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북한의 조선도서관협회 역사와 발전"(으)로 북프라이스의 도서 검색결과 입니다.
9788964953006

중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이용상, 이용복, 김효진, 진운란 (지은이)  | BG북갤러리
22,000원  | 2024-07-18  | 9788964953006
중국의 철도 역사 148년을 이야기한 책이다. 중국 철도의 첫 시작단계인 청나라 말기 때부터 최근까지를 다루었으며, 중국의 철도 역사를 노선 중심으로 기술하고 그 의미를 부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9788964951057

일본 철도의 역사와 발전

이용상, 정병현, 요시다 유타카, 우쓰노미야 기요히토, 아베 세이지, 하라다 가쓰마사, 사이토 다카히코, 쇼지 겐이치 (지은이), 장우진 (옮긴이)  | BG북갤러리
20,000원  | 2017-10-18  | 9788964951057
12년 만에 선보인 <일본 철도의 역사와 발전> 개정판. 일본과 우리나라 최고의 철도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 책은 초판 이후 10년여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 정리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등 지난 140년 역사의 일본 철도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9788992312172

강아치교 가설공법의 역사와 발전

이원철 (지은이)  | 반석기술
35,000원  | 2009-08-10  | 9788992312172
9788991177741

유럽 철도의 역사와 발전

이용상, 문대섭, 이희성 (지은이)  | BG북갤러리
15,000원  | 2009-03-04  | 9788991177741
유럽 철도의 발전과정과 최근의 변화 모습을 자세하게 기록한 책이다. 세계에서 최초로 철도가 개통된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의 철도 발전과정을 정리하고, 최근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 철도의 현황과 변화를 기술하였다.
9788991177123

일본 철도의 역사와 발전

이용상, 하라다 가쓰마사, 사이토 다카히코, 아베 세이지, 쇼지 겐이치 (지은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엮은이)  | BG북갤러리
18,000원  | 2005-10-10  | 97889911771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의 첫 번째 정책총서인 이 책은 신칸센으로 대표되는 고속철도와 도시철도의 활성화로 수송효율과 안전 운행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일본 철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두루 살펴본다.
9788964950845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3

이용상, 도도로키 히로시, 이정훈, 정병현, 박동주, 이용복, 윤경철, 최종빈, 노병국, 배은선, 변현진, 윤희일, 이시모토 준코, 최영수 (지은이)  | BG북갤러리
25,000원  | 2015-08-11  | 9788964950845
1권과 2권에 이은 '한국철도의 역사와 발전' 시리즈의 마지막 3권. 일제강점기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우리나라 철도 위탁운영을 비롯한 식민지 철도 연구, 철도의 시설·재무회계·안전관리·교통관제·건설, 고속철도 주요 이슈, 남북철도사업 등을 다뤘으며, 간이역 활성화와 관련하여 일본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9788964950531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2

이용상, 임병국, 정병현, 도도로키 히로시, 배은선, 강부병, 장우진, 임삼진, 임철 (지은이)  | BG북갤러리
18,000원  | 2013-06-20  | 9788964950531
우리나라 철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 그 두 번째 책인 이 책은 국가산업인 철도가 가진 역사적 특성상의 정치과정과 국가정책과의 밀접한 관련성, 또한 환경적 요인과 철도정책과 관료의 성격에 따른 상호 연관성을 심도 있게 다뤘다.
9788964950234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1

이용상, 임병국, 정병현, 도도로키 히로시, 윤동희, 배은선, 최석중, 김종만 (지은이)  | BG북갤러리
20,000원  | 2011-09-15  | 9788964950234
우리나라 철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 우리나라 철도가 가진 역사성과 영향력, 문화, 인물론, 물류 등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의 현황과 기능, 발전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북철도와 대륙철도에 대해 알아보고, 해외 철도의 발전과 철도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함께 수록했다.
9788959925957

북한의 산업 발전 잠재력과 남북협력 과제

이석기 (지은이)  | 산업연구원(KIET)
12,000원  | 2013-12-27  | 9788959925957
9788926806821

북한의 생각 북한의 생활 북한 사람들

이경식 (지은이)  | 한국학술정보
18,000원  | 2009-12-28  | 9788926806821
9788946032484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최완규 (지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22,000원  | 2004-04-30  | 9788946032484
9788985961462

오늘의 북한, 북한의 내일

좋은벗들 (엮은이)  | 정토출판
11,000원  | 2006-05-22  | 9788985961462
2004년과 2005년에 걸쳐 수집한 북한과 북한 사람들의 최신 모습을 담아냈다. 정치적 이슈보다 일상에 주목하고, 평양 중심이 아닌 다양한 지역에 초점을 맞추어 주민들의 경제활동, 교통과 교육 형편, 도강자들이 넘쳐나는 국경의 상황과 인권문제 등을 생생한 사진과 객관적인 자료로 보여준다.
9791168013025

새로 쓴 북한의 생각 북한의 생활 북한 사람들

이경식 (지은이)  | 한국학술정보
18,000원  | 2022-01-31  | 9791168013025
북한 주민들의 삶을 정치, 경제, 사회, 문예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그 속에 흐르는 북한 주민들의 사고방식이 드러나도록 하였다. 우리는 남북한의 이질화가 상당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질화된 북한 주민들의 삶과 생각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9788952114495

북한의 역사 1

김학준 (지은이)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0,000원  | 2013-03-15  | 9788952114495
9788952114501

북한의 역사 2

김학준 (지은이)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5,000원  | 2013-03-15  | 9788952114501
9788976963253

북한의 역사 1

역사문제연구소, 김성보 (지은이)  | 역사비평사
13,000원  | 2011-10-17  | 9788976963253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시리즈 5, 6권 <북한의 역사>. 해방부터 1950년대까지의 초기 북한사를 다룬 1권과 사회주의 건설이 본격화되는 1960년대부터 김일성 사망 시기까지를 다룬 2권으로 구성되었다. 1권은 계간 「역사비평」의 전 편집주간이자 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으로서 진보사학계의 한 축을 든든하게 지탱해왔던 김성보 교수(연세대학교)가 집필을 맡았다.
9788976963260

북한의 역사 2

역사문제연구소, 이종석 (지은이)  | 역사비평사
13,000원  | 2011-10-17  | 9788976963260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시리즈 5, 6권 <북한의 역사>. 해방부터 1950년대까지의 초기 북한사를 다룬 1권과 사회주의 건설이 본격화되는 1960년대부터 김일성 사망 시기까지를 다룬 2권으로 구성되었다. 2권 '60년대 이후 현대 북한사의 서술'은 참여정부 시절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차장과 통일부 장관을 역임한 세종연구소 이종석 수석연구위원이 집필을 맡았다.
9788952107756

북한의 역사 1

김학준 (지은이)  | 서울대학교출판부
45,000원  | 2008-06-10  | 9788952107756
9788952107763

북한의 역사 2

김학준 (지은이)  | 서울대학교출판부
50,000원  | 2008-06-10  | 9788952107763
9788987787725

북한의 역사 만들기

한국역사연구회 (엮은이)  | 푸른역사
13,000원  | 2003-06-12  | 9788987787725
이 책은 2000년 가을 남북 역사학 교류를 위한 기획팀으로 출범한 한국역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의 연구성과를 모은 것으로, 2001년 6월 22일 '북한 역사학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을 통해 발표한 것과 그 토론과정에서 제기된 비판적 제언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