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여시아문"(으)로 3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8671041

여시아문

양동림  | 한그루
9,000원  | 20230802  | 9791168671041
완생을 꿈꾸는 미생들을 위하여 언어의 돌을 놓다 한그루 시선 서른 번째 시집은 양동림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여시아문”이다. ‘여시아문(如是我聞)’이란 “나는 이처럼 들었다.”라는 뜻으로, 모든 불교 경전의 첫머리에 나오는 글귀이다. 이 시집은 ‘바둑 시집’이라 해도 좋을 정도로 전반에 걸쳐 바둑 이야기가 담겨 있다. 바둑 용어를 시의 제목으로 삼아 바둑판에서 벌어지는 국면들을 우리 인생의 한 장면으로 포착하기도 하고, 집을 짓고 허무는 관계 속에 권력과 투쟁의 대항점을 배치하기도 한다. 현택훈 시인은 발문에서 “시인은 오늘도 돌을 놓는다. 오늘도 하루를 살고, 한 편의 시를 쓴다. 그가 바둑에서 돌을 놓듯 언어의 돌로 집을 짓는다. 비록 현실의 집은 춥고 힘들어도 이렇게 견고하고 아름다운 시의 집을 한 권 지었다. 그에게 집은 언어의 돌로 지은 가정(家庭)이다. 이 집에서 시인은 알뜰히 살림을 꾸리며 오순도순 가족과 행복하게 지낼 것이다. 그것이 이 인생이라는 바둑에서 그가 꿈꾸는 최선의 묘수가 되고, 시도 그에 맞게 정수(正手)의 돌을 계속 놓게 될 것을 이 시집이 증명한다.”라고 했다. 비록 지상의 집을 가지진 못했지만 시인은 단단한 돌의 언어로 아름다운 시의 집을 짓고 있다. 온 생활을 바둑에 쏟아부으며 단단하게 쌓아올린 삶의 철학 또한 그 집의 단단한 버팀목이다. 바둑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 만큼, 시집 말미에 많이 쓰이는 바둑 용어를 쉽게 풀이해 놓았다.
9788987067704

길, 누군가와 함께라면 2

혜철  | 여시아문
7,100원  | 20071124  | 9788987067704
2005년 2월부터 개설한 법회를 통해 커플매니저로 알려진 충청북도 옥천의 대성사 주지 혜철 스님의 『길, 누군가와 함께라면』 제2권. 저자가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효(孝)를 주제삼아 연 편지공모전에 모인 400여 통의 편지 중에서 일부를 엮은 것이다. 삶의 고통을 참회로 이겨내며 빛을 밝히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뭉클하게 다가온다.
9788987067841

바라밀 일기 (대원성 보살의 피안으로 가는 70년 신행이야기)

이대원성  | 여시아문
7,100원  | 20150703  | 9788987067841
불교와 함께 걸어온 대원성 보살의 삶! 이 책 [바라밀 일기]는 부산불교신도회 부회장을 오랫동안 역임한 부산불교의 산 증인인 이대원성 보살의 삶과 수행이야기를 담은 구도 에세이다. 저자는 책에서 조계종 전 종정 고암 스님과 자운 큰스님, 일타 큰스님, 운허 큰스님, 지관 총무원장스님, 법정 스님, 은해사 조실 혜인 스님, 석종사 선원장 혜국 스님 등 선지식들과의 인연이야기와 부산불교신도회와 지역 사찰에서의 구도와 신행이야기, 가족이란 이름의 도반이야기, 자연과 하나 되어 살아가는 평화로운 삶에 대한 흥미롭고도 진솔한 이야기들을 잔잔하게 그려내어 감동을 자아낸다.
9788987067803

삼계를 벗어나는 최상의 해탈법 (담허대사의 염불론과 정혜쌍수)

담허대사  | 여시아문
10,800원  | 20140801  | 9788987067803
『삼계를 벗어나는 최상의 해탈법』은 중국의 고승 담허(1875~1963)대사의 명저인 『염불론』을 무심 송상섭 선정수련원 지도원장이 번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내용이 간략하고 더없이 명확하다. 헤맬 필요가 없는 가장 중요한 해탈법의 핵심을 말해주고 있다. 옛 중원(中原) 오종(5宗: 선종, 교종, 밀종, 율종, 정토종)의 진액을 하나로 모아 읽으면 누구나 낙오 없이 해탈하게 되어있다고 말한다.
9791158740146

여시아문 (곽병수 장편소설)

곽병수  | 미디어숲
13,050원  | 20160716  | 9791158740146
두 남녀의 지고한 사랑과 구도 여정, 깨달음의 문턱에서 경험하는 은밀한 환희, 뒤안길의 피할 수 없는 허무를 들여다본다. 사랑하는 여인을 구하기 위해 속세를 떠나 수행승의 길을 걷게 되는 한 청년이 육체적, 정신적 파계를 경험하면서 차츰 진정한 구도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과, 그가 이룬 수행의 성취, 그리고 종국에는 스스로 붓다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육신을 던지게 되는 과정을 그렸다. 이 작품은 몇몇 사람들의 예사롭지 않은 삶의 궤적과 그들 중 두 남녀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얘기하고 있지만, 그 내면 속에는 불가에서 말하는 깨달음인 오도, 견성, 열반이라고도 하는 것이 무엇이며, 그것에 이르는 과정의 메커니즘이 어떤 것인가를 그린다. 또한 종교적 차원에서의 진리란 사람의 생사를 포함한 만물의 생성과 소멸에 관한 대답을 근저로 하는바, 여기에 대한 기독교와 불교의 진리를 비교해, 각기 다른 진리의 말씀이 서로 다르지 않음을 논증하고 있다.
9788987067827

황금빛 봉황이 (개정판)

수불  | 여시아문
12,150원  | 20141105  | 9788987067827
『황금빛 봉황이』는 생활 속 선(禪)의 조화와 선생활의 리듬을 몸소 보여준 수불 스님의 어록을 엮은 것이다. 특히, 수불스님은 선(禪)을 활용하는 묘용(妙用)을 강조하며, 이 실제의 묘용을 수행자들이 깨닫고 증득하여 법계의 주인이 되는 길을 제시한다.
9788987067858

누가 허공을 비었다 했는가 (시심선심詩心禪心, 삶이 살아있는 시다)

이대원성  | 여시아문
6,300원  | 20150703  | 9788987067858
뭍 생명 살리는 허공같은 삶을 노래하다! ‘시심선심(詩心禪心), 삶이 살아있는 시다’란 부제를 단 [누가 허공을 비었다 했는가]는 부산불교신도회 부회장을 오랫동안 역임한 부산불교의 산 증인인 이대원성 보살의 삶과 수행이야기를 담은 구도시(求道詩) 모음집이다. 저자는 시집에서 선지식들과의 인연담과 부산불교신도회와 지역 사찰에서의 구도와 신행이야기, 가족이란 이름의 도반이야기, 자연과 하나 되어 살아가는 평화로운 삶에 대한 아름답고도 진솔한 이야기들을 잔잔한 시어(詩語)로 그려내고 있다. 저자는 ‘허공이 비었다고 누가 말했나’란 제목의 시에서 “천지 만물을 다 품어 부모의 품과 같은 넉넉함으로 뭍 생명들을 다 살게 하고 있지 않는가”라고 반문하며, 피와 살과 형제자매와도 같은 이 땅의 생명을 살리는 불자의 삶을 서원하고 있다. 저자는 ‘진실한 삶을 위해’라는 시에서는 “미움은 내려놓고 사랑은 가슴에 가득 채워라. 고마움은 오래오래 간직하고 서운함은 날려버려라.
9788987067834

달마 선법으로 본 금강경

이창우  | 여시아문
17,100원  | 20150513  | 9788987067834
깨달음은 공개된 부처를 비밀스레 찾는 신앙이 아니라 밝혀지지 않은 자성불을 구현하여 제3의 생명으로 거듭남에 있음으로 남을 따르거나 흉내를 내어서는 안 된다. 이 책은 참마음, 참나, 참자기, 본래면목, 불성, 자성, 진여일심, 한마음을 찾는 달마선법을 바탕으로 금강경을 풀이(주해 및 강의)한 책이다. 저자인 이창우 거사는 조계종 한마음선원장 대행 선사의 재가 제자로서 오랫동안 대행 선사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고 마음공부를 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금강경을 오늘의 시대에 맞게 재해석해 냈다
9788987067797

생활 속의 불법수행 (대행 스님과의 신행문답)

대행  | 여시아문
13,950원  | 20141022  | 9788987067797
『생활 속의 불법 수행』은 현대불교신문 창간호에서부터 제143호까지 신문 지상에 연재했던 ‘길을 묻는 이에게’를 주제별로 정리하여 묶은 故 대행 큰스님(한마음선원장)과의 신행 및 수행 문답집입니다. 대행 큰스님은 ‘대행(大行)’이란 법호가 웅변하듯이 ‘우리 시대의 보현보살’로 일컬어지며 한국불교의 현대화, 세계화, 생활화에 지대한 공덕을 베푼 조계종의 대표적인 비구니 선지식(善知識)입니다.
9788964360521

여시아문 (이와 같이 나는 들었노라)

마이다 슈이치  | 삼인
10,800원  | 20121025  | 9788964360521
저자는 1만 쪽이 넘는 글을 남겼는데 그 대부분이 나가노에서 아케가라수 곁에서 지낸 21년 동안에 나온 것이다. 그 모든 글이 스승인 아케가라수의 가르침을 부연 설명한 주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 일부를 엮은 『여시아문』의 주제는 ‘선생과 학생의 관계’다. 마이다 슈이치는 자신이 아케가라수를 만나지 못했다면 불교가 무엇인지 알 수 없었을 것이라 믿었다. 그리고 불교는 몇 가지 추상적인 개념들을 배우는 데서가 아니라 살아 있는 한 인간을 만나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온 생을 통해 깨달았다. 특별한 선생을 모시는 일의 중요성은 일본의 양대 불교전통인 진종과 선종에서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이 책에서 마이다 슈이치가 강조하는 바 또한 불교는 오직 선생과 학생의 관계 속에서만 존속될 수 있으며, 선생과 학생의 관계 그 자체가 곧 불교라는 점이다.
9788987067995

자족의 경제학 (미래를 열어갈 새로운 경제학의 흐름)

김옥암  | 여시아문
9,900원  | 20100915  | 9788987067995
『현대불교신문』에 '김옥암 교수가 쓰는 자족의 경제학'이란 제목으로 연재하여 쓴 글의 모음집으로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부분은 불교사상과 경제학의 관련성을 찾아서 이론과 실제 문제를 살펴본다. 두번째 부분은 불교사상과 자족의 경제학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있으며 세번째 부분에서느 불교경제사상과 관련하여 우리들 삶의 문제를 다룬다.
9788987067759

황금털 사자의 미미소 (경허에서 고암까지)

송준영  | 여시아문
22,500원  | 20080620  | 9788987067759
한국 현대 문단에 선시의 이론을 세운 송준영 시인이 12명 선사들(경허, 용성, 학명, 만공, 한암, 만암, 만해, 효봉, 혜암, 동산, 경봉, 고암)의 삶과 수행의 핵심을 소개한 책이다. 선사의 삶은 그 자체가 선이다. 호흡지간에도 법을 설하고 일거수일투족이 진리에 맞닿아 있는 선사들이 내 뱉는 진리의 노래는 선시다. 이 책은 경허 선사에서 전강 선사에 이르는 12명의 선사들이 남긴 선시를 통해 그들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9788987067612

산빛 물든 사람들

정과 스님  | 여시아문
9,000원  | 20060728  | 9788987067612
편하고 한가함을 구해서도 아니요 따뜻이 입고 배불리 먹으려는 것도 아니며 명예와 재물을 구해서도 아닌, 억겁의 윤회 사슬을 끊고 영원한 진리의 길 안에 들어서겠다고 마음을 다지는 "산빛 물든 사람들"의 봄, 여름, 가을 겨울...
9788987067605

반야의지혜를 먹고 자라는 아이들

김종서  | 여시아문
8,100원  | 20060620  | 9788987067605
불자의 길을 걷는 수많은 학부모들에게 가장 커다란 문제는 무엇일까? 내 자녀에게 잠재적 가능성으로 숨어 있는 불성의 씨앗을 알게 하고, 맛보게 하고, 싹 틔워서 열매를 맺도록 촉매가 되어주는 일일 것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시절, 한암 대종사, 탄허 대선사님을 뵙고 큰 감명을 받은 이후 평생을 불법과 교육학의 접목에 고심해 온 원로 교육학자의 자녀교육 지침서이다....
9788987067599

작대기 (힘들 때마다 당신의 삶을 받쳐 줄)

장용철  | 여시아문
8,100원  | 20060428  | 9788987067599
오가는 지하철 구내에서 인생에 대한 사색과 지혜의 편린을 만나게 해온 "풍경소리"의 작가 중 한사람인 장용철이 천촌살인의 지혜가 담긴 예화들을 모아 고암 정병례의 판화와 함께 엮어 만든 책이다. 끝이 갈라진 긴 나뭇가지를 다듬어 만든 "작대기"는 지게를 받치는 데에 쓰인다. 무거운 등짐을 진 농부가 잠시 짐을 내려놓고 쉴 때 농부를 대신하여 지게를 받쳐주는 "작대기"처럼, 동서고금의 성현들이나 이름 없이 살다간 많은 사람들이 작대기처럼 짚다가 남겨놓고 간 인생의 "깊은 맛"을 속삭이는 이야기들, 68편이 담아져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