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프로젝트 수업 (역사로 톡톡(Talk Talk) 두드려보는)
최경민, 이규진, 오상준, 구민선, 김율리 | 상상채널
17,100원 | 20190810 | 9791187510123
“바른 역사 교육, 역사 프로젝트 학습에서 그 해답을 찾다.”
교사들의 치밀한 단계별 수업 설계와 전략에 따른 수업 활동으로
학생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교실 수업 방법 大공개!
* 실제와 밀접하게 연계된 이론!
* 사례 중심의 설명!
* 다양한 상황을 담은 삽화 제공!
★ 이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고정관념에 따른 심리적인 거리를 해소해 준다.
우리 교사들은 교사로서 자기가 하고 싶은 것, 자신만의 기준을 못 찾고서 내가 누구인지, 내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른 채 바쁘게만 학교생활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어쩔 수 없이 주변이 정해준 기준, 학교가 좋다고 정해준 기준을 마치 내가 원하는 기준인 것처럼 바쁘게 쫓아가고, 그러한 과정 중에 상처를 받고, 좌절하고 우울해지는 것 같습니다.
교과서가 정해준 기준에 따라, 승진을 위해 교육청과 학교가 정해준 기준에 따라 교사로서 자기 삶의 주도권과 주체성을 빼앗긴 채, 여기저기서 요구하는 것들만 처리해주기에도 너무 바쁜 교사들의 삶, 힘들지 않으신가요?
교과서가 정해준 기준에 따라, 승진을 위해 교육청과 학교가 정해준 기준에 따라 교사로서 자기 삶의 주도권과 주체성을 빼앗긴 채, 여기저기서 요구하는 것들만 처리해주기에도 너무 바쁜 교사들의 삶, 힘들지 않으신가요?
이번 역사 프로젝트 수업이라는 책은 그러한 기준을 벗어던지고, 교사로서 우리들의 주체성과 교사 자신의 주도권을 조금은 높여보고자 노력했던 우리들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습니다. 교사로서 내가 바라는 아이들은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교사로서 진정으로 꿈꾸던 교실과 수업의 모습은 무엇이었는지, 교사로서 내가 추구하고 싶은 삶은 어떠한 가치였는지, 그러한 것들에 대해 함께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고, 그러한 이야기가 기반이 되어 아이들과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교사로서 우리들의 주도권과 주체성을 높여보고자 노력했습니다.
그러한 이야기가 기반이 되어 우리들은 프로젝트 학습을 선택하게 되었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교과서 중심의 암기식 수업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적었던 역사 수업을 함에 있어서 변화를 주고 교사로서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함께 가지고자 노력하게 되었습니다. 저희들의 부족한 모습과 이야기, 교육 내용들이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서 이 책을 펴내게 되었습니다.
우리들은 이 책을 함께 쓰는 동안 격동의 시간을 보냈었던 것 같습니다. 교과서 중심의 암기식 수업에 익숙해져 있던 우리들이 교과서를 잠시 덮어두고, 교육과정과 성취기준을 살펴보면서 연구하고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고, 교사로서 수업의 주도권과 우리들만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 수많은 이야기와 논쟁을 거치면서 우리들은 협력을 아끼지 않는, 서로가 서로에게 믿을 만한 사람, 기댈 수 있는 사람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서로가 서로에게 상처가 되기도 하고, 아픔을 주기도 하였지만, 그때마다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면서, 지금은 서로가 서로를 보듬어 줄 수 있는 하나의 공동체가 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