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듀이, 킬패트릭 그리고 진보교육)

미하엘 크놀 (지은이), 윤미원 (옮긴이)
지식프레임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듀이, 킬패트릭 그리고 진보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772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9-10-02

책 소개

‘프로젝트’ 개념이 변천한 과정을 통사적으로 훑으면서 시대별, 학자별, 나라별 특징과 차이점을 일목요연하게 펼쳐놓은 책이다. 프로젝트 수업과 방식을 둘러싸고 벌어진 전 영역의 문제를 폭넓은 시야로 살펴볼 수 있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문

Part1. 잊혀진 프로젝트의 역사
1 프로젝트의 시작 : 유럽 건축학교
2 미국식 프로젝트 : 작업장인가, 학교인가?
3 학교와 삶이 너무 다르다 : 수공 교육의 등장
4 캘빈 우드워드와 프로젝트 모델 : 작업장 강의는 곧 연구실 수업이다
5 반복되는 프로젝트에 반대한다
6 프로젝트 작업은 실질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준다
7 슬뢰이드 교육 : 초등학교에 적용된 최고의 학습 방식
8 찰스 리처즈의 통합 모델 : 수공예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9 학생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교사는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10 직업교육의 박차 : 작업의 효율적인 분배가 발전을 가져온다
11 루퍼스 스팀슨의 홈 프로젝트 : 개성을 부여한 농업교육의 혁신
12 자연과학의 기초를 닦다 : 기초과학의 도입
13 우드헐과 문제-프로젝트 : 주입식 학습에 저항하다
14 갈등 : 불합리 대 혁신

Part2. 윌리엄 킬패트릭 : “나는 오류를 범했다.”
1 탐색하고 또 탐색하다
2 자발적 의도가 중요하다 : 생각의 싹이 트는 프로젝트 아이디어
3 킬패트릭이 만난 문제해결방식 : ‘프로젝트’ 개념
4 프랭크 맥머리와의 결별 : 문제해결방식의 배제
5 킬패트릭의 프로젝트 강의 : 학생 스스로 질문한다
6 프로젝트의 재설계 : 의도와 실행이라는 새로운 방향
7 배움은 개인적이고 주관적이어야 한다
8 자연스럽고 강요가 없으며 자유를 통한 학습
9 호러스 맨 학교의 실험 : 교사와 학생은 동일한 권리를 갖는다
10 밀워키의 꿈꾸는 미래 학교 : 킬패트릭의 혁신과 실패
11 대중 속으로 : ‘프로젝트 홍보 클럽’의 설립
12 찰스 맥머리와의 갈등 : “프로젝트의 저작권은 누구에게도 없다.”
13 보이드 보드의 비판 : “프로젝트 수업은 실패했다.”
14 킬패트릭의 자아비판 : “이 용어는 일관성 있는 해석이 불가능하다.”
15 외톨이였던 대가 : 설득에 실패하다

Part3. 존 듀이 : “이것은 정말 바보 같은 방식이다.”
1 새로운 교육 : 지식, 경험, 감동을 통해 배운다
2 듀이의 실험학교가 문제를 다룬 방식
3 프로젝트는 능동적 활동이 아니라 구성적 활동이다
4 시카고 실험학교의 프로젝트를 이루는 세 요소 : ‘학생’, ‘실제’, ‘생산품’
5 듀이의 프로젝트-문제-상황-방식 : 다양한 학과목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소통해야 한다
6 듀이의 프로젝트하는 방식 : 계획과 사고, 지적인 행동 반응
7 카이저의 헌법 이론 : 방식은 사고하는 내용 그 자체로 존재한다
8 프로젝트 수업에서 자유를 어떻게 볼 것인가?
9 진정한 의도는 자극을 통해 시작된다
10 사회의 혁신과 변화에 기여하는 학교 그리고 프로젝트
11 보수적인 혁신가 : 자유와 우연에 반대한다

Part4. 엘스워스 콜링스 : “티푸스 프로젝트는 꾸며낸 이야기이다.”
1 실용주의적 혁신가 : 부드러운 교육 방식에 찬성하지 않는다
2 티푸스 프로젝트 : 전염병과 관련된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까?
3 베스페이지의 공동체학교의 개설
4 티푸스 프로젝트
5 학문적 경영자 : 공장의 목표는 이미 정해져 있다
6 극적인 전환 : 어린이 중심의 교육학자가 되다
7 정직하지 않은 학자 : 대중을 속이다
8 지나친 욕심과 거짓 그리고 열정적인 카우보이

Part5. 원칙 대 방식
1 베르나르 수앵 드 부트마르 : 평등에 대한 열정
2 카를 프라이와 개인 교육 : 교육으로 나가는 유일한 길은 교육이 성립되는 과정이다
3 다크마어 헨젤 : 프로젝트로 해결한다는 생각은 위험한 환상이다
4 오늘날의 토론

부록│미국의 프로젝트 방식 연대기
색인

저자소개

미하엘 크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바인가르텐 교육대학에서 공부했으며 킬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학자이자 역사학자, 정치학자이다. 슐로스 살렘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으며, 킬 대학과 컬럼비아 대학, 스위스 취리히 공대 등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사우스 캐톨라이나 대학 방문 교수, 로스톡 대학 정교수, 슐로스 슐레 키르히베르크 교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교육학자로서의 존 듀이. 교육-학교-수업 John Dewey als P?dagoge. Erziehung-Schule-Unterricht》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하기. 기초와 가이드라인 Aus Projekten lernen. Grundlegung und Anleitungen》 《쿠르트 한: 높이를 맞춘 혁명 Kurt Hahn: Reform mit Augenmaß》 《학교, 어린이 그리고 공동체: 교육자로서의 존 듀이에 대한 비평 School, Child and Community: Critical Studies on John Dewey as Educator》 《관리자로서의 존 듀이: 시카고 실험학교의 부끄러운 결말 John Dewey as Administrator: The Inglorious End of the Laboratory School in Chicago》 《키드부터 듀이까지: 사회적 효율성의 원천과 의미 From Kidd to Dewey: The Origin and Meaning of Social Efficiency》 등이 있다.
펼치기
윤미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독어독문과 졸업 후 독일 프라이브르크 대학에서 경제학, 독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근본적인 것에 시간을 투자하라』, 『사랑으로 키운 아이』, 『토닥토닥』, 『용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로빈슨과 그의 동료들에게 프로젝트는 단순히 ‘민주적인 방식’만이 아니라 ‘민주주의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 그들의 목표는 수업과 교육의 경계를 없애고, 학생들에게 실용적인 학문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며, 민주적인 시민을 만드는 것이었다. MIT 총장 프랜시스 워커Francis A. Walker는 1887년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설계할 줄 아는 젊은이들 앞에서는 어느 유능한 학자들도 자신의 명예로운 이름과 권위를 내세울 수 없다. (…) 프로젝트는 직업적, 정치적 교육 양쪽을 동시에 충족시킨다.”
로빈슨과 그의 동료 교수들은 “프로젝트는 교육과 민주화의 훌륭한 도구이다.”라고 했던 킬패트릭의 철학을 충분히 공감하고 있었다.
- <PART1. 잊혀진 프로젝트의 역사> 중에서


우드워드도 해리스의 생각이 매우 비민주적이며 비자유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교육은 자유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그는 명예로운 직업을 혐오하고 있다. 누군가는 좋아하는 것을 그는 하찮게 보고 있다. 수공예 능력을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이것에 대해 선택할 여지를 주지 않는 것은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진정한 자유로운 교육은 모든 실용 분야에 대해 다른 학문과 동등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 <PART1. 잊혀진 프로젝트의 역사> 중에서


리처즈는 “프로젝트가 보여주는 가장 교육학적 결과는 ‘간단함(단순함) 속’에서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결과물’을 통해 ‘스스로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린이들에게 최상의 동기유발 기회를 주기 위해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부여해야 하며, 프로젝트의 계획과 실현을 스스로 원할 수 있도록 어린이들을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 <PART1. 잊혀진 프로젝트의 역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