이번 7집을 구성하였다. 무경을 이해하고 오늘에 펼쳐 보이는데 있어, 샤머니즘박물관 양종승관장의 역사에 비친 양상이나 흔적들을 살펴보는 글로 시작하여, 핵심을 이루는 경문과 그 경문의 실용적 모음집인 경책, 특히 『종리경책』을 구중회 공주대학교 명예교수의 자료와 해설로 들여다 보았다.
9791197248580

우리나라 탈 (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제8집)

한국민속극박물관  | 한국민속극박물관
28,500원  | 20210103  | 9791197248580
탈은 왜 생겨났을까? 어떤 이는 원시 공동체사회에서 행해지던 제의로 신과 인간의 중개자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하고, 어떤 이는 식량이 될 맹수를 사냥할 때 쓰려고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어느 한쪽만이 맞는다고 할 수는 없다. 그 시대에는 제의와 생산이 분리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와 집단 연희의 성격이 합쳐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하겠다. 우리 민족은 다양한 탈 유산을 갖고 있다. 여러 부류의 꽤 많은 탈들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본디 기능을 잃어 골동품이 된 것도 있지만 상당수가 전통 연극, 전통 무용 그리고 전래 의식 속에 전해져오고 있어 이미 국가무형문화재로까지 지정되면서 전승되고 보호받고 있다. 우리는 역사의 소산인 전통 탈에서 보게 되는 벌거벗은 자화상을 통하여 민족 심성을 뿌리를 찾을 수 있다.
9791197248504

설위설경 (무와 예술)

한국민속극박물관  | 한국민속극박물관
33,250원  | 20201231  | 9791197248504
전통 민속예술에서 전방위적 현대 예술기호로의 생명성, “설위설경(設位說經)” ★ 김금화, 김유감, 박병천, 장세일의 무(巫)에서 심우성, 무세중, 이애주, 유진규의 예(藝)로 ★ 설위설경은 원래 충청도 지방의 무속에서 비롯된 것으로, 남자 무속인인 법사가 소위 ‘앉은굿’이 벌어지는 ‘경청(經廳)’에 종이로 만든 일종의 무구(巫具)를 설치하고 경을 읊는다는 뜻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종이 무구를 설위설경 또는 그냥 설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번 책에 담긴 설위설경은 굿에 등장하는 신장(神將)이 활약하여 잡귀를 잡아가두는 다양한 판과 틀을 기하학적 문양과 상징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나 전통 무속에서 시작된 설위설경은 자생적 생명력을 획득하면서 설치미술과 무대미술, 공예와 시각 디자인 등에서 전방위적 현대 예술기호로 나타난다. 이같은 흐름을 반영하여 우란문화재단의 ‘신물지(神物紙)’ 전시기획자(장윤주)와 극단 서낭당의 ‘넋전 아리랑’ 공연 연행자(최일순), 그리고 장세일, 정해남 법사 등 명인들에게 직접 설위설경을 접한 종이공예가(도영미)의 글과 생생한 사진을 실어, 설위설경의 현위치를 예술 현장에서 살피고 있다. 이어서 설위설경의 본래적 의미를 음미할 수 있도록 전문가(우종선)의 논문 “법사와 행술-설위설경”, 설경 예술가 이재선·강창미의 설경 작품 58점과 그 제작과정을 상세히 수록하였다.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그 다음 나타나는 수려한 화보이다. 우리나라 무속의 큰 인물이며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들인 김금화·김유감·박병천·장세일의 무(巫)가 1인극, 전위예술, 춤, 마임 등 다양한 현대예술 분야의 대가들인 심우성·무세중·이애주·유진규의 예(藝)로 다시 태어남을 화려하게 보여준다. 설위설경이라는 원형이 굿판 벌이듯 예술로 흐드러지게 피어나는 것이다.
9788995057131

한국 민속극의 실천

박진태  | 역락
6,300원  | 19990910  | 9788995057131
9788925533407

흥겨운 우리 춤, 신명 나는 마당놀이 (우리나라 민속극 이야기)

호원희  | 주니어RHK
59,000원  | 20090725  | 9788925533407
지금껏 우리 민속극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졌다고 하는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꼭두각시놀음] 등을 어린이 책으로 다룬 책. 초등학교 연극부 특별 활동 수업 시간에 벌어지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해서, 무엇을 민속극이라고 하는지, 우리가 알고 있는 민속극 외에 또 어떤 민속극들이 있는지 알기 쉽게 분류해 놓고, 각 공연의 특징을 비교해 보고, 직접 대본을 각색하여 오늘날의 상황에 맞게 각 공연에 참여해 볼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9788980407378

얼쑤, 좋다! 우리 놀이 (민속극 할아버지 심우성)

 | 우리교육
0원  | 20070730  | 9788980407378
이 책을 통해 어린이들이 심우성 할아버지가 살아온 이야기, 평생 민속극에 빠질 수밖에 없던 감동 넘치는 이야기를 즐기고, 나아가 그 이야기 안에 녹아 있는 우리 민속극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책 뒷부분에 우리 민속극의 대표라 할 수 있는 탈놀이에 관한 정보 꼭지를 통해 우리 민속극과 그 일부인 탈놀이를 조금이나마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더불어 우리 아이들이 민속극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실제로 민속극이 벌어지는 곳에 가서 민속극의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9788984337282

동아시아 민속극의 축제성 (양주세계민속극 학술심포시리즈 1)

임재해  | 보고사
0원  | 20081226  | 9788984337282
[머리말] 다섯 편 논문들이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민속극 연구의 방향을 가늠하고 새로운 방향으로의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결과를 담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연구의 진정한 탐구를 위해서 새롭게 나아가야 할 정향과 좌표를 가다듬는데 실질적인 지침이 되는 연구와 논문이라 여겨져 이번에 한 권의 책으로 묶게 되었습니다. [양장본]
9788989719328

제주민속극:종이탈굿놀이본/심방굿놀이본 (종이탈굿놀이본.심방굿놀이본)

문무병  | 각
16,200원  | 20031231  | 9788989719328
이 책은 무속과 민간신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역사학적 관점에서 무속과 민간신앙을 이야기한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