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회를 위한 교회론 (뉴 노멀에 관한 신학적 성찰)
Campbell, Heidi a., 존 다이어 | 이레서원
17,550원 | 20240125 | 9788974356439
온라인 예배로의 전환은 교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서 교회는 어떻게 성도들을 효율적으로 참여시켜 예배하게 할 수 있을까?
나날이 발전하는 미디어 기술은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교회가 선택할 신학적 프로그램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까?
이 책에서는 디지털 문화의 신학, 교회론, 교회라는 주제에 관하여 5년 이상 목소리를 내왔던 전 세계 신학자들과 종교 미디어 학자들 14명이 모여 앞으로 교회가 미디어 기술과 관련된 장기적인 전략을 모색할 때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주요한 신학적 질문들을 성찰한다. 이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미국에서 진행한 신학적 연구들을 조명하고, 각각 개신교와 가톨릭 전통을 대표하고자 전략적으로 선발되었다.
디지털 종교와 디지털 교회 담론의 세계적 권위자인 하이디 A. 캠벨은 저명한 신학자들과 신진 학자들을 조합시키고, 남성과 여성 저자들의 숫자를 균형 있게, 그리고 현대의 신학적 담론에서 자주 배제되었던 남반구나 서구의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도록 집필진의 절반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신학적 주장들을 통합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각 학자가 디지털 문화, 윤리, 그리고 신학에 대하여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팬데믹으로 인해 확장된 새로운 예배 환경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교회의 발전 양상과 동향을 살피고, 교회에 적용 가능한 신학적 통찰을 제공하는 다양한 글들이 하나의 모음집으로 나오게 되었다.
이 책 속에는 또 하나의 지구, 디지털 지구(Digital Earth)를 하나님의 사랑의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는 새 길이 있다.
이 책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들어 있다.
PART 1 디지털 교회 이론화하기
1장: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지역 교회와 보편 교회라는 전통적인 개념 사이를 이어 주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식을 탐구한다.
2장: 1장과는 다르게, 지역적이고 교회론적인 맥락에서 온라인 세계의 친교와 현존 개념을 분석한다.
3장: 교회 전통들이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어포던스(디지털 기술과 사용자의 상호관계 속에서 주어지는 기회와 가능성)를 해석하는 방식을 다룬다
4장: 성사(sacrament)라는 렌즈로 디지털 교회론에 접근하는 질문들을 소개한다.
PART 2 온라인 전환에서 배운 교훈
5장: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신약의 은유와 ‘하나님 백성’이라는 구약의 개념을 비교하여, 디지털 세상 속에서 교회의 기능을 설명해 준다.
6장: 종교와 관련된 인플루언서들의 활동을 탐구하고, 그들의 독특한 종교 경험들이 ‘모두를 위한 그리고 모두와 함께하는’ 참여적 교회라는 새로운 이해에 기여한다는 점을 분석한다.
7장: 오순절 은사주의 교회가 팬데믹을 조직적, 신학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8장: 새로운 (인터넷) 언어를 배워 가시적인 하나님나라를 이루려 할 때 부딪히는 한계와 가능성을 검토한다.
PART 3 미래 교회를 위한 새로운 디지털 실천들
9장: 영적인 것을 매개하고 미디어를 영적인 것으로 만드는 우리의 선택이 교회의 특징과 증인 됨을 결정한다는 이론을 설명한다.
10장: 설득 테크놀로지(persuasive technology)와 종교적 예전(liturgy) 사이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이 두 가지가 신자들에게 특정한 행동 유형을 하게 함을 살펴본다.
11장: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어린이들이 예배를 더욱 만족스럽게 그리고 더욱 신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창조적 방식을 제시한다.
12장: 교회가 대면 설교 중심적 모델에서 줌(Zoom)과 같은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것이 예배에 독특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